[include(틀:한국의 성씨)] ||<-2> '''{{{#000 [[후백제|{{{#000 후백제}}}]]의 [[국성|{{{#000 국성}}}]]}}}''' '''{{{#000 {{{+1 全州 甄氏}}}[br]{{{+1 전주 견씨}}}}}}''' || || '''{{{#ece5b6 관향}}}'''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br][[전라북도]] [[전주시]][br][[경상북도]] [[상주시]]|| || '''{{{#ece5b6 시조}}}''' ||[[견훤]](甄萱) ,,(황간 견씨, 전주 견씨),,[br][[아자개]](阿慈介) ,,(상주 견씨),,|| || '''{{{#ece5b6 인구}}}''' ||1,251명^^(2015년)^^|| [clearfix] [[후백제]]왕 [[견훤]]을 시조로 하는 전주 견씨, 견훤의 아버지 아자개를 시조로 하는 상주 견씨를[* 아자개는 이씨지만 견훤의 이복동생들이 남긴 후손들이 견훤의 성씨로 바꿨던 것으로 추정된다. 견씨는 어쨌든 백제의 새로운 국성이었으니 가문의 격을 높이려면 견씨가 훨씬 유리했을 것이다.] 비롯하여 총 다섯 본관(황간, 경주, 상주, 전주, 청양)이 있으며, 별로 오래가지 못한 왕조이지만 [[태봉]]이나 [[금관국]]을 제외한 나머지 [[가야]] 등과 달리 지금까지 존속 중인 성씨다. 그러나 인구는 2000년 기준 340가구 1,141명으로 적은 편이다. 2015년 인구조사에서는 1,251명이 나타나 조금 늘었다. 甄자는 '견'과 '진' 두 독음이 있어 '견훤'을 '진훤'으로 발음하기도 한다. 그 당시 '견훤'으로 불렸을지 '진훤'으로 불렸을지 이견이 있다. 현대 한국의 성씨는 '견'이라고 읽는다. 현대인 중 유명인으로는 [[견미리]] 등을 들 수 있다. [[분류:전주 견씨]]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견(성씨), version=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