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000,#e5e5e5 전정규의 영예 / 역임 직책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KBL 챔피언결정전 우승 반지''' || || '''[[2015-16 KBL 챔피언결정전|{{{#ffffff 2016}}}]]''' || ---- [include(틀:역대 농구대잔치 MVP)] ---- [include(틀:역대 MBC배 전국대학농구대회 MVP)] ---- [include(틀: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역대 1라운드 지명선수)] ---- [include(틀:고양 데이원 점퍼스/주장)]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DDDDDD 0%, #FFFFFF)" {{{+1 {{{#000000,#e5e5e5 ''' 명지중학교 농구부 코치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0807 전정규.jpg|width=100%]]}}} || ||<-3> '''{{{+2 {{{#000000 전정규}}}}}}[br]{{{#000000 田正圭}}}''' || ||<|2><-2> {{{#000000 ''' 출생 ''' }}} ||[[1983년]] [[10월 14일]] ([age(1983-10-14)]세) || ||[[전라북도]] [[진안군]][* [[http://www.ja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903|참조.]]] || ||<-2> {{{#000000,#e5e5e5 ''' 국적 '''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000000,#e5e5e5 ''' 본관 ''' }}} ||[[담양 전씨]][* 27세손 규(圭) 항렬.] || ||<-2> {{{#000000,#e5e5e5 ''' 신체 ''' }}} ||[[키(신체)|키]] 187cm|[[체중]] 86kg || ||<-2> {{{#000000,#e5e5e5 ''' 직업 ''' }}} ||농구선수([[슈팅 가드]], [[스몰 포워드]]/ ^^은퇴^^) || ||<-2> {{{#000000,#e5e5e5 ''' 종교 ''' }}} ||[[원불교]][[http://www.wo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2458|#]] || ||<-2> {{{#000000,#e5e5e5 ''' 학력 ''' }}} ||[[광주고등학교(광주)|광주고등학교]] {{{-2 (졸업)}}}[br][[연세대학교]] {{{-2 (졸업)}}} || ||<-2> {{{#000000,#e5e5e5 ''' 프로입단 ''' }}} ||[[2006 KBL 국내신인선수 드래프트|2006년 드래프트]] {{{-2 (1라운드 1순위,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인천 전자랜드]])}}} || ||<-2> {{{#000000,#e5e5e5 ''' 현역시절 등번호 ''' }}} ||8, 7 || ||<-2> {{{#000000,#e5e5e5 ''' 병역 ''' }}} ||[[상무 농구단]] (2009~2011) || ||<|2> {{{#000000,#e5e5e5 ''' 소속 ''' }}} || {{{#000000,#e5e5e5 ''' 선수 ''' }}}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인천 전자랜드 블랙슬래머]] (2006~2008.1) [br] {{{-3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대구 오리온스-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2008~2018)'''}}} || || {{{#000000,#e5e5e5 '''코치''' }}} ||[[낙생고등학교]][br][[명지중학교(서울)|명지중학교]] (2022~)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의 前 프로농구 선수이며 [[스윙맨|가드와 포워드]]를 맡았다. KBL이 출범한 이래 [[김동우(농구)|김동우]], [[박성진(농구)|박성진]]등과 함께 1픽임에도 아마추어에서의 기대에 비해 프로에서 특별히 두각을 드러내지 못한 선수였다. == 선수 생활 == === 아마추어 시절 === [[파일:전정규 연세대 시절.jpg]] 광주고등학교 시절에는 그렇게까지 기대를 받는 선수는 아니었다. 이후 연세대학교에 진학하면서 슛 기복이 덜한 안정감있는 정교한 슈터로 각광받기 시작했다. 2004년 무렵에는 농구대잔치에서 MVP를 수상하기도 했고, 게다가 연세대의 캡틴으로서 [[양희종]]이나 [[김태술]]등의 선수들을 이끌면서 연세대가 연전 연승을 해나가는데 공헌을 했고, 그 덕에 리더십까지 인정을 받았다. [[파일:전정규 드래프트.jpg]] 그렇게 졸업반에 다다를 무렵 인재의 풀이 그렇게 크지는 않았던 06드래프트에서 자연히 안정감 있는 슈터였던 전정규는 단연 드래프트의 최대어로 주목받았다. 결국 당시 리빌딩을 통해 슈터를 보강하고자 했던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인천 전자랜드 블랙슬래머]]에서 그를 1순위로 지명했고 그의 프로생활이 시작되었다. ===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인천 전자랜드 블랙슬래머]] 시절 === [[파일:신인시절의 전정규.jpg]] 프로에서도 그의 활약을 기대한 팬들은 그가 안정감 있는 슈터로 성장하기를 바랬다. 그러나 그런 기대와 달리 전정규는 당시 2%가 부족한 활약을 보였는데, [[조우현]]이나 [[정선규]] 등 [[슈팅 가드|동]] [[스몰 포워드|포지션]]에 비슷한 롤을 가진 선수들이 많았고 자신도 프로의 부담 속에서 공수에서 큰 활약을 보이지 못했다. 그래도 초년병 시절에는 신인왕 후보로 경합을 했으나, 결국 당시 2위를 했던 [[창원 LG 세이커스]]의 신인 가드 [[이현민(농구)|이현민]]이 신인왕을 수상하였다. 그러나 다음 시즌에도 성장세에서 더딘모습을 보이고, 약점으로 지적되던 수비 마저 성장하지 않은데다, 신인으로 [[정영삼]]을 지명했고, [[조우현]]과 [[김성철(농구)|김성철]]마저 FA로 팀에 합류하면서, 전정규의 팀내에서의 입지는 자연히 줄어들 수 밖에 없었다. 결국 전정규는 [[2008년]] [[1월]]에 [[백주익]], 카멜로 리와 묶여서 3:3 트레이드로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대구 오리온스]]로 팀을 옮겼다. 이 때 트레이드를 통해 전자랜드로 옮긴 선수는 [[주태수]]와 [[리온 트리밍햄]], [[정재호(농구)|정재호]]였는데 이 때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에서 수문장 역할을 해주는 [[주태수]]를 영입했기 때문에 전정규를 크게 아쉬워 하지는 않았다. ===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대구/고양 오리온스]] 시절 === 당시 높이가 낮았던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오리온스]]였지만, 공격에 속도를 높이고 [[김병철(농구)|김병철]]을 보조해줄 슈터를 필요로 하는 오리온스였기에 전정규가 활약할 수 있었고, 트레이드 후에는 좋은 활약을 보였다. 이런 나쁘지 않은 활약으로 [[방성윤]]과 [[이규섭]]의 부재를 틈타서, 베이징 올림픽에 슈터로 합류했다. 회의적인 시선을 보였지만 캐나다 전에서 나쁘지 않은 활약을 보이면서 가능성을 선보였다. 그러나 2008-2009 시즌에도 그렇게 인상적인 활약을 보이지 못하고 발전에서 더딘 모습을 보였고, 결국 그 시즌이 끝난 후 상무에 입대했다. 상무에서 전역한 2010-2011시즌에는 [[연세대학교]] 시절 스승 [[김남기]] 감독이 지휘하고 있는 대구 오리온스로 복귀하면서 [[김병철]]의 백업멤버로 활약하였다. 이후 연고지와 팀의 이름이 바뀐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에서 새로운 주장으로 선임되었다. 좋은 활약을 기대한 오리온스 팬들이었지만, 결국 수비에서도 구멍이 되어버리고, 공격에서도 느린 스피드로 인해 팀의 공격전개에 큰 도움이 되지 못했고, 오픈찬스에서도 기복있는 슈팅을 보인데다, 이타적인 플레이가 부족하고 파이팅이 부족한 전정규였기 때문에 부진한 오리온스의 성적과 맞물려서 욕을 바가지로 먹었다. 2012-2013 시즌에도 이렇게 기복있는 슈팅을 보여주었던 전정규이지만, 플레이오프 싸움이 치열한 2~3월달에 좋은 슈팅능력을 선보이면서 오리온스가 6시즌만에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는데 나름대로 공헌했다. 이로 인해서 얻은 별명은 '''전대만'''. 그리고 2013-2014시즌 현재에도 [[추일승]]감독의 신임 아래에서 많은 시간 동안 출장중이지만 여전히 기복있는 슈팅 능력과 수비에서 OME수준의 구멍을 선보이며 오리온스 팬들에게 바가지로 욕을 먹고있고, 덤으로 KBL 팬들의 삐뚤어진 애정(?)을 여전히 받고 있다.. 그러다 [[허일영]]의 가세로 출장 기회가 줄어들다 못해 비중이 별로 없어졌다. 결국 2018년 5월 15일에 협상이 결렬되어 [[http://sports.news.naver.com/basketball/news/read.nhn?oid=065&aid=0000159930|FA 시장에 나오게 되었다.]] 그리고 5월 28일, 11년간의 [[http://sports.news.naver.com/basketball/news/read.nhn?oid=065&aid=0000160450|현역 생활을 마무리지었다.]] == 은퇴 후 == [[파일:전정규 3대3코트.jpg]] [[2018년]] [[6월 15일]], 선수생활을 마감한 지 1개월 만에 3X3선수로 현역 복귀해 PEC팀에서 활약했다. 3X3 이후 [[낙생고등학교]] 농구부 어시스턴트 코치를 시작으로 2022년 3월 1일, [[명지중학교(서울)|명지중학교]] 농구부의 코치로 부임했다. == 기타 == * 전체년도 1픽에 지명된 선수임에도 불구 미흡한 활약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김동우(농구)|김동우]]나 [[박성진(농구)|박성진]]등과 최악의 1픽을 고르자면 언급되는 선수다. 주요 별명은 '''전대만'''인데, 잘할때는 3점슛에서 뛰어난 모습을 보이기 때문이고, 못할 때는 [[3점 슛]]밖에 없다고 까인다(...). 또한 다른 별명은 '''추'''정규이다. [[추일승]] 감독이 양아들처럼 기용한다며 불리는 별명이다. * 또 하나의 별명으로는 플레이스타일에서 유래된 '''[[아크라이트 공성 전차|시즈모드]]'''가 있는데, '''캐치 앤 샷의 비중이 매우 높고 그 슛이 매우 정확하기 때문'''이다. ~~확률이 반타작인 것처럼 보이는 이유는 언덕을 노리고 쏴서 그런 거라 카더라~~ *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 있는데 [[원불교]] 신자다. == 관련 문서 == * [[농구 관련 인물(한국)]] *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선수단]] *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선수단]]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농구 선수]][[분류:진안군 출신 인물]][[분류:1983년 출생]][[분류:2006년 데뷔]][[분류:2018년 은퇴]][[분류:슈팅 가드]][[분류:스몰 포워드]][[분류: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은퇴, 이적]][[분류:고양 오리온 오리온스/은퇴, 이적]][[분류:대한민국의 원불교 교도]][[분류:담양 전씨]][[분류:광주고등학교(광주) 출신]][[분류:연세대학교 출신]][[분류:상무 농구단/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