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슈퍼전대 시리즈)] ||<-2> {{{+2 '''{{{#!html 전}}}''''''{{{#!html 자}}}''''''{{{#!html 전}}}''''''{{{#!html 대}}}''' '''{{{#!html 덴지맨}}}''' [br] '''{{{#!html 電}}}''''''{{{#!html 子}}}''''''{{{#!html 戦}}}''''''{{{#!html 隊}}}''' '''{{{#!html デンジマン}}}'''[* 17년 뒤의 작품인 [[전자전대 메가레인저]]와 전대명은 비슷하지만 이쪽은 電子를 쓰고 후의 작품은 電磁를 쓴다. 한국어로 보면 같은 이름이지만, 일어로는 덴지맨은 でんし(덴시), 메가레인저는 でんじ(덴지)로 미묘하게 발음이 다르다. 가타카나로 쓴 デンジ의 한자는 電磁로 전체를 한국어로 풀이하면 '전자전대 전자맨'이 된다. 다만 비슷한 이름을 쓰는 덕분인지 주력 메카가 단일 변형 메카라는 점, 최초의 변신 아이템(덴지맨은 휴대용+반지, 메가레인저는 휴대폰)이 등장하는 점 등이 유사하다.]}}}[br]'''Denshi Sentai Denziman''' [br] (1980)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덴지맨 포스터.jpg|width=100%]]}}} || || '''{{{#fff 방송 시간}}}''' ||매주 [[토요일]] 오후 18:00 ~ 18:30 (30분 방영) || || '''{{{#fff 방송 기간}}}''' ||[[1980년]] [[2월 2일]] ~ [[1981년]] [[1월 31일]] || || '''{{{#fff 방송 횟수}}}''' ||51화 || || '''{{{#fff 제작}}}''' ||[[테레비 아사히]][br] [[토에이]] || || '''{{{#fff 채널}}}''' ||[[테레비 아사히]] || || '''{{{#black 원작}}}''' ||[[야츠데 사부로]] || ||<|2> '''{{{#black 프로듀서}}}''' ||[[테레비 아사히]] : 오치아이 카네타케, 우스이 유야케 || ||[[토에이]] : [[요시카와 스스무]] || || '''{{{#black 감독}}}''' ||[[타케모토 코이치]] 외 || || '''{{{#fff 각본}}}''' ||[[우에하라 쇼조]], [[소다 히로히사]] 외 || || '''{{{#fff 내레이션}}}''' ||[[오오히라 토오루]] || || '''{{{#fff 출연}}}''' ||유우키 신이치, [[오오바 켄지]], 츠야마 에이치, [[우치다 나오야]], 코이즈미 아키라 외 || || '''{{{#fff 첫 에피소드}}}''' ||초요새로 급행하라(超要塞へ急行せよ) || ||<-2> [[파일:덴지맨로고.png|width=70%]] || [목차] == 작품 소개 == || [youtube(xP438otmCbY)] || || 극장판 예고 트레일러 || > '''"보아라! 전자전대! 덴지맨!"''' [[슈퍼전대 시리즈]] 제4작으로 덴지성인의 후예인 덴지맨과 베이더 일족의 대결을 그리고 있다. 파워레인저 퍼팩트 대백과 및 캡틴포스, 젠카이저에서의 명칭은 ''''파워레인저 파워맨''''. == 특징 및 평가 == 전기와 기계의 힘을 쓰는 전대와 지구를 오염시키려고 하는 악당이 싸우는 작품으로 [[우에하라 쇼조]]는 이 작품에 환경보호에 대한 메세지를 담았다고 한다. [* 우에하라 쇼조는 [[울트라 시리즈|울트라맨]], [[시공전사 스필반]] 등 여러 작품에서 환경 보호를 주장했다.] 덴지맨의 D 마크는 살짝 떨어져 있는데 이는 환경 보호의 [[에코]](エコ)도 의미한다. 포피와 반다이가 손을잡고 야침차게 기획한 작품으로 우주세계의 SF 파노라마적인 요소를 부각시켰다. 그 배경에는 1979년 일본에서 발매되어 그야말로 선풍적인 인기를 끈 '''[[스페이스 인베이더]]'''의 존재가 있었다. "전자"라는 요소를 강조하는 것도 원 모티브가 전자오락이기 때문이며, 적 조직의 이름이 '''베이더''' 일족인 것 또한 그렇다. [[스타워즈]]의 개봉으로 당시 SF 붐이 한창이었던 영향도 크다.[* 1978년에는 토에이에서 스타워즈의 오마쥬적 작품인 [[우주로부터의 메세지 은하대전]]를 제작하기도 했다.] [[비밀전대 고레인저]]에서 채용한 다색의 전사들이라는 설정을 부활시키고 작품 내에서 전대라는 단어를 최초로 사용하는 등 슈퍼전대 시리즈의 많은 부분을 이룩한 작품이다. 덴지맨 제작 당시에 [[마블 코믹스]]와 맺은 제휴계약 기간이 남아서 전작 [[배틀피버 J]]처럼 아메리카 히어로를 등장시키는 것도 가능해 초기에는 헐크 등의 캐릭터를 활용하자는 안도 있었지만, 고레인저에서 이어진 전대 컨셉을 사용하면서 폐기했으며 헤드리안 여왕의 복장 정도[* [[헬라(마블 코믹스)|헬라]]의 디자인을 허가받고 사용했다.]에 약간 흔적을 남기는 정도로 최대한 마블과의 연관성을 제거 했다. 전작 [[배틀피버 J]]가 전투의 프로들이라는 설정을 가지고 있었기에, 다음 작품은 전투의 프로가 아닌 일반인[* 물론 멤버들을 살펴보면 아주 일반적인 사람들은 아니다. 공수도 달인에 IQ 200인 멤버도 있으니 말이다.]을 사용하자는 컨셉을 잡았으며, 멤버들이 우주인의 후손이라는 설정등을 통해 SF의 느낌을 충분히 줄 수 있게끔 의도했다. 헬멧에 고글을 접목시켰으며 변신 도구[* 덴지 링이라는 반지이다. 슈퍼전대 시리즈 최초의 휴대용 변신 아이템(최초의 변신 아이템은 [[잭커 전격대]]의 강화캡슐.)인 동시에 유일한 반지형 변신 아이템이다.]를 이용하여 변신하는 전대. 허나 당시의 기술력이 낮아 고글의 강도가 충분하지 않았기 때문에 시야 확보용 구멍을 뚫은 헬멧과 번갈아가면서 사용했다고 한다. 덴지맨의 최대 특징은 최초의 변형 거대 로봇인 [[다이덴진]][* 설정상 60m로 이 크기를 뛰어넘은 전대 로봇은 손에 꼽는다.]의 등장을 들 수 있으나 변형 기믹은 [[메탈 히어로 시리즈]]에 영향을 주고 오히려 전대 시리즈에는 큰 영향을 주지 못해 후기 작품들에선 주로 주역 로봇보다는 후속 로봇에게 쓰이는 경향을 보여주게 된다. 또한 전대 시리즈 첫 마스코트 캐릭터 [[덴지견 아이시]]도 큰 비중이 있으며 인기를 끌었다. 진짜로 개를 데리고 찍었다. 고글을 활용한 슈트 디자인과 변형 거대로봇까지 이후의 전대의 기본을 구축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방영 당시에도 높은 인기와 평가를 얻어 고레인저 이후 다소 부진하던 전대 시리즈를 지금의 장기 시리즈로 만들어준 역사적 작품으로 여겨졌다. 시청률도 전대 시리즈 역대 2위. [[해적전대 고카이저]]에서도 비중있게 다뤄졌다. 반면 80년대 중반 전대의 인기가 높은 한국에선 별로 관심가지는 사람들이 없는 편이다. 제대로 된 팬 자막도 거의 없고 더빙판도 없기 때문에 접근성이 크게 떨어지는 것도 이유 중 하나.[* 현대의 전대와는 구성이 많이 달라서 전대 시리즈에 넣어도 되는가로 논의가 벌어지기도 하는 고레인저, 잭커, 배틀피버J는 그렇다 치더라도 본격적인 슈퍼전대 시리즈 중에서 제대로 된 번역조차 존재하지 않는 건 이 작품 뿐이다. 타 전대의 사례를 보더라도 [[공룡전대 쥬레인저]]와 [[전자전대 메가레인저]]는 전체적으로 엉성하기는 해도 그럭저럭 볼 수는 있으며, [[대전대 고글파이브]]는 편집이 심하지만 더빙판이라도 존재한다. 하다못해 일부라도 자막이 존재하는 작품들도 제법 있다.] [[파일:9snSjkN.jpg]] 슈퍼전대 시리즈 중에서는 매우 드물게 차기작과 직접적으로 세계관이 연결되는 전대이다. 최종보스인 [[헤드리안 여왕]]이 차기작 [[태양전대 선발칸]]에서 부활해 재등장한다. 선발칸 본편에서 덴지맨도 출연시키려 했으나 무산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대신 에피소드 중간에 덴지맨과 [[덴지 공주]]를 언급하는 에피소드가 있다. 여담으로 83년작 한국 로봇 애니메이션 '철인삼총사'에 등장하는 로봇인 '철인삼총사 1호'는 다이덴진을 표절한 것이다.[* 다이덴진뿐만 아니라 수송 메카인 '덴지타이거'까지 표절했다. 사실 80년대 한국 로봇 애니메이션은 오리지널 디자인을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표절 일색이었으며, 특히 특촬 주역 로봇들의 디자인을 많이 도용했는데, 다이덴진 역시 그 희생양인 셈이다.] 또한 반다이가 최초로 미국시장에 진출하여 완구를 팔려는 시도가 이 작품에서 처음 있었다. 반다이 초합금 시리즈의 미국판인 고다이킨 이라는 명칭으로 첫 서양 시장에 입성하는데 정식으로 미국의 완구 업계에 들어온게 가장 큰 공헌을 한것이 바로 이 다이덴진이다. 국내에선 대영팬더에서 후뢰시맨 시리즈 7탄으로 나오려 했다가 대영팬더의 부도로 무산됐다는 소문이 있었으며 일부 관련 완구들이 국내에서 혹성전자 혹은 전자인간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된 적이 있었다. 그밖에 덴지맨이 선발칸, 다이나맨과 함께 해적판으로 나왔었다는 소문도 있었는데 이건 사실이 아니다.[* 해적판 소문의 경우 완구가 수입된것으로 인해 나온 소문으로 보이며 특히 다이나맨의 경우 다이나 로보가 국산 영화에 등장해서 더욱 이런 소문이 나온듯하다.] 다만 1981년에 덴지맨의 변신체가 전자인간이라는 이름으로 완구로 발매된 적이 있다. == 등장인물 == === 덴지맨(파워맨) === 덴지맨(파워맨)은 덴지 링이라는 반지로 변신한다. 반지를 올리고 '덴지 스파크!(파워 변신)'라고 외치면 반지에서 강화복이 나오며 이를 착용하고 변신한다.[* 고카이저에서 변신할땐 변신 임팩트가 달라진다] 참고로 나온 옷과 마스크는 직접 갈아입어야 한다. 신기하게도 벗을 때는 사라지듯이 순식간에 벗겨진다. 1편의 언급으로는 덴지맨으로 변신하면 신체능력이 올라가 100M 달리기에 '''3초'''[* 시속 '''120Km''' 치타와 비슷하다] 높이 뛰기는 150M라고 한다 덴지맨 5명은 시리즈 최초로 멤버 전원이 군인이나 특수 신분이 아닌 민간인인 전대이며 평소에는 헬스 클럽에서 강사로 일한다. 세상 사람들에게는 정체를 비밀로 하고 있지만 28화에서 인터폴로부터 의뢰를 받는 등 사회적으로 어느정도 신뢰를 받는 것으로 묘사된다. 베이더 일족의 말에 따르면 덴지별에도 전자전대가 존재했다고 한다. 멤버의 성에는 일본어로 자신의 컬러가 들어가있다. ||'''코드명'''||'''캐릭터명'''||'''국내명'''[* 국내명은 캡틴포스및 국내 정식 판매된 파워레인저 퍼팩트 대백과에서의 명칭이다.]||'''담당 배우'''||'''국내판 성우'''[* 캡틴포스VS미라클포스에 등장한 오우메 다이고로 한정.]|| ||'''{{{#red 덴지 레드(파워 레드)}}}'''||[[아카기 잇페이]]||페이||유우키 신이치||-|| ||'''{{{#0000cd 덴지 블루(파워 블루)}}}'''||[[오우메 다이고로]]||로우||[[오오바 켄지]]||[[이재범(성우)|이재범]]|| ||'''{{{#eed202 덴지 옐로(파워 옐로)}}}'''||[[키야마 준]]||마키||츠야마 에이치||-|| ||'''{{{#green,#7fff7f 덴지 그린(파워 그린)}}}'''||[[미도리카와 타츠야]]||미도||[[우치다 나오야]]||-|| ||'''{{{#pink 덴지 핑크(파워 핑크)}}}'''||[[모모이 아키라]]||아키||코이즈미 아키라||-|| * [[덴지견 아이시]] * [[덴지 공주]] * [[마츠오 치에코]] * [[전자전대 덴지맨/무장]] === [[베이더 일족]] === == 등장 메카 == * [[다이덴진]] [[파일:attachment/다이덴진/denji-ar-robo.jpg]] * [[다이덴진#s-3|덴지 타이거]]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Denzitiger.jpg]] == 주제가 == === 오프닝 === ||<-2> [include(틀:navervid, vid=54BA35B0102E6E76575864BAEDD96BED6A22, outkey=V1290ce492e60ec41435f3c1632797a9239000ff67dfbc8d314113c1632797a923900, width=740, height=416)] || ||<-2> '''전자전대 덴지맨 OP - 아아 전자전대 덴지맨[br](ああ電子戦隊デンジマン)''' || || '''작사''' || 코이케 카즈오 || || '''작/편곡''' || [[와타나베 츄메이]] || || '''가수''' || [[나리타 켄(가수)|나리타 켄]] || === 엔딩 === ||<-2> [include(틀:navervid, vid=6DCEF48FE07EACF2051D5B6D9C178BE30775, outkey=V128523910c08174990affa9ef02bb32dbb9bdc5dd10ff20efcaefa9ef02bb32dbb9b, width=740, height=416)] || ||<-2> '''전자전대 덴지맨 ED - 덴지맨에게 맡겨라![br](デンジマンにまかせろ!)''' || || '''작사''' || 코이케 카즈오 || || '''작/편곡''' || 와타나베 츄메이 || || '''가수''' || 나리타 켄 || == 방송 목록 == || 방영일 || 방영 화수 || 제목 || 특이사항 || || 1980/02/02 || 1화 || 초요새로 급행하라 || || || 1980/02/09 || 2화 || 사람을 먹는 비누방울 || || || 1980/02/16 || 3화 || 기름 지옥 대소동 || || || 1980/02/23 || 4화 || 베이다 마성 추격 || || || 1980/03/01 || 5화 || 벽에 붙은 붉은 독화 || || || 1980/03/08 || 6화 || 악마 신분의 소녀 || || || 1980/03/15 || 7화 || 덴지성(星)의 대비극 || || || 1980/03/22 || 8화 || 백골도시의 대마왕 || || || 1980/03/29 || 9화 || 죽음을 부르는 괴기 전화 || || || 1980/04/05 || 10화 || 마법 요리 매우 좋아 || || || 1980/04/12 || 11화 || 목숨 도둑을 쫓아라 || || || 1980/04/19 || 12화 || 위험한 어린이 스파이 || 마츠오 치에코 등장 || || 1980/04/26 || 13화 || 갈라진 무지개빛 풍선 || || || 1980/05.03 || 14화 || 100점 학원으로 와 || || || 1980/05/10 || 15화 || 악의 정원으로의 초대장 || || || 1980/05/17 || 16화 || 아타미의 음모를 부숴라 || || || 1980/05/24 || 17화 || 울지 마! 야구 소년 || || || 1980/05/31 || 18화 || 남해에서 피는 로망 || || || 1980/06/07 || 19화 || 나의 별의 왕자님 || || || 1980/06/14 || 20화 || 고릴라 소년 날뛰다 || || || 1980/06/21 || 21화 || 죽음의 신당을 공격하라 || || || 1980/06/28 || 22화 || 초시간 불가사의 체험 || || || 1980/07/05 || 23화 || 천장을 걷는 악마 || || || 1980/07/12 || 24화 || 함정에 빠진 괴력남 || || || 1980/07/19 || 25화 || 호랑이의 구멍은 도주 미로 || || || 1980/07/26 || 26화 || 덴지공주의 우주곡 || || || 1980/08/02 || 27화 || 붉은 장수풍뎅이 폭탄 || || || 1980/08/09 || 28화 || 주문의 관의 밀살자 || || || 1980/08/16 || 29화 || 초능력 형사의 급습 || || || 1980/08/23 || 30화 || 사라진 도둑이 나왔다 || || || 1980/08/30 || 31화 || 마법사 비술 전투 || || || 1980/09/06 || 32화 || 지옥의 대총격전 || || || 1980/09/13 || 33화 || 흡혈악기 레슨 || || || 1980/09/27 || 34화 || 슬픈 기아(棄兒)의 이야기 || || || 1980/10/04 || 35화 || 수수께끼의 직녀성 공주 || || || 1980/10/11 || 36화 || 용기있는 강아지의 시 || || || 1980/10/18 || 37화 || 만력 반리키 마왕 || 반리키 마왕 등장 || || 1980/10/25 || 38화 || 무한마공의 대모험 || || || 1980/11/01 || 39화 || 여왕 분노의 요마술 || || || 1980/11/08 || 40화 || 챔피언의 적 || || || 1980/11/15 || 41화 || 사상 최대의 총력전 || || || 1980/11/22 || 42화 || 소년을 삼킨 나쁜 꿈 || || || 1980/11/29 || 43화 || 수수께끼 일곱 빛깔 레이디 || || || 1980/12/06 || 44화 || 불가사의 램프 이야기 || || || 1980/12/13 || 45화 || 2명의 덴지공주 || 덴지 공주 등장 || || 1980/12/20 || 46화 || 배가 꼬륵, 지옥X 계획 || || || 1980/12/27 || 47화 || 아침 해에 사라진 인어 || || || 1981/01/10 || 48화 || 반리키 마왕의 반란 || || || 1981/01/17 || 49화 || 베이다 성 대이변 || || || 1981/01/24 || 50화 || 장군 두 번 죽다 || 헤드라 장군 사망 || || 1981/01/31 || 최종화 || 울려라, 희망의 종이여 || 케라, 미라 사망[br]반리키 마왕 사망[br]덴지견 아이시 성불[br]헤드리안 여왕 퇴장 [* 사망이 아닌 퇴장이다. 덴지맨에게 작별을 고한 이후 동면상태에 있다가, 태양전대 선발칸 5화에서 블랙마그마의 인공심장을 이식받고 소생하였다.] || == 관련 작품 == * 극장판 전자전대 덴지맨 * [[고카이저 고세이저 슈퍼전대 199히어로 대결전]] - [[오우메 다이고로]] 게스트 출연 * [[해적전대 고카이저 VS 우주형사 갸반]] - [[오우메 다이고로]] 게스트 출연 == 같이 보기 == [include(틀:전자전대 덴지맨)] [[분류:전자전대 덴지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