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000000,#dddddd '''{{{+1 전자오락의 마법사}}}''' (1989)[br]The Wizard}}}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전자오락의 마법사.jpg|width=100%]]}}} || || '''장르''' ||[[코미디]], [[드라마]] || || '''감독''' ||토드 홀랜드 || || '''각본''' ||데이빗 치스홀름 || || '''제작''' ||데이빗 치스홀름[br]켄 토폴스키 || || '''출연''' ||프레드 세비지[br][[보 브리지스]][br][[크리스찬 슬레이터]] 외 || || '''촬영''' ||로버트 D. 예오만 || || '''음악''' ||J. 피터 로빈슨 || || '''제작사''' ||피네건/핀추크 컴퍼니[br]파이프라인 프로덕션[br][[유니버설 픽처스]] || ||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우진필림 || ||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유니버설 픽처스]][br][[파일:세계 지도.svg|width=20]] [[캐롤코 픽처스]] || ||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1989년]] [[12월 15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991년]] [[7월 13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1년]] [[5월 19일]](재개봉) || || '''상영 시간''' ||100분 || || '''제작비''' ||600만 달러 || || '''북미 박스오피스''' ||$2,142,525(214만 달러) || || '''월드 박스오피스''' ||$14,278,900(1430만 달러)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9,107명(서울) || || '''[[영상물 등급 제도/미국|상영 등급]]''' ||[[파일:PG 로고.svg|width=40]] '''전체관람가(보호자 지도 필요)'''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전체 이용가|[[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width=30]] {{{#373a3c,#dddddd 연소자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1989년에 개봉한 [[미국]]의 [[어린이 영화]]로, [[캘리포니아]]에서 열리는 [[비디오 게임]] 대회 '비디오 아마겟돈'에 참가하기 위해 모험을 떠나는 세 명의 아이들을 중심으로 한 [[로드 무비]]다. 비디오 게임 회사 [[닌텐도]]의 후원을 받아 닌텐도 제품이 [[간접광고]]로 들어갔다. 북미에는 이 영화를 통해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3]]》를 처음으로 공개했다.[* 일본에는 앞서 1988년에 출시해 게임 잡지를 통해 알려졌다.] 흥행과는 별개로 광고가 지나치게 많아 평은 나쁘지만, 어린 시절에 본 사람들에겐 나름 추억의 영화라 [[컬트#s-2]]적인 인기가 있다. == 예고편 == [youtube(uEbqd2QMkuw)] == 줄거리 == >코리의 가족이 어른들의 일방적인 이혼 결정에 의하여 붕괴되자 코리의 배다른 동생 지미는 그 충격으로 [[실어증]]에 걸린다. 그런 동생을 위해 코리는 지미와 함께 집을 나선다. 여행길에서 코리는 지미가 복잡한 비디오 게임에 놀랄만한 재능을 가지고 있음을 알게 된다. 이에 코리일행은 [[로스앤젤레스|L.A]]에서 벌어지는 전국 비디오게임에 참여하기 위해 L.A로 향한다. 한편 코리의 아버지와 형은 가출한 꼬마들을 찾으러 나서고 지미의 엄마는 가출한 아이들만 전문적으로 찾아내는 사람을 고용한다. 코리일행은 갖은 우여곡절끝에 비디오게임 시합장에 도착하고, 지미는 손에 땀을 쥐게 하는 각축전 끝에 경쟁자들을 물리치고 최고의 승자가 된다. 시합을 지켜보던 지미의 부모도 더이상 지미가 저능아가 아니라는 사실을 인정하고 비로소 가족들은 서로를 이해하며 화해의 분위기가 무르익게 된다. >---- >[[https://www.kmdb.or.kr/db/kor/detail/movie/F/03545|KMDb]] == 제작 비화 == 원래 1989년 크리스마스 대목에는 [[우주가족 젯슨]] 극장판이 개봉할 예정이었으나, [[유니버설 픽처스]]는 이 영화를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디즈니]]의 [[인어공주(애니메이션)|인어공주]]와 자사의 [[백 투 더 퓨처 시리즈|백 투 더 퓨처 2]] 등의 영화들과의 경쟁을 피하기 위해 개봉을 연기하게 된다. 당해 크리스마스 시즌에 개봉할 다른 가족 영화가 필요했던 유니버설은 당시 선풍적인 인기를 끌던 [[닌텐도]]를 보고, 비디오 게임에 대한 영화를 만들면 대박이 날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이에 당시 유니버설의 회장이던 톰 폴락은 당시 닌텐도의 마케팅 임원이던 빌 화이트와 피터 메인과 만나 새로운 영화에 대한 논의를 하게 되는데, 이때 그가 낸 아이디어는 영화 <[[Tommy(음반)#s-3|토미]]>를 전연령 버전으로 만들자는 것이었다. 닌텐도는 자신들의 상품을 영화에서 사용토록 허가해주는 대가로, 라이선싱 비용과 더불어 영화의 각본 및 게임 화면에 대한 권한을 가져가게 된다. 닌텐도의 게임들과 [[NES]]의 주변기기들과 더불어, 영화에는 당시 개장을 앞두고 있던 [[유니버설 스튜디오 플로리다]]에 대한 [[PPL]]이 들어가게 된다. 거기에다, 당시 미국에서는 출시하지 않은 닌텐도의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3]]>도 영화의 하이라이트 부분에 등장하여 게이머들의 기대를 높여만 갔다.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the-wizard, critic=23, user=미정)]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wizard, tomato=27, popcorn=59)] [include(틀:평가/IMDb, code=tt0098663, user=6.0)] == 등장 게임 == * [[메트로이드]] * [[https://en.wikipedia.org/wiki/Rad_Racer|레드 레이서]] * [[더블 드래곤]] * [[슈퍼 마리오 USA]] * [[https://en.wikipedia.org/wiki/R.C._Pro-Am|R.C. 프로암]] * F1 드림 * [[콘트라(게임)|콘트라]] * [[닌자 용검전]] * [[록맨 2]] * [[닌자 거북이(게임)|닌자 거북이]] *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3]] * [[젤다의 전설 2 링크의 모험]][*언급 대사로만 언급된다.] * [[드라큘라 2 저주의 봉인]][*언급] * [[서유항마록]] 이외에 [[https://ko.wikipedia.org/wiki/플레이초이스-10|플레이초이스-10]]이나 [[파워 글러브]] 같은 게임기도 등장한다. [[https://blog.naver.com/kisswing0/222134873406|#]] [youtube(Bvq9rME4Iv0)] == 음악 == * 보딘스 - You Don't Get Much, Red River * 팻시 클라인 - "Leavin' on Your Mind" * [[뉴 키즈 온 더 블록]] - "You Got It (The Right Stuff)", "Hangin' Tough" * 리얼 라이프 - "Send Me an Angel '89" * 마사 앤 더 반델러스 - "Nowhere to Run" * 폴 캐랙 – "I Live by the Groove" * [[바비 브라운]] – "Don't Be Cruel" * [[폴 앵카]] – "My Way" * 샐리 드워스키 – "I Found My Way" == 기타 == 국내에는 1991년 [[전체 이용가|연소자관람가]]로 개봉했다. 이후 2021년 [[한국영상자료원]]의 [[https://www.koreafilm.or.kr/cinematheque/programs/PI_01337|GAMExCINEMA]] 특별전에서 재상영했다. [[SKC]]를 통해 정발한 VHS 비디오의 한국어 자막은 더블 드래곤을 '드래곤 게임', 닌자 가이덴(닌자 용검전)을 '닌자 게임', 캐슬바니아 2: 사이먼의 원정(드라큘라 2 저주의 봉인)을 '사이몬 게임'으로 표기했다. 제목이 제대로 표기한 게임은 닌자 거북이 뿐으로,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3 제목이 언급되는 부분은 아예 자막이 나오지 않는다. [[토비 맥과이어]]의 데뷔작으로, 루카스[* 위의 영상에서 [[파워 글러브]]를 사용하는 인물.]의 친구 역으로 출연했는데 [[엔딩 크레딧]]에는 나오지 않는다. [youtube(Y5wK5Z23hoo)] [[The Angry Video Game Nerd]]의 리뷰로, 영화의 하이라이트인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3]]》 리뷰도 겸한다. == 외부 링크 == * [[영어 위키백과]] [[https://en.wikipedia.org/wiki/The_Wizard_(1989_film)|#]] * [[KMDb]] [[https://www.kmdb.or.kr/db/kor/detail/movie/F/03545|#]] * [[다음 영화]] [[https://movie.daum.net/moviedb/main?movieId=50178|#]] [[분류:1989년 영화]][[분류:미국의 로드 무비]][[분류:미국의 코미디 영화]][[분류:미국의 드라마 영화]][[분류:어린이 영화]][[분류:게임 영화]][[분류:연소자관람가 영화]][[분류:유니버설 픽처스]][[분류:닌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