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전자 분야 자격증)] |||| {{{+2 {{{#FFFFFF '''전자기기기능장'''}}}}}}[br]{{{+2 {{{#FFFFFF '''電子器機技能長'''}}}}}}[br]{{{#FFFFFF '''Master Craftsman Electronic Apparatus'''}}} || || 중분류 || 202. 전자 || || 관련부처 || [[고용노동부]] || ||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실시하는 전자 분야 [[기능장]] 자격시험. 여느 [[기능장]]이 그렇듯 관련직종 9년 이상 경력이거나 기능사+7년, 산업기사+5년 이상 경력 등의 자격조건을 갖춰야 응시 가능하다. 또는 기능사+3년, 산업기사+1년 이상 경력을 갖추고 [[한국폴리텍대학]] 기능장 과정을 이수해도 된다. 한국산업인력공단의 다른 기능장 시험과 다르지 않게 필기와 실기로 나뉜다. 필기는 전자산업기사보다도 난이도가 낮은 편이라 합격률이 50%대이다. 실기 합격률도 30%대로 기능장치고는 높은 편. 전자 분야 자격증은 전기 분야의 [[전기기능장]]과는 달리 선임자격증이 아니다보니 수요가 낮은 편이다. 다만 통신 분야의 [[통신설비기능장]]과는 비슷한 면이 있어 이 두 자격증을 동시에 취득하려는 사람은 꽤 있다. 하위 자격증으로 [[전자기기기능사]] - 전자산업기사가 있고, 기사 자격으로는 [[전자기사]]가 있다. 연 2회 정기검정이 시행되고 있다. 2024년부터는 [[전자기기기능사]]와 마찬가지로 이름도 '전자기능장'으로 바뀌고, 소관부처도 [[산업통상자원부]]로 변경될 예정이다. == 시험의 구성 == === 필기 === 전자기기, 전자응용, 제어시스템, 전자공학, 마이크로프로세서응용에 대해서 객관식 54문제, 공업경영에 대해서 6문제가 출제된다. 평균 60점 이상 취득 시 합격이며, 과락은 없다. 문제의 수준은 [[전자기기기능사]]보다는 당연히 어렵지만, 전자산업기사보다도 쉬운 편이다. 전자산업기사에서 은근히 점수 까먹기 쉬운 [[전기자기학]]이 아예 등장하지 않으니... 다만 필기 문제집이 없어서, 전자기기기능사 책이나 오래된 기출문제 등으로 알아서 공부해야 한다. 한국산업인력공단의 다른 기능장 시험과 마찬가지로 2018년 하반기부터 [[CBT]]로 진행된다. === 실기 === 실기는 2021년부터 복합형으로 변경되었다. 필답형 50점(1시간 30분) + 작업형 50점(3시간). 총합 60점 이상 취득 시 합격이다. 필답형 문제는 [[전자기기기능사]] 실기에서 나왔던 회로스케치 형태의 문제가 10점, 나머지 논리회로, OP-Amp, 각종 단답형 등 8~9문제에서 40점으로 구성된다. 단답형은 전자계산기기사나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수준에서 준비하면 되고, 정 안되면 회로스케치, 논리회로, OP-Amp 합쳐서 20~25점 정도만 얻어도 된다. 작업형 문제는 2021년부터 공개문제이다. 공개문제는 딱 하나. '플립플롭을 이용한 4비트 임의 동기카운터 설계 및 제작'이다. 큐넷 홈페이지에 실기문제가 공개되어 있고, 이를 토대로 D 플립플롭이나 JK 플립플롭을 활용하여 [[브레드보드]] 및 [[SMD]] 기판에 회로를 설계하여 해당 구동 조건을 만족시키면 된다. 완전동작 아니면 오작으로 0점 처리되므로, 작업형은 40점 이상 나오거나 아예 0점이 나오거나 둘 중 하나이다. 오작으로 0점이 나오면 필답형 만점이라도 불합격된다. [[분류:기능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