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컴퓨터 분야 자격증)] [Include(틀:전자계산기 계열 자격증)] |||| {{{+2 {{{#FFFFFF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br]{{{+2 {{{#FFFFFF '''電子計算機組織應用技士'''}}}}}}[br]{{{#FFFFFF '''Engineer Computer System Application'''}}} || || 중분류 || 211. 정보기술 || || 관련부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 || 자격안내 || [[http://www.q-net.or.kr/crf005.do?id=crf00503&jmCd=1322|홈페이지]] || [목차] == 개요 ==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는 컴퓨터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과 시스템 운용을 위한 응용소프트웨어의 설계 및 구성에 따른 효율적인 전산 시스템을 설치, 운영하고 전자계산기 시스템을 유지, 보수하는 능력을 평가하여 부여하는 [[국가기술자격]] 중 [[기사]] 자격이다. 2026년에 [[전자계산기기사]]를 흡수합병하고, 명칭도 컴퓨터시스템기사로 바뀐다. == 시험 == 본디 [[기사]] 시험 응시 자격은 관련 학과 학사 학위(또는 취득 예정자), 또는 현업에서 일정 기간 이상의 종사를 요구한다. 2012년 6월 7일 개정되고 2013년 1월 1일부터 시행되는 [[고용노동부]]고시 제2012-49호 "[[국가기술자격]]의 종목별 관련학과 고시"([[http://www.law.go.kr/admRulInfoP.do?admRulSeq=2000000019259 |#]])에서 IT 계열은 '전기·전자'와 '정보통신' 분야가 있고, '정보통신' 분야는 '정보기술', '방송·무선', '통신'의 3개의 분야가 있다. 해당 고시에 따르면 그 중 '정보기술' 분야에 포함되는 [[정보관리기술사]],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정보처리기사]], [[정보보안기사]], [[빅데이터분석기사]], [[사무자동화산업기사]], [[정보처리산업기사]], [[정보보안산업기사]]의 8개 자격은 모든 학과가 응시 가능하다. 즉, 4년제 대학교만 졸업하면 관련 학과를 졸업했다고 인정한다는 의미이다. 예전에는 전자계산기조직응용산업기사도 있었지만 2005년에 전자계산기산업기사와 함께 [[전자계산기산업기사]]로 통합되었다. 참고로 전자계산기산업기사는 전자 분야인데 정보기술 분야인 전자계산기조직응용산업기사가 전자 분야 쪽으로 통합된 것이다. [[전자계산기기술사]]가 [[전자계산조직응용기술사]] 쪽으로 통합된 것과는 반대의 경우. 통합시 어느 쪽으로 가는 지는 응시자 수를 따르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전자계산기산업기사는 2009년에 디지털제어산업기사와 함께 [[전자계산기제어산업기사]]로 통합되었다. 1, 3회차 시험이 실시되고 있다. 정보처리기사에 비해 하드웨어 내용을 더 본다. 이보다 더 하드웨어 비율이 큰 시험은 전자계산기기사 시험이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하드웨어> [[전자계산기기사]] -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 [[정보처리기사]] <소프트웨어> === 필기 === 필기는 객관식 4지 택일형에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이며, 5과목이므로 총 150분이다. 과목은 전자계산기프로그래밍, 자료구조 및 데이터통신, 전자계산기구조, 운영체제, 마이크로전자계산기이다. 2020년 전까지는 2년 내에 정보처리기사를 취득했다면 전자계산기구조와 운영체제가 면제되어 3과목만 응시할 수 있다. [[2020년]]부터 [[정보처리기사]]가 전면 개편되면서,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에서 과목면제 제도가 폐지되었다. 비슷한 자격시험들과 비교하면 아래와 같다. ||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 [[정보처리기사/시험/2019년까지|舊 정보처리기사]]^^~2019^^ || [[전자계산기기사]] || ||1. 전자계산기프로그래밍 || X ||1. 시스템프로그래밍 || ||2. 자료구조 및 데이터통신 ||1. 데이터베이스[br]5. 데이터통신 ||5. 데이터통신 || ||3. 전자계산기구조 ||2. 전자계산기구조 ||2. 전자계산기구조[br]4. 논리회로 || ||4. 운영체제 ||3. 운영체제 ||1. 시스템프로그래밍 || ||5. 마이크로전자계산기 || X ||3. 마이크로전자계산기 || || X ||4. 소프트웨어공학 || X || === 실기 === 2019년 상반기까지의 실기는 복합형(80:20)이었다. 작업형 시험은 주어진 [[도면]]에 따라 [[기판]](28 × 62 등)을 이용하여 [[전자회로]]를 구성하는 것. 전공에 상관없이 도전할 수 있는 [[기사]] 시험이지만 실기 시험에 [[납땜]] 과정이 있어 [[전공자]]가 아니면 [[독학]]하기가 심히 곤란하다. 2019년 하반기부터는 정보처리기사와 마찬가지로, 100% 필답형으로 바뀌었다. 2019년 3회 이후 필답100%가 되었으나 2020년 실기부터는 기출 40% 수준이 나와 기출 15개년치를 외워가면 턱걸이 수준까진 가능하다. 그러나 점점 기출에서 나오는 빈도가 낮아지고 있다. 2023년 1회 시험에서는 합격자가 단 4명으로 역대 가장 낮은 합격률(약 1%)을 기록했다. 2023년 3회 시험에서는 그나마 합격자가 25명으로 늘어났지만, 6%의 합격률을 기록하여, 올해들어서 갑자기 어려워졌다. == 2026년 개정 예정 == 고용노동부에서는 2026년부터 [[전자계산기기사]]와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를 병합하여, 명칭을 컴퓨터시스템기사로 바꾸는 국가기술자격법 시행규칙 개정안을 관보에 게재하였다. 병합 이후에는 정보기술분야로 분류되어 모든 학과 졸업(예정)자에게 응시자격이 부여될 예정이다. 컴퓨터시스템기사의 출제 분야는 다음과 같다. 필기시험 1. 운영체제 및 시스템 소프트웨어 2. 컴퓨터 구조 3. 컴퓨터 프로그래밍 4. 디지털회로 및 데이터 통신 실기시험 컴퓨터시스템 실무 == 기타 == [[정보처리기사]]처럼 이 자격 취득으로 유사 분야 기사의 응시 자격이 생긴다. 해당 분야의 목록은 정보처리기사 취득시와 같으므로 [[정보처리기사#s-8]] 문서 참고. 2020년에 응시자 수가 증가했다. 같은 해 정보처리기사가 개정되어 난이도가 올라가자 정보처리기사를 징검다리 삼아 다른 기사 응시자격을 갖추려던 비전공자들이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를 대안으로 선택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2019년에 출제기준이 개정되었으나, 실기가 복합형에서 필답형으로 바뀌었다는 내용 이외에 바뀐 정보는 없다. 과목과 세부 내용까지 그대로 유지되었다. 공부할 때는 (구)정보처리기사 자료가 비슷하고 인터넷으로 쉽게 검색되므로 도움이 된다. [[분류:컴퓨터]][[분류: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