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송 관련 정보]] [목차] == 개요 == [[파일:20190608_185729.jpg|width=60%]] 데이터방송의 일종으로 [[인터넷]] 등의 연결 없이도 방송 [[프로그램]]의 [[편성표]]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 영어 표현 Electronic Program Guide의 약자인 EPG로도 많이 불린다. 일본어로는 電子番組表 혹은 電子番組ガイド. 시간, 제목, 채널, 장르 등의 기준을 통해 원하는 프로그램을 검색하거나 방송내용, 출연자 또는 [[자막#s-4.2|자막방송]], [[화면해설방송]], 데이터방송 여부 등의 정보를 확인하거나 예약시청, 예약녹화 설정 등을 여러가지로 활용할 수 있다. [[ATSC]] 1.0에서는 EPG로 불렸으나 ATSC 3.0([[4K UHD]])에서는 기존 EPG에 이미지나 동영상 등을 링크하여 활용범위가 넓어진 ESG(Electronic Service Guide, 전자 서비스 안내, 電子サービスガイド)가 표준 명칭이 되었다. [[https://www.tta.or.kr/data/androReport/ttaJnal/167-2-3-8.pdf|자료1]], [[https://kosen21.org/knowledgeK/curatorArticleDetail.do?articleSeq=ARTICLE_000000017675|자료2]] 다만 국내 UHD 보급이 지지부진한데다, 같은 약자를 쓰는 [[ESG|환경-사회-투명 경영]]쪽 용례가 널리 쓰여서 인지도는 EPG쪽이 상대적으로 높다. == 대한민국의 경우 == 대한민국의 경우 대부분의 [[지상파]] 방송사에서 프로그램 이름과 편성시간 정도의 정보만 제공하는 등 매우 부실하게 관리되고 있다. * [[KBS]]와 [[EBS]]는 그나마 부가설명에 프로그램 회차 정도는 추가로 기재해주나, [[MBC]]와 [[SBS]]는 설명란을 활용하지 않고 있다. * 국내 EPG로는 편성표 기준의 1일 단위[* 5시 방송시작부터 새벽 정파시간까지. 방송사에 따라 심야시간에도 정파시간까지의 편성표만 업데이트되는 경우와 심야시간에 익일 오전 편성표가 업데이트되는 경우로 나뉜다.]의 분량만 공개된다. * EPG의 표기 기준이 방송사마다 상이하다. [[KBS]]나 [[SBS]], [[EBS]]의 경우 각 프로그램의 타이틀(오프닝) 시각에 맞추어 EPG 시작시간이 설정된 반면, [[MBC]]의 경우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690722|다음프로그램 안내]] 시각에 맞추어 EPG 시작시간이 설정되어 있다.[* 다음프로그램 안내 시간에 맞춰 광고 수익의 주체가 되는 프로그램이 바뀌기 때문에 어찌 보면 이게 더 정확할 수도 있다.] [[SBS 네트워크]] [[지역민방]]의 경우도 전부 개별 방송국이다 보니 기준이 모두 상이하다. 어떤 지역민방 방송사는 --넣기 귀찮았는지-- 1분단위도 아니고 그냥 5분 단위로 시간이 설정되어 있어 사실상 홈페이지 편성표를 보는것과 다름없기도 하다. 그 외에도 [[CJ ENM]]계열처럼 광고 후 연령고지안내 시점으로 EPG 시작시간을 표시하는 경우도 있다. * 또한 [[MBC]] 한정으로 마지막 프로그램 안내가 이상하게 설정되어 있다. 타 방송국의 경우 별도의 정파시각을 EPG에 고지하거나 마지막 프로그램의 방송시간을 실제 방송시간에 맞추어 표출하는 반면, MBC는 마지막 프로그램의 종료시간이 다음 방송일 첫 프로그램 시작시간까지로 설정되어 있다. * [[뉴스]] 등 [[생방송]] 프로그램이 방송되면 편성표에 방송을 맞추는 게 아니라 방송에 편성표를 맞추기 때문에 생방송 프로그램 종료시마다 EPG가 갱신된다. 이 때문에 EPG만 믿고 [[예약]][[녹화]]를 하는 경우 방송 예정이 틀어져 방송 전체가 녹화되지 않는 등 낭패를 볼 수 있다. * 그마저도 [[지상파]] 방송을 [[지상파#s-3|직접 수신]]하거나 [[8VSB]] 방식의 케이블 TV를 시청하여 지상파 신호를 [[지상파#s-5.3|재전송 받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갱신사항이 적용되며 초 단위의 시각 고지가 이루어지지만, [[셋탑박스]]가 필요한 [[QAM]]방식의 케이블TV 이용자나 [[IPTV]], [[스카이라이프]], [[OTT]] 이용자는 홈페이지 [[편성표]]에 준하는 5분 단위의 시간표만 확인이 가능하며 그마저도 편성시간 갱신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 [[8VSB]] 방식의 케이블 TV 시청자의 경우 높은 확률로 비지상파 채널([[종편]], [[케이블 방송(PP)|케이블]])에 대한 EPG가 제공되지 않는다. 이렇게 유명무실한 기능이다보니 [[LG전자]] 일부 제품은 EPG를 실행하면 방송이 완전히 꺼져버리는 등 사용자에 대한 배려가 부족한 편이다. == 일본의 경우 == 반면 [[일본]]의 경우 비교적 잘 관리되어지고 있는데, 시간 관념이 철저한 일본 사회 특성상 대부분의 [[방송사]]가 [[일본의 방송/지상파|편성표의 방송시간을 1초 단위로 지키고 있다]]. 방송내용이나 편성시간이 변경될 경우 EPG에 즉시 반영해 시청자에게 최신 정보를 제공한다. 편성표 자체가 시청자와의 약속이고 곧 방송사에 대한 신뢰도에까지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프로그램 이름, 방송 시간 뿐만 아니라, 방송 내용, 출연자 정보, 장르 분류까지 각 방송사별로 일주일 분의 방송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 때문에 TV 제조사에서도 EPG에 대응하는 여러 기능을 제공한다. 예약녹화를 설정해둔 방송 프로그램의 편성시간이 변경되면 사용자가 별도로 설정하지 않아도 TV가 알아서 변경된 시간에 녹화를 한다거나, 스포츠 중계를 녹화할 때 연장 중계가 [[다채널방송#s-3.3|서브채널]]로 변경되면 알아서 서브채널을 녹화한다든지, 사용자가 편리하게 방송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편성표]]와 방송화면을 같이 볼 수 있도록 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분류:방송]][[분류:편성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