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국방부 조사본부장)]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ffffff '''{{{+1 전이호[* 대전현충원묘적부에는 전'''리'''호로 등재되어 있고, [[https://www.joongang.co.kr/article/11356992#home|중앙일보 부음기사]] 등 대부분의 부음기사에서 전리호라고 했다. 이 항목에서는 독립유공자 공훈록에 표기된 이름을 기준으로 서술한다.]}}}'''[br]'''全履鎬'''}}}}}}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전이호.jpg|width=100%]]}}} || ||<|2> '''출생''' ||[[1922년]] [[2월 26일]] || ||[[평안남도]] [[평양시|평양부]] 대흥면 기림리 111번지[br](현 [[평양시]] [[모란봉구역]] 북새동) || ||<|2> '''사망''' ||[[2013년]] [[4월 25일]] || ||[[전라북도]] [[군산시]] || || '''임관''' ||[[육군사관학교]] 3기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1-1묘역-469호 || || '''상훈''' ||충무무공훈장[br][[건국훈장]] 애국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군인]]. [[한국광복군]]에 소속되어 복무한 공적으로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수여받았다. == 생애 == 전이호는 1922년 2월 26일 [[평안남도]] [[평양부(일제강점기)|평양부]] 대흥면 기림리 111번지(현 [[평양시]] [[모란봉구역]] 북새동)에서 태어났다. 그는 [[일본]] [[주오대학]] [[법학과]]를 졸업하고 학병으로 [[일본군]]에 징집되어 평양부 주둔 42부대에 배치되었다. 이후 중국 전선으로 옮겨졌다가 1944년 [[김우전]], [[김준엽]], [[노능서]], [[윤경빈]], [[이영길(1919)|이영길]] 등과 함께 [[쉬저우시|서주시]](徐州市)에서 탈출해 그해 6월 [[한국광복군]]에 입대하였다. 입대 후 한광반 제1기를 졸업해 [[김국주]], 김우전, 차약도 등과 함께 제3지대에 복무하며 [[김문택]], [[차약도]][* 해방 후 서울지구 헌병대장으로 복무 중 6.25 전쟁 발발 시 전사]와 함께 기간위원 및 훈련교관으로 재직했고, 주로 정보교육을 담당하였다. 1945년에는 초모활동을 위해 안경 지구로 진출하였다. 해방 후 [[김학규]] 지대장 휘하에서 [[박승헌]], [[한이윤]] 등과 함께 광복군 총사령부 주호 판서처에서 활동하였고, [[김원봉]] 휘하 제1지대 대원인 이소민(李蘇民)[* 김원봉의 측근이며, [[조선의용대]] 출신이다. 1946년 귀국 후 [[남조선로동당]] 활동을 하다 월북했으며 6.25 전쟁 당시 후방업무를 맡았다. 그 후 행적이 불분명한데, 숙청된 것으로 추정된다.]이 자의로 설치한 판서처를 해체하고, [[상하이시|상해]], [[베이징시|북평]] 일대 일본군 한적 사병의 광복군 편입 및 교포들의 안전과 귀국을 담당했다. 귀국 후 [[대한민국 육군]]에 입대해 [[육군사관학교]] 3기로 졸업 후 임관했으며, [[6.25 전쟁]]에 참전하여 충무무공훈장을 받았다. 1961년부터는 제3,5대 [[국방부 조사본부장|국방부합동조사대장]]을 역임하였다.[* 1961년 4월 15일 김재현 준장이 국방부합동조사대장이 되면서 부부대장으로 경질되었다가 [[5.16 쿠데타]] 직후인 5월 23일 다시 국방부합동조사대장에 임명되었다.] 대령 예편 후 낙농업에 종사하며 2005년 한국독립유공자협회 회장을 역임하는 등 광복회 및 독립유공자, 유족들을 위한 활동을 하였고, 말년에 전라북도 군산시에 내려가 여생을 보내다 2013년 4월 25일 별세했다. 1980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건국포장을 수여받았고, 이어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수여받았다. 그의 유해는 2013년 5월 7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1-1묘역에 안장되었다. == 참고자료 ==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Merit&mngNo=8431|독립유공자 공훈록]] 독립운동사 제6권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한국광복군/군인]][[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6.25 전쟁/군인]][[분류:모란봉구역 출신 인물]][[분류:실향민]][[분류:1922년 출생]][[분류:2013년 사망]][[분류:주오대학 출신]][[분류:육군사관학교 출신/전신 학교]][[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