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6ccff,#ffffff '''전이경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여자 3000m 계주 금메달리스트)] ---- [include(틀:역대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여자 1000m 금메달리스트)] ---- [include(틀:역대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여자부 우승자)] ---- [include(틀:역대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 시리즈 대회 여자부 종합우승자)]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60deg, #fff 10%, #cd313a 50%, #0047a0 50%, #fff 100%)" '''{{{#fff {{{+1 전이경}}}[br]全利卿 | Chun Leekyu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동계올림픽전이경1.png|width=100%]]}}} || ||<|2> '''출생''' ||[[1976년]] [[1월 6일]] ([age(1976-01-06)]세)|| ||[[충청북도]] [[옥천군]]||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학력''' ||[[숭의초등학교]] {{{-2 (졸업)}}}[br][[신반포중학교]] {{{-2 (졸업)}}}[br][[배화여자고등학교]] {{{-2 (졸업)}}}[br][[연세대학교]] {{{-2 (체육교육학 / 학사)}}}[br][[연세대학교/대학원|연세대학교 대학원]] {{{-2 (체육교육학 / 석사)}}}|| || '''종목'''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br]{{{-1 주종목: 1000m, 1500m}}}|| || '''신체''' ||163cm, 58kg|| || '''SNS''' ||[[http://instagram.com/chunleekyun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前 여자 [[쇼트트랙]], [[아이스하키]] 선수이며 現 스포츠 행정가 및 지도자, 해설가이다. == 선수 경력 == ||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br][[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 2연속 2관왕'''[br]'''세계선수권 3연패(1995-1997)[br]'''1997-98 월드컵 시리즈 초대 우승자[br]국내 동계올림픽 최다 금메달리스트[* 원래 최다 메달리스트 기록도 가지고 있었으나,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 [[이승훈(스피드 스케이팅)|이승훈]]이 남자 매스스타트 동메달을 획득하며 2위로 밀렸다.][* 하계올림픽을 포함한다면 [[양궁]]의 [[김수녕]]과 [[사격(스포츠)|사격]]의 [[진종오]]가 있다. 두 사람 모두 금메달 4개를 가지고 있지만, 전이경과 달리 메달 1개를 더 가지고 있다.] || === 어린 시절 === [[1976년]] [[1월 6일]] [[충청북도]] [[옥천군]]에서 1.7kg의 [[미숙아]]로 태어났다. 위 협착증과 항문 협착증을 달고 태어나 생명의 고비도 여러 차례 넘기고 몸이 허약해 5살부터 YMCA아기스포츠단에, 6살 때 수영을 배우다 7살 때 [[피겨 스케이팅]]을 배우며 스케이트와 인연을 맺게 된다. 생존을 위해 운동을 배우던 그녀는 [[숭의초등학교]] 2학년 때 [[스피드 스케이팅]]을 시작했다. 초등학교 5학년 때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쇼트트랙]]으로 종목을 변경한 다음 '''종목 변경 1년 만에 초등학교 6학년 만 12세의 나이로 국가대표에 선발'''되었다. 하지만 중학교 때 척추분리증으로 고생을 하는 바람에 동갑내기 라이벌 [[김소희(쇼트트랙)|김소희]]에 밀려 2인자로 머물렀다. === 1991-92 시즌 ===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이 처음 올림픽 정식종목으로 채택된 '''[[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에 라이벌 [[김소희(쇼트트랙)|김소희]]와 함께 만 16세의 나이로 출전했으며 500m 준준결승에서 3위로 떨어졌다.[* 3000m 계주는 참가 자체를 못했고 1000와 1500m는 없었다.] === 1992-93 시즌 === 1993 세계선수권에서 개인종합 준우승을 차지하며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 1993-94 시즌 ===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부터 전성기를 맞이했다. 3000m 계주에서 금메달을 획득했고, [[https://youtu.be/YzSCm4SgRfs|1000m]]에서 당시 최강자 나탈리 램버트를 제치고 우승하면서 여자 쇼트트랙 사상 최초 '''올림픽 2관왕'''에 올랐다. === 1994-95 시즌 === 1995 세계선수권에서 3관왕에 오르면서 첫 번째 세계선수권 개인종합 우승을 했다. === 1995-96~1996-97 시즌 === 1996 세계선수권에서도 2연패를 달성했다. 이때부터 여자 쇼트트랙 역사상 최강자라 불리는 [[양양(A)]]가 등장하면서 그녀와 치열하게 경쟁했다. 1997 세계선수권에서 [[양양(A)]]와 포인트 동점으로 공동우승을 하며 한국 최초 '''세계선수권 3연패'''에 성공했다.[* 그 당시에는 동점이면 공동으로 우승하는 제도가 있었다. 1999년부터는 동점일 경우 슈퍼파이널 성적으로 순위를 정한다.] === 1997-98 시즌 === ==== 월드컵 시리즈 ==== 쇼트트랙 월드컵이 최초로 열렸고, '''세계 최초 월드컵 우승자'''가 되었다. ==== [[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 ==== || [[파일:external/moreissue.files.wordpress.com/eca084ec9db4eab2bd-eb8298eab080eb85b8-ec98aceba6aced94bd.jpg|width=100%]] || 첫 경기인 500m에서 결승 진출에 실패했으나 파이널 B에서 1등을 한 뒤 결승전(파이널 A)에서 1명이 실격, 1명이 DNF(경기를 완주하지 못했다.)되면서 동메달을 땄다.[* 참고로 여자 500m의 최고 성적이며 그 뒤 [[2014 소치 동계올림픽/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2014 소치 동계올림픽]]에서 [[박승희]]가 동률을 이뤘다. 참고로 박승희는 결승으로 올라갔다.] 3000m 여자 계주에서도 대회 2연패를 이루면서 금메달을 획득했고 [[https://youtu.be/eeWFLjWYRwg|1000m]]에서도 역시 금메달을 따며 2연패를 이뤘다.[* 두 번째는 [[스피드 스케이팅]]의 선수 [[이상화(스피드 스케이팅)|이상화]]다. 이상화는 대한민국의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들 중에서 '''유일하게 2연패'''를 달성했다.]특히 1000m 결승전에서 [[중국]]의 [[양양(A)]]와의 접전과 막판 날밀기로 넘어져가면서 금메달을 딴 장면은 두고두고 회자되는 명장면이다. 양양A는 그 과정에서 실격처리되었고 양양S가 은메달을 받았다. 이로서 그녀는 대한민국 올림픽 도전 역사상 최초로 '''올림픽 2관왕 2연패'''[* 하계올림픽의 경우는 양궁의 [[박성현(양궁)|박성현]]이 여자 개인전 및 단체전 2관왕 2연패를 노렸으나, [[2008 베이징 올림픽]] 개인전에서 중국 관중들의 무개념 소음 응원에 집중력이 흔들려 중국의 장쥐안쥐안에게 금메달을 빼앗기고 말았다.]에 올랐고 금메달 4개로 '''한국 최다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이자 총 메달 개수 5개로 '''한국 쇼트트랙 최다 동계올림픽 메달리스트'''라는 대기록을 달성했다.[* 후배들 중 5개의 올림픽 메달을 따낸 선수들은 현재까지 [[이호석]], [[박승희]], [[최민정]]이 있다. 단독 최다 동계올림픽 메달리스트로는 스피드 스케이팅의 [[이승훈(스피드 스케이팅)|이승훈]](6개)이 있다.] 여담으로 위 사진의 장면 때문에 국제빙상연맹에서는 '''날 들이밀기를 할 때 스케이트의 날이 들리면 실격'''이 선언되도록 규정을 뜯어고쳤다. 원래 날 들이밀기는 [[김기훈(쇼트트랙)|김기훈]] 이후로[* 김기훈의 날 들이밀기는 앞발은 빙판에 붙어 있었지만 뒷발이 들린 채였다. 자세히 확인하고 싶다면 [[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 남자 계주 결승전을 찾아보자.] 대한민국 선수들의 전매특허와도 같은 기술이었는데, 이 대회에서 전이경과 [[김동성]]이 함께 이 기술로 금메달을 획득한 그 시점에서 규정을 개정해버리는 바람에 대한민국을 견제하기 위해 이걸 개정한 것이냐는 논란까지 있었을 정도였다.[* 다만 공식적으로 이 규정을 바꾼 이유는 선수끼리의 경합이 많은 쇼트트랙의 종목 특성상 스케이트의 날이 들리면서 선수가 날 때문에 부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에 선수 보호 대책으로 개정한 것이고, 시기가 좋지 않아서 논란이 되었을 뿐이다. 사진에 나온 위 상황에서도 큰 일이 없이 넘어갔기에 추억거리로 남았지만 자칫하면 전이경 본인이 양양A의 날 때문에 부상을 입을 수도 있었기 때문이다. 오늘날의 쇼트트랙에서도 날 들이밀기를 볼 수는 있지만 스케이트를 빙판에 붙여야 하기 때문에 시전 난이도가 높아져서 아무래도 이전보단 덜 나오는 편임에도 [[황대헌]]이 날을 지면에 붙인 채로 들이밀기를 하는 것을 보여준 적이 있긴 하다.] === 은퇴 === 올림픽 직후에 열린 세계선수권에서 [[양양(A)]]에 이은 종합 2위를 한 뒤 돌연 은퇴선언을 했다. 은퇴 당시 여자 쇼트트랙 선수로는 (당시 인식으로는) 적지 않은 나이(만 22세)[* 실업팀이 없었던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10대 후반에 전성기를 맞이하고 대학교를 졸업하면 바로 은퇴하는 것이 당연했다. 2000년대 후반에 들어서야 20대 중후반에도 선수 생활이 가능해졌다.]였고 고질적인 부상과 목표의식 상실, 그리고 전성기에 돌입한 여자 쇼트트랙 역사상 최고 선수인 [[양양(A)]]의 존재 등 여러 요인이 있었다고 한다. 그래도 대한민국 쇼트트랙 선수 중 남녀 통틀어 가장 많은 수상내역을 보유하고 있는 '''쇼트트랙 여왕'''이며 약체였던 한국 여자 쇼트트랙을 세계 최강의 위치로 올려놓은 선수이다. 또한 [[김동성]]과 함께 1990년대 후반 쇼트트랙 열풍을 불러 일으켜 1990년대 초중반 쇼트트랙 세대를 만든 선수이기도 하다. 이 두 선수의 영향을 받아 쇼트트랙을 시작한 선수가 [[변천사(쇼트트랙)|변천사]], [[성시백]], [[빅토르 안|안현수]], [[이정수(쇼트트랙)|이정수]], [[이호석]], [[진선유]] 등이면 말 다했다. == 은퇴 이후 == || [[파일:75033142_10_HD.jpg|width=100%]] || [[연세대학교]]를 다니며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에서 IOC 선수위원에 출마했으나 낙선하였다. 그러나 자크 로게 위원장의 추천으로 4년 간 IOC 선수분과위원으로 활동했다. 또한 스포츠 행정가 양성 지원사업으로 대한체육회(KOC)의 지원을 받아 유학을 갔다오기도 하였고,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과정에도 참여했다. 2003년에는 [[골프]] 세미프로 자격증을 얻기도 했고, 쇼트트랙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2005년 여자 [[아이스하키]]를 시작하여, 2006년 말에 국가대표로 발탁되어 [[2007 창춘 동계 아시안 게임]]에 출전할 예정이었으나, 부상으로 인해 출전은 좌절되었다. 2010년 결혼 이후 [[부산광역시|부산]]에 거주하며 부산빙상경기연맹 부회장을 맡고있으며, 이외에도 대한빙상경기연맹 이사 및 빙상발전위원회 위원 등 스포츠 행정가로 활동하고 있다. 정계에 진출하려는 시도도 했었는데, 2010년 3월 26일 [[한나라당]]에 입당하여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https://www.joongang.co.kr/article/4075533#home|부산광역의원 출마]]를 희망했으나 공천 신청을 하지 않았는데, 포기한 것으로 보인다. 그 이후로는 정치적 행보를 보이지 않고 있다. 2017-18 시즌 4차 월드컵에서 정말 오랜만에 해설을 보았다. 다만 그녀가 코치를 맡고 있는 싱가포르 쇼트트랙 팀[* 2015년 싱가포르 쇼트트랙 국가대표 팀 감독으로 선임되어 2018년까지 활동했고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서도 싱가포르 국가대표 팀 감독으로 활동했다. 비록 샤이엔 고를 출전시켰지만 빙상 볼모지인 싱가포르게 꽃을 피우고 싶다는 포부를 남기기도 했다.]이 올림픽 출전권을 확보하여 올림픽에서도 해설위원을 계속 맡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였으나 올림픽에서 [[SBS]] 해설위원과 감독을 [[http://naver.me/xZtmwGqd|병행했다.]] 그러나 해설위원 평가는 좋지 못하다. 혀짤배기라 발음이 씹히는 경우가 많아서 해설이 듣기 거슬리고 다소 흥분을 잘하고[*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 당시 쇼트트랙 남자 1500m에 출전했던 [[김동성]]이 결승에서 당당하게 1위로 골인하고도 [[아폴로 안톤 오노]]에게 금메달을 강탈당하자 [[배기완]] 캐스터와 함께 크게 흥분하여 '''"김동성 선수, 얼음판에 그대로 누워버렸으면 좋겠습니다. 차라리!!!"'''하고 일갈했던 것은 아주 유명하다.] 명단에 없는 선수 이름을 부르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공부를 너무 안해온 티를 내기도 했다. 그래서 팬들이 게시판에다가 항의글을 쓸 정도로 심히 좋지 못하다. 그렇지만 해설을 할 때는 [[배기완]] 아나운서와 영혼의 캐미를 자랑하였다. [[2021년]] [[2월 16일]] [[대한빙상경기연맹]] 이사로 [[https://mobile.newsis.com/view.html?ar_id=NISX20210216_0001341223|선임되었다.]] == 수상 기록 == ||
'''대회''' || '''금''' || '''{{{#white 은}}}''' || '''{{{#white 동}}}''' || || 올림픽 || 4 || {{{#white 0}}} || {{{#white 1}}} || || 세계선수권 || 9 || {{{#white 11}}} || {{{#white 3}}} || || 세계 팀선수권 || 4 || {{{#white 2}}} || {{{#white 0}}} || || 아시안 게임 || 1 || {{{#white 2}}} || {{{#white 2}}} || || 유니버시아드 || 2 || {{{#white 3}}} || {{{#white 2}}} || || '''합계''' || '''20''' || '''{{{#white 18}}}''' || '''{{{#white 8}}}''' || ---- ||<-3>
[[파일:오륜기(여백X).svg|width=25]] {{{#white 올림픽}}} || || 금메달 ||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1994 릴레함메르]] || 3000m 계주 || || 금메달 ||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1994 릴레함메르]] || 1000m || || 금메달 || [[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1998 나가노]] || 3000m 계주 || || 금메달 || [[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1998 나가노]] || 1000m || || 동메달 || [[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1998 나가노]] || 500m[* 이때 딴 메달이 [[박승희]]가 메달을 따기 이전까지 유일한 대한민국의 여자 500m 쇼트트랙 메달이었다. 원래는 준결승전에서 탈락하여 5-8위전으로 밀렸고, 거기서 가장 먼저 들어와서 5위가 되었는데, 결승전에서 2명이 실격을 당하는 바람에 3위가 되었다.] || ||<-3>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width=25]] {{{#white 세계선수권}}} || || 금메달 || 1995 요빅 || 종합 || || 금메달 || 1995 요빅 || 1500m || || 금메달 || 1995 요빅 || 3000m || || 금메달 || 1996 헤이그 || 종합 || || 금메달 || 1996 헤이그 || 1500m || || 금메달 || 1997 나가노 || 종합 || || 금메달 || 1997 나가노 || 1500m || || 금메달 || 1997 나가노 || 3000m || || 금메달 || 1998 비엔나 || 3000m || || 은메달 || 1993 베이징 || 종합 || || 은메달 || 1993 베이징 || 1500m || || 은메달 || 1993 베이징 || 3000m || || 은메달 || 1995 요빅 || 3000m 계주 || || 은메달 || 1995 요빅 || 1000m || || 은메달 || 1996 헤이그 || 1000m || || 은메달 || 1996 헤이그 || 3000m || || 은메달 || 1997 나가노 || 3000m 계주 || || 은메달 || 1998 비엔나 || 3000m 계주 || || 은메달 || 1998 비엔나 || 종합 || || 은메달 || 1998 비엔나 || 1000m || || 동메달 || 1993 베이징 || 3000m 계주 || || 동메달 || 1994 길드퍼드 || 3000m 계주 || || 동메달 || 1997 나가노 || 1000m || ||<-3>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width=25]] {{{#white 세계 팀선수권}}} || || 금메달 || 1992 노베야마 || 단체전 || || 금메달 || 1995 조테미어 || 단체전 || || 금메달 || 1996 레이크플래시드 || 단체전 || || 금메달 || 1997 서울 || 단체전 || || 은메달 || 1994 케임브리지 || 단체전 || || 은메달 || 1998 보르미오 || 단체전 || ||<-3> [[파일:아시안 게임 로고.svg|width=25]] {{{#white 아시안 게임}}} || || 금메달 || [[1996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1996 하얼빈]] || 1000m || || 은메달 || [[1990 삿포로 동계 아시안 게임|1990 삿포로]] || 3000m 계주 || || 은메달 || [[1996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1996 하얼빈]] || 1500m || || 동메달 || [[1990 삿포로 동계 아시안 게임|1990 삿포로]] || 1000m || || 동메달 || [[1996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1996 하얼빈]] || 3000m || ||<-3> [[파일:FISU 로고.svg|width=25]] {{{#white 유니버시아드}}} || || 금메달 || 1995 하카 || 1500m || || 금메달 || [[1997 무주·전주 동계 유니버시아드|1997 무주·전주]] || 3000m || || 은메달 || 1995 하카 || 3000m 계주 || || 은메달 || 1995 하카 || 3000m || || 은메달 || [[1997 무주·전주 동계 유니버시아드|1997 무주·전주]] || 3000m 계주 || || 동메달 || 1995 하카 || 500m || || 동메달 || [[1997 무주·전주 동계 유니버시아드|1997 무주·전주]] || 1000m ||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쇼트트랙 선수]][[분류:옥천군 출신 인물]][[분류:1976년 출생]][[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쇼트트랙 메달리스트]][[분류: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참가 선수]][[분류: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메달리스트]][[분류: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1990 삿포로 동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1996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유니버시아드 메달리스트]][[분류:1995 하카 동계 유니버시아드 메달리스트]][[1997 무주·전주 동계 유니버시아드 메달리스트]][[분류:1998년 은퇴]][[분류:연세대학교 출신]][[분류:배화여자고등학교 출신]][[분류:숭의초등학교 출신]][[분류:빙상 해설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