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현실의 레이저 무기, rd1=광학병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이미지:Ac7_zoisite.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s15.postimg.org/image.jpg|width=100%]]}}}|| || 'Zoisite' 레이저를 발사하는 [[F-15E|F-15E 스트라이크 이글]][br]([[에이스 컴뱃 7 Skies Unknown]]) || 내장된 레이저를 발사하는 [[ADF-01|ADF-01 팔켄]][br]([[에이스 컴뱃 인피니티]]) || [목차] [clearfix] == 개요 == '''Tactical Laser System''' [[에이스 컴뱃 시리즈]]에 등장하는 [[에이스 컴뱃 병장|무장으로]] 항공기 탑재형 [[레이저포|레이저 병기]]. 약칭 '''TLS'''로 표기한다. 첫 등장은 [[에이스 컴뱃 5]]이며 이후 [[에이스 컴뱃 제로]], [[에이스 컴뱃 X]], [[에이스 컴뱃 X2]], [[에이스 컴뱃 3D]], [[에이스 컴뱃 인피니티]], [[에이스 컴뱃 7]]에 등장한다. == 배경 == ||{{{#!wiki style="margin: -5px -10px" [[이미지:Excalibur.jpg|width=100%]]}}}|| || 타우부르크에 설치된 TLS의 시초인 [[벨카 공국|벨카]]의 [[엑스칼리버(에이스 컴뱃 시리즈)|엑스칼리버]] || 에이스 컴뱃 내 [[레이저포|레이저 무기]]의 시초는 [[그룬더 인더스트리즈|남벨카 병기창]]이 개발한 벨카의 [[엑스칼리버(에이스 컴뱃 시리즈)|엑스칼리버]]로, 이를 소형화하고 [[항공기]]에 탑재한 무기가 지금의 TLS이다. 물론 엑스칼리버 자체는 1,000m가 넘는 탑인데다 주변에서 온갖 전력을 끌어모아야 사용이 가능하지만, 당시 이 무기를 축소시키려는 시도는 곳곳에 있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RTLS_Artillery.jpg|width=100%]]}}}|| || 엑스칼리버를 호위하는 RTLS(열차형 전술 레이저 시스템) || 당장 엑스칼리버의 주위에 방금 언급한 소형화 노력을 볼 수 있다. 바로 RTLS이라는 [[열차포]] 형태의 이동식 [[레이저포]]가 호위를 위해 배치되어 있었는데, 이 열차포들은 360도 방향으로 회전하며 공중에 있는 물체를 공격할 수 있었고, 엑스칼리버와 다르게 전력공급에는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열차포는 시리즈 내에서 확인할 수 있는 최초의 축소된 레이저포라고 볼 수 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r_EUrIxgwUwAMSBc0.png|width=100%]]}}}|| || TLS를 발사하는 [[ADFX-01]] || 남벨카 병기창은 이후 레이저 무기를 항공기에 탑재할 수 있을 정도로 축소시키는데 성공했으며, 최초로 TLS를 탑재한 항공기는 ADFX-01/02다. 이 무기는 "Zoisite"[* Aces At War: A History. Page 57.][* 조이사이트, [[규산염 광물]]의 일종이다.]이라는 암호명을 받았으며, 항공기의 상부에 탑재했다. 당시 TLS를 기체 상부에 탑재했기 때문에 안정성등의 문제로 ADFX-01은 7G 이하의 기동 제한이 있었고, ADFX-02의 TLS는 특이하게도 전방 45도 가량의 다각도 조준이 가능한 조사 렌즈가 탑재되어 있었다. 이후 [[벨카 전쟁]]이 끝나갈 무렵, [[국경없는 세계#s-2]]는 항공기와 무기체계를 획득해 [[래리 폴크]]에게 넘겨주어 아발론 댐 공세에 투입했고, 최종 전투 중 MPBM[* 다목적 산탄 미사일]과 함께 사용된다. 환태평양 전쟁 중 [[아크버드]]의 동체 하부에 탑재된 레이저포가 이 무기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것으로 추정되는데, 벨카 전쟁 이후 오시아가 레이저 무기 기술을 가진 남벨카 병기창(이후 그룬더 인더스트리즈)를 획득하게 되었으므로 이를 통해 레이저 기술을 습득하게 되어 아크버드에 탑재하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오시아는 전쟁 중 유크토바니아 전역에서 수거된 부품들을 조사하여 [[ADF-01]]을 개발하는 데 성공한다. ADF-01은 기존의 TLS를 더욱 축소시키고 발전시키는데 성공하여, 기체에 내장될 수 있음에도 더욱 강력하고 오래 지속되는 성능의 TLS가 탑재되어 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이미지:F15_TLS_test.jpg|width=100%]]}}}|| || TLS를 장착하여 시험하는 [[F-15]] || 2019년쯤에는 [[F-15E]]나 [[Su-37]]과 같은 기존의 항공기들에도 탑재가 가능할 정도로 개량되어 운용된다. 한편 [[그룬더 인더스트리즈]]/[[EASA#s-2]] 합작의 신형 무인기 [[ADF-11F]]에도 내장형 TLS가 장착되어 있는데, 크기가 ADF-01보다도 작다. 또한 [[아스널 버드]] 2호기 저스티스도 대형 TLS를 장비하고 나오는데, 크기가 커진 만큼 플레이어의 것과는 비교도 안 되게 강해 군함을 순식간에 격침시켜버리는 강력한 위력을 보여준다. 3과 7에서는 [[펄스 레이저]](PLSL)라 부르는 파생형 무기도 나오는데, TLS가 직선형 레이저인 것과 달리 영화나 게임속 빔 병기같이 단발로 끊어져 나오는 [[기총]] 형식의 무기이다. TLS와는 묘사가 많이 다른데, TLS가 일직선으로 쭉 나가는 적색 혹은 청색의 빔을 지속적으로 목표에 조사하는 모습으로 묘사된다면 펄스 레이저 쪽은 마치 실탄 [[기관포]]에서 청색 불빛의 [[예광탄]]을 쏘는 듯한 모습으로 묘사된다. == 탑재 항공기 == === TLS 탑재 항공기 === * [[ADFX-01|ADFX-01/02]]: 에이스 컴뱃 역사상 최초로 TLS를 탑재한 항공기. * [[ADF-01]] * [[ADF-11F]] * [[F-15E]] * [[Su-37]] * [[X-49]] * [[에이스 컴뱃 시리즈/기타 가상기체#s-6.1|MQ-90L]] * [[아스널 버드|아스널 버드 2번기 '저스티스']] * [[아크버드]] === 펄스 레이저 탑재 항공기 === * [[F-15|F-15C]] * [[MiG-31|MiG-31B]] * [[Su-57]] * [[ADF-11F]]: TLS를 특수무장으로 탑재함과 동시에, 펄스 레이저도 실탄 [[기관포]] 대신 기본 [[기총]]으로 탑재한다. 또한 옵션으로 2기 탑재 가능한 다목적 소형 [[UAV]]에도 기총으로 실탄 기관포 대신 펄스 레이저가 탑재되어 있다. * [[다크스타(탑건: 매버릭)|다크스타]]: 펄스 레이저를 실탄 [[기관포]] 대신 기본 [[기총]]으로 탑재하며, 동시에 옵션으로 2정의 펄스 레이저 건포드를 특수무장으로서 탑재할 수 있다. == 기타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6_ynz81vY8)]}}}|| || [[에이스 컴뱃 7]]에서의 TLS 패치 1.10 이후 모습 || 시리즈가 지날수록 너프를 점점 심하게 먹는 무기다. 처음 등장했을 때만 해도 일격필살에 유도성능까지 갖춰진 [[즉사기]]였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유도성능도 사라지고 대미지도 전투기를 격추하는데 1틱→2틱→3틱으로 너프먹다가 결국 최신작인 [[에이스 컴뱃 7]]에 들어와서는 연료통도 제대로 못부수는 레이저 포인터로 변해버렸다. 다행히도 패치를 통해 버프를 받아 쓸만한 무기로 변했지만 여전히 주류는 아니다. [[에이스 컴뱃 7]]의 TLS는 싱글플레이 캠페인에서는 무인기 요격에 유용하게 쓸 수 있어 공대공 무장으로서 강력한 성능을 발휘하고 지상 공격을 위한 공대지 무장으로서도 나름대로 쓸만한 등 꽤 효율적인 좋은 무기이지만, 반면 멀티플레이에서는 패치를 통한 버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손빨을 상당히 타는 관계로 상당한 숙련도를 요구하기에 그다지 선호되지 않는다. 대부분의 기체들의 기본 기총인 실탄 [[기관포]]에 비해서 사거리가 훨씬 길기에 [[도그파이트]] 상황에서 공대공 무장으로 쓰기에 유용한 특성을 가졌긴 하지만, 낮은 대미지의 레이저를 지속적으로 목표에 조사하여 피해를 준다는 특성상 여러모로 손빨과 인내심을 필요로 하며, [[죽창드립|일격필살의 강력한 한 방]]을 꽂아넣을 수 있는 EML([[레일건]])과는 여러모로 대조적인 모습을 보인다. 또한 이 특성으로 인해서 싱글플레이 캠페인에서도 대함 공격 시에는 다소 불리한 모습을 보이는 편이기도 하다. 구름에 턱턱 막히기에 기상 상황이 나쁘면 쓰기 어렵다는 것도 문제다. 한편 [[에이스 컴뱃 7]]에서 처음으로 등장한 파생형 무기인 [[펄스 레이저]]는 주로 [[기총]]을 대신하는 용도로 쓰이며, 대부분의 기체들의 기본 기총인 실탄 [[기관포]]와 유사한 사용법으로 쓰도록 되어 있다. TLS에 비해서는 사거리가 짧지만 그럼에도 실탄 기관포에 비해서는 여전히 좀 더 사거리가 길어 [[도그파이트]] 상황에서 공대공 무장으로서 강력한 성능을 발휘하며 지상 공격이나 대함 공격을 위한 공대지 무장으로서도 사거리가 연장된 실탄 기관포에 가까운 감각으로 쓸 수 있어 꽤 유용한 편이나, TLS와 마찬가지로 구름에 턱턱 막힌다는 게 단점. === 현실의 TLS?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Lav0zMHut8)]}}}|| [[록히드 마틴]]에서 실제 항공기에 탑재되는 레이저인 TALWS(전술 항공 레이저 무기 시스템)의 개념 동영상을 소개하였다. 동영상 내에서는 이 무기를 날아오는 공대공/함대공 미사일을 요격하는 용도로 소개하며, 직접 목표를 공격하는 무기와는 거리가 있으나 현실 내 전투기에 실제 탑재되는 레이저 무기를 제시해서 큰 화제가 되었다. 당장 댓글만 봐도 [[엑스칼리버(에이스 컴뱃 시리즈)|거대한 탑]]이 필요하다는 등 [[Zero(에이스 컴뱃 제로)|눈이 온다는]] 등 현실에선 [[패트릭 제임스|PJ]]가 [[래리 폴크|픽시]]를 격추한다는 등[* PJ의 기체는 영상에 나온 [[F-16]]이기 때문이다.] 에이스 컴뱃 드립이 넘쳐난다. [[분류:에이스 컴뱃 시리즈]] [include(틀:포크됨2, title=전술 레이저 시스템, d=2022-12-09 20:36: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