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핸드폰]]을 판매하는 편법 중 하나. 핸드폰을 개통할 때 할부원금을 출고가 또는 합법적인 수준의 보조금이 붙은 할부원금을 붙여서 개통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전산상의 할부원금을 변경하여 낮은 할부원금으로 만들어주는 방법. 주로 [[KT]]나 [[LG유플러스]]가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다. [[SK텔레콤]]는 할부원금을 입력하면 수정이 어려워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107만원짜리 [[핸드폰]]을 파는데, 핸드폰 판매자가 이 핸드폰에 대한 마진을 낮추더라도 많이 팔아보려고 할부금을 10만원으로 낮춰서 팔아보려고 한다. 그런데 평소 핸드폰을 판매하듯이 통신사 전산상에 할부원금을 개통 직후에 '10만원'으로 쓸 경우 [[방송통신위원회]] 또는 통신사에서 단속을 당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판매자는 '규정을 지켜서 판매한 것처럼' 보이기 위해 할부원금을 80만원으로[* 규정상 최대보조금이 적용된 할부원금.] 적어서 개통한 후, 구매자와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난 후에 70만원을 낮춰서 할부원금이 10만원으로 바뀌도록 적용해주는 방식이다.[* 페이백은 할부원금은 높게 유지한 채로 판매자가 구매자에게 바로 돈을 주는 방식이라면, 전산수납은 판매자가 통신사에게 핸드폰 할부금 일부를 납부하여 할부원금을 낮춰주는 방식이라는 차이가 있다.] 원래 이러한 전산수납이 탄생한 계기는 [[뽐뿌]] 등에서 개통시 약속을 지키지 않고 마음대로 해지하거나 요금제를 바꾸는 등의 행태로 판매자가 손해를 보는 일이 잦아지자[* 핸드폰을 싸게 파는 경우 특정요금제 몇개월 무조건 사용 등의 조건이 붙는데, 그 조건을 지키지 않을 경우 F개통취급을 받아 통신사에서 판매자에게 부과하는 벌금이 어마어마하게 된다.] 판매자가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구매자가 약속을 지키면 현금으로 돌려줍니다' 라는 식으로 판매자와 구매자의 필요성에 의해서 생기게 된 것이었다. 그러다가 통신사 또는 방통위의 단속을 회피하기 위한 목적으로서 [[페이백]]이 생기기도 하였고, [[KT]]나 [[LG유플러스]]의 전산망의 특성을 활용하여 페이백보다 안전한 이미지의 '전산수납'이 흥하게 되었다.[* 물론 페이백이나 전산수납이나 위험성은 똑 같다. 이미지만 안전하게 느껴질 뿐.] 처음에는 당연하게도 구매자와 판매자간의 신뢰를 바탕으로 어느 정도 불안감은 있어도 잘 굴러가는 편이었지만, [[거성 모바일 사태]] 이후로 페이백 및 전산수납에 대한 불신이 많이 쌓여서[* 거성 사건 이전에는 통신사가 페이백 먹튀 등에 대해 중재를 적극적으로 했으나 거성 건과 같은 대형사고 이후 페이백 및 전산수납은 개인간의 문제로 밀어버리는 성향이 커졌기에 전산수납을 약속한 구매자가 보호받지 못하는 점 때문도 있다.], 현재는 구매자들이 페이백 및 전산수납을 통한 구매를 잘 선호하지 않는 편이다. 전산수납의 경우에는 'x일 뒤 전산수납' 이라는 형태로 많이 판매하는데, 가능한한 개통 후 14일 이내에 전산수납을 해 주는 업체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14일 이후에 전산수납을 해주는 업체의 경우에는 나중에 업체가 배를 째도 구매자가 보호를 받지 못하지만 14일 이내에 전산수납을 해주는 경우에는 업체가 말을 바꿀 경우 개통철회를 해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가능한한 오래 판매해왔고, 믿을 수 있는 업체의 것만 이용하는게 좋지만... 가능하다면 페이백이나 전산수납을 통한 핸드폰 구매는 지양하는 것이 좋다. == 관련 문서 == * [[페이백]] * [[휴대 전화/보조금]] [[분류:이동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