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전북특별자치도)] [목차] [Clearfix] == 고대부터 조선시대까지 == 아주 오랜 옛날에는 이 일대의 익산 [[건마국]]이 [[마한]]의 수장국이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기원후 [[2세기]] 이후 어느 시기에 천안 [[목지국]]으로 수장국이 교체된 게 유력하며, 그 이후에는 백제국과 함께 [[마한]]의 일원이었다. 그 이후로는 상대적으론 전남에 비해선 [[백제]]의 직접 지배화가 빠른 편이었다. [[백제]] 말 [[무왕(백제)|무왕]] 때는 익산에 있는 [[금마저]]가 백제 수도 육부 중 하나인 별부에 속했는데, 백제 수도 육부 중 나머지 다섯 부는 [[사비성]] 안 다섯 구역을 말하는 것이었으니 금마저는 백제의 부수도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는 [[미륵사지]], [[왕궁리 유적]], 왕궁과 왕실 사찰인 [[제석사지]], 정황상 무왕과 왕비의 무덤이 유력한 [[쌍릉]]이 남아 있어 이와 같은 부수도설을 고고학적으로도 뒷받침하고 있다. [[신라]] [[9주 5소경]] 중 [[완산주|전주]]와 [[남원|남원경]]이 지금의 전북에 설치되었다. [[후삼국시대]] 때는 [[후백제]]의 수도 [[완산주]](전주)를 중심으로 후백제의 중심지였다. 전주는 남고산성, 동고산성이 남아 있다. [[고려시대]] [[현종(고려)|현종]] 때인 [[1018년]]에 전주와 지금의 전남 나주의 머릿글자를 따서 전라도라 칭한 뒤, [[조선시대]] 말인 [[1896년]]까지 존속한다. 고대부터 이 시기까지의 역사는 [[전라도]] 문서에 더 상세하게 적혀 있다. 전주의 도성은 일제 시기 허물어지며 없어졌다. 다만 버스정류장 '북문', '서문'과 풍남문, CU 한옥마을동문점을 통해 그 위치를 추측해볼 수 있다. == 전라북도 (1896~2024) == [Include(틀:대한민국의 폐지된 행정구역)] ||<-4>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대한민국|{{{#000,#ddd 대한민국}}}]]의 [[도(행정구역)|{{{#000,#ddd 폐지된 도}}}]]'''[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파일:전라북도 휘장.svg|height=65]]}}}||{{{#!wiki style="margin: -5px 0" '''{{{+1 전라북도}}}'''[br]全羅北道[br]{{{-1 Jeollabuk-do}}}}}}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전라북도&zoom=7.5, 너비=100%, 높이=100%)]}}} || ||<-2> [[전라북도청|{{{#ffffff '''도청 소재지'''}}}]] ||<-2> 전주시 완산구 효자로 225 (효자동3가) || ||<-2> '''최대도시''' ||<-2> [[전주시]] || ||<-2> '''하위 행정구역''' ||<-2> 6[[시(행정구역)/대한민국|시]] 8[[군(행정구역)/대한민국|군]] || ||<-2> '''면적''' ||<-2> 8,073.2㎢[* 2022년 12월 기준 [[국토교통부]] [[http://www.index.go.kr/potal/stts/idxMain/selectPoSttsIdxSearch.do?idx_cd=2728|국토 면적 현황]].] || ||<-2> '''인구''' ||<-2> 1,754,757명[* 2023년 12월 기준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o.kr/|주민등록인구통계]].] || ||<-2> '''인구 밀도''' ||<-2> 217.36명/㎢[* 2023년 12월 기준.] || ||<-2> '''존속 기간''' ||<-2> [[1896년]] [[8월 4일]][*13도제 13도제로 도 단위 행정구역이 개편되면서 신설.] ~ [[2024년]] [[1월 17일]][*승계 [[전북특별자치도]]로 승계.] || ||<-2> '''후신''' ||<-2> [[전북특별자치도]] || ||<-2> '''GDP''' ||<-2> $466억^^(2021)^^[*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C81&conn_path=I2/|#]] [[https://www.index.go.kr/unity/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068|적용 환율]].] || ||<-2> '''1인당 GDP''' ||<-2> $26,002^^(2021)^^[*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C86&conn_path=I2|#]] [[https://www.index.go.kr/unity/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068|적용 환율]].] || ||<-2> [[전라북도지사|{{{#ffffff '''도지사'''}}}]]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김관영]] {{{-2 (초선)}}} || ||<|2> [[전라북도 부지사|{{{#fff '''부지사'''}}}]] || '''행정''' ||<|2> [include(틀:무소속/행정구역)] || [[임상규(1966)|임상규]] {{{-2 (20대)}}} || || '''경제''' || [[김종훈(1967)|김종훈]] {{{-2 (초대)}}} || ||<-2> [[전라북도의회|{{{#ffffff '''도의회'''}}}]]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36석[* 지역구 34석, 비례대표 2석.]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1석[* 비례대표 1석.] || || [include(틀:정의당/행정구역)] || 1석[* 비례대표 1석.] || || [include(틀:진보당(2020년)/행정구역)] || 1석[* 지역구 1석.] || || [include(틀:공석/행정구역)] || 1석[* 남원시 제2선거구 [[양해석]] 의원의 공직선거법 위반 등으로 인한 직 상실] ||}}}}}}}}} || ||<-2> [[전라북도교육청|{{{#ffffff '''교육감'''}}}]] || [include(틀:진보교육감)] || [[서거석]] {{{-2 (초선)}}} || ||<-2> [[틀:제21대 국회의원/전라북도|{{{#ffffff '''국회의원'''}}}]]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8석[* [[김윤덕(1966)|김윤덕]] ([[전주시 갑|전주 갑]]), [[김성주(1964)|김성주]] ([[전주시 병|전주 병]]), [[신영대]] ([[군산시(선거구)|군산]]), [[김수흥]] ([[익산시 갑|익산 갑]]), [[한병도]] ([[익산시 을|익산 을]]), [[윤준병]] ([[정읍시·고창군|정읍·고창]]), [[이원택]] ([[김제시·부안군|김제·부안]]), [[안호영]] ([[완주군·진안군·무주군·장수군|완주·진안·무주·장수]]).]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1석[* [[이용호]] ([[남원시·임실군·순창군|남원·임실·순창]]).] || || [include(틀:진보당(2020년)/행정구역)] || 1석[* [[강성희]] ([[전주시 을|전주 을]]).] ||}}}}}}}}} || ||<-2> [[틀:전라북도의 기초자치단체장(민선 8기)|{{{#ffffff '''시장·군수'''}}}]]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11석[* [[우범기]] ([[전주시장|전주]]), [[강임준]] ([[군산시|군산]]), [[정헌율]] ([[익산시|익산]]), [[이학수(1960)|이학수]] ([[정읍시|정읍]]), [[최경식(1965)|최경식]] ([[남원시|남원]]), [[정성주(정치인)|정성주]] ([[김제시|김제]]), [[유희태(정치인)|유희태]] ([[완주군|완주]]), [[전춘성]] ([[진안군|진안]]), [[최훈식]] ([[장수군|장수]]), [[심덕섭]] ([[고창군|고창]]), [[권익현(1961)|권익현]] ([[부안군수|부안]]).] || || [include(틀:무소속/행정구역)] || 3석[* [[황인홍]] ([[무주군|무주]]), [[심민]] ([[임실군|임실]]), [[최영일(정치인)|최영일]] ([[순창군|순창]]).] ||}}}}}}}}} || ||<|3> '''상징''' || '''도화''' ||<-2> [[백일홍]] || || '''도목''' ||<-2> [[은행나무]] || || '''도조''' ||<-2> [[까치]] || ||<-2> [[지역번호|{{{#ffffff '''지역번호'''}}}]] ||<-2> '''063''' || ||<-2> [[ISO 3166-2|{{{#ffffff '''ISO 3166-2'''}}}]] ||<-2> '''KR-45''' || ||<-4> [[https://www.jeonbuk.go.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3]]]] | [[https://blog.naver.com/jbgokr|[[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3]]]] | [[https://youtube.com/channel/UCgciFvhDgtOBu6ieoE9zdh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3]]]] | [[https://facebook.com/jeonbuk.kr|[[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3]]]] | [[https://instagram.com/jeonbukstar|[[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3]]]] | [[https://twitter.com/jeonbukstar|[[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3]]]] | [[https://www.threads.net/@jeonbukstar|[[파일:Threads 아이콘.svg|width=23]]]] || [clearfix] === 개요 === '''전라북도'''는 현재의 [[전북특별자치도]] 지역에 있던 광역자치단체이며,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가 설치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 역사 === [[1896년]] [[13도제]] 시행으로 [[전라도]]는 전라북도와 [[전라남도]]로 분할된다. 전라북도는 전라도 53개 군 가운데 전주를 포함한 북부 26개 군[* 전주, 고부, 고산, 구례, 금구, 금산, 남원, 김제, 만경, 무주, 부안, 순창, 여산, 옥구, 용담, 용안, 운봉, 익산, 임실, 임피, 장계, 장수, 정읍, 진산, 태인, 함열]을 관할하다가, [[1907년]] [[구례군]]이 전라남도로 편입되고 [[전라남도]]에서 고창, 무장, 흥덕 3개 군을 편입하여 28개 군을 관할하게 된다. 1914년 일제가 전국의 군을 대대적로 통합하면서 전라북도의 군은 28개에서 14개로 개편되었고, 군산부(구 옥구부)에서 [[옥구군]]이 분리되었다(1부 14군). [[1935년]] 전주군 전주읍이 전주부로 분리되었고, 전주군의 잔여지역은 [[완주군]]으로 개칭됐다. 해방 이후 [[1947년]] [[익산군]] [[이리읍]]이 이리부로 승격되었다(3부 14군).[* 부(府)를 시(市)로 개칭하게 된 시점은 [[1949년]]부터.] 1963년 군사정권 시절 및 [[박정희]] 집권 초기에 [[금산군]]이 [[충청남도]]로 편입되었고, 익산군 황화면이 [[논산시|논산군]]에 편입되면서 연무읍의 일부로 전환되었다(3시 13군).[* 지금의 연무읍은 예전에 익산군 소속이었던 황화면과 당시 논산군 구자곡면 일부가 통합되면서 생성된 지역이다.] 같은 해 [[전라남도]] [[영광군]]에서 관할하던 위도면이 부안군으로 이관되었다. 1980년 정읍군 정주읍과 남원군 남원읍이, 1989년 [[김제군]] 김제읍이 각각 시로 승격되었고, 1995년 전국 행정구역 개편(도농통합)에 따라 1월에 군산시+옥구군=군산시, [[정주시(전라북도)|정주시]]+정읍군=정읍시, 남원시+남원군=남원시, 김제시+[[김제군]]=김제시로 통합되었고, 5월에 [[이리시]]+[[익산군]]=[[익산시]]로 통합되어 현재에 이른다(6시 8군). 본래 도청은 [[전주시]] [[완산구]] 중앙동의 전라감영 터에 있었다가 [[2005년]] 전주시 완산구 효자동 [[서부신시가지]]로 이전하였다. 2020년 옛 도청 부지에 전라감영을 복원하였다. 2020년대 이후 전북특별자치도 설치 추진이 시작되어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가 출범하였다. [[전북특별자치도/설치 과정]] 참조.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전북특별자치도, version=1783)][[분류:전북특별자치도]][[분류:대한민국의 폐지된 행정구역]][[분류:2024년 폐지된 행정구역]][[분류:향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