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교육기관)] || [[파일:전북여자고등학교 교표.jpg|width=20]] {{{#ffffff '''전북여자고등학교 관련 틀'''}}} ||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의 고등학교)] ---- [include(틀:학교법인 훈산학원)] }}} || ---- ||<-2> '''{{{#ffffff {{{+1 전북여자고등학교}}}[br]全北女子高等學校[br]Jeonbuk Girl's High School}}}''' || ||<-2> [[파일:전북여자고등학교 교표.jpg|width=50%]] || ||<-2> [[파일:전북여자고등학교 교표 및 교명.png|width=50%]] || ||<-2> [include(틀:지도, 장소=전북여자고등학교, 너비=100%)] || || '''개교''' || [[1983년]] || || '''유형''' || [[일반계 고등학교]] || || '''성별''' || [[여학교]] || || '''운영 형태''' || [[사립]] || || '''학교 법인''' || 훈산학원 || || '''교장''' || 고인환 || || '''교감''' || 안승국 || || '''교사 수''' || 67명[br](2023학년도) || || '''학생 수''' || 733명[br](2023학년도) || || '''주소'''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여산로 232 (고랑동) || ||<-2> [[http://jbg.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전북여자고등학교(이하 전북여고)[* 과거 교명은 우석여자고등학교였다. 우석여고 시절이 길다 보니 과거 졸업생이나 기성 세대 중에서는 여전히 우석여고라 부르는 사람이 적지 않다. 네이버에 우석여고로 검색하면 사이트 검색에 전북여자고등학교로 검색된다. 구 교명인 우석여고의 경우 같은 교명을 사용하는 학교가 경북 상주시에 있다. 사실 해당 학교의 원래 교명은 상주여자상업고등학교였고 우석여고로 교명을 바꾼 것은 [[2008년]]의 일이다. 전북여고가 교명을 변경한 것은 [[2006년]]이기 때문에 두 학교가 동시에 우석여고라는 교명을 사용한 적은 없다.]는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고랑동에 있는 [[사립]] [[일반계 고등학교]]다. == 학교 연혁 == *1983년 03월 02일 '전주우석여자고등학교' 개교 *1986년 02월 07일 행정구역 개편에 의한 전주시 편입 *2004년 03월 25일 학교법인 훈산학원 설립인가 *2006년 03월 01일 전북여자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2015년 02월 11일 제30회 졸업식 (352명) *2020년 01월 31일 제35회 졸업식 (209명, 졸업생 누계 14,625명) *2023년 09월 01일 제13대 교장 고인환 취임 == 교훈 == || [[파일:external/woosuk.hs.kr/symbol03.jpg|width=400]] || == 교가 == == 학교 상징 == 교목: [[소나무]] 교화: [[철쭉]] == 출신 인물 == * [[박지영(1969)|박지영]]: [[하녀(2010)|하녀]], [[후궁]] 등에 출연한 대한민국 배우. * [[국주영은]]: [[전라북도의회]] 의원(전주시 제9선거구) 더불어민주당 의원 * [[하지은(방송인)]] == 기타 == === 롤러스케이팅 === [[1980년대]] 국민 소득이 올라가면서 학생들 사이에서 유행한 놀이가 롤러스케이팅이었다. 롤러스케이트와 보호장구 풀세트를 착용하고 다니면 학교에서 부러움의 대상일 정도. 이러한 인기는 [[1990년대]] 말부터 본격적으로 보급되어진 인라인스케이트에 밀려 지금은 찾아 보기 힘들지만 그 이전까지는 4~6 바퀴가 두줄로 나란히 달려있는 롤러스케이트가 대세였다. 전북여고의 전신인 우석여고 시절 롤러스케이팅 팀이 유명했는데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8042200209208004&edtNo=2&printCount=1&publishDate=1988-04-22&officeId=00020&pageNo=8&printNo=20477&publishType=00020 |2000m 계주에서 한국신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이러한 호성적은 1980년대 중반부터 10여년간 이어지며 각종 기록과 수상 실적을 달성했다. 하지만 이후 시들해지기 시작하는데 이유는 상술한 것처럼 방향전환이 탁월하고 속도도 더 빠른 인라인스케이트가 대세가 되었기 때문이다. 호성적을 내던 기간이 딱 롤러스케이트가 우리나라에서 전성기였던 시기였던만큼 우석여고가 거두었던 성적들은 매우 빼어난 것이었다 할 수 있다. === 100대 골든벨 === [[2014년]] [[5월 27일]][* 녹화일 기준이며 방송은 [[7월 13일]]에 이루어졌다.] KBS1 도전 골든벨 '전북여자고등학교'편에서 100대 골든벨이 탄생했다. [[전주시]]에서는 [[전주성심여자고등학교]]에서 [[2001년]] 골든벨을 울린 후 13년[* 일수로는 4895일]만에 골든벨은 울린 쾌거였다. 골든벨을 울린 학생은 1~50번째 문제까지 모두 맞히면서 골든벨을 울려 의미를 더했다. 골든벨은 울린 주인공은 인터뷰에서 장래희망이 경찰관이라고 밝혔고, 녹화 후 이러한 소식을 들은 전북경찰청장이 학생과 가족을 초청하여 학생의 장래희망을 격려하기도 했다. 100대 골든벨이 탄생한 후 전주지역에서는 1년여 동안 2명의 골든벨이 더 탄생했는데[* 상산고와 중앙여고에서 탄생하였다.] 지난 14년간 1명의 골든벨 밖에 배출하지 못했던 것과는 흐름이 대조적이다. 이러한 변화의 시발점이 된 게 전북여고에서 탄생한 100번째 골든벨이었다.[* 100대 골든벨은 2014 왕중왕전에 개인 사정으로 불참했다.] [[분류:전주시의 고등학교]][[분류:전라북도의 여자고등학교]][[분류:1983년 개교]][[분류:훈산학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