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전북대학교]][[분류:의과대학]]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전북대학교)] [include(틀:전북대학교)] [include(틀:대한민국의 의과대학)] [include(틀:전북대학교/학부)] [목차] == 개요 == [[전북대학교]]의 [[의과대학]] == 학부 == === 의예과 === ||<-2>
{{{+1 {{{#ffffff '''의예과'''}}}}}} [br] {{{#ffffff '''Department of Preliminary Medicine'''}}} [[https://med.jbnu.ac.kr/med/index.d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15]]]] || ||<-2> {{{#ffffff '''설명'''}}} || ||<-2> 의과대학은 전라북도 지역주민의 보건의료 욕구 충족과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1971년 3월 의예과 학생 60명의 입학으로 부터 시작하였다. 설립당시 의과대학은 지역사회 보건을 책임지기 위한 의료인을 양성하는데 목표를 두고 일차 진료 능력을 충실히 갖춘 의료인을 교육하는 대학으로 출발하였다. 의과대학은 변화하는 의료환경과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발전적 의학교육을 위해 2006년도 부터 의학전문대학원으로 전환하였다. 그러나 의학전문대학원이라는 학제가 보여준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기대했던 입학자의 다양한 전공과 의학의 접목, 기초의학육성등의 취지와는 달리, 특정과 선호와 기피현상의 심화, 전공의 수련포기사례, 입학자 전원이 기초의학을 배제하고 임상을 택하는 등의 부작용이 발생함에 따라 우수인재 선발및 임상에 편중되지않는 의과학자 양성을 위해서 2017년 부터 가시 의과대학으로 전환하였다. 의과대학은 수년전 부터 중장기 발전계획인 비전 2025년에 우리나라 국립대학 최고의 의학교육기관이 되기위한 목표를 수립하였고, 교수진 모두가 일심 단결하여 교육, 연구, 봉사 분야에서 탁월한 실적을 달성하고 있다. 또한 내실있는 의학교육을 위해 교육과 연구 환경을 개선해왔고 전북대학교병원과 함께 높은 수준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일차 진료의사 양성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이러한 노력은 외부평가에서도 결실로 나타나 2015년 1월에 한국의학교육평가원으로 부터 의학교육평가인증 6년 인증을 받았으며, 인증유지를위해 매 2년 단위로 인증평가를 실시하여 인증을 받아 현재까지 의학교육평가인증을 유지하고있다. || ||<-2> {{{#ffffff '''모집인원'''}}} || ||<-2> 143명 || ||<-2> {{{#ffffff '''사용건물'''}}} || ||<-2> 의과대학1호관, 의과대학2호관 || ||<-2> {{{#ffffff '''연혁'''}}} || || 1970 || 의과대학 설립 허가 || || 1971 || 문리과대학 의예과 학생모집 (정윈60명) || || 1973 || 의과대학 본과 1학년 신축 건물에서 개강 || || 1975 || 전라북도 도립의료원을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으로 발족 || || 1977 || 의과학연구소 설립, 학부1회졸업생 배출 || || 1981 || 대학원 의학과 박사학위 배출 시작 || || 1983 ||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신설 || || 1984 || 금암동 소재 의과대학 신축 이전 || || 1985 || 의과대학 2호관 준공 || || 1987 || 금암동 소재 대학교 병원 신축 이전 || || 1988 || 의학도서관 준공 개관 || || 1991 || 의학계 학생회관 준공 || || 1992 || 의과학연구소 법정화 승격 || || 1995 || 병원 응급센터 신축 개설 || || 1996 || 심 혈관 연구소 설립 || || 1998 || 의과대학 3호관 기공 || || 2002 || 임상의학연구소 설립/ 음성과학연구소 설립 || || 2003 || 기초의과학연구센터 설립/의학교육실 개설 || || 2005 || 의학전문대학원 시설 인가 / 생명과학관(의대 3호관)준공 || || 2006 || 의학전문대학원 신입생 110명 입학, 의학계 생활관 기공식 || || 2009 || 의학계 생활관 준공 || || 2015 || 의과대학 의예과 신입생 77명 입학, 의학교육평가 인증에서 '6년 인증 기간'획득 || || 2016 || 의학교육학교실 || || 2017 || 의과대학 체제로 전환, 03 의과 대학 학사편입학생 33명 입학 || || 2021 || 가정의학교실 개설, 의학교육평가 인증에서 '6년 인증 기간' 획득(2021.3.~ 2027.2.) || === 의학과 === ||<-2>
{{{+1 {{{#ffffff '''의학과'''}}}}}} [br] {{{#ffffff '''Department of Medicine'''}}} [[https://med.jbnu.ac.kr/med/index.d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15]]]] || ||<-2> {{{#ffffff '''설명'''}}} || ||<-2> 의과대학은 전라북도 지역주민의 보건의료 욕구 충족과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1971년 3월 의예과 학생 60명의 입학으로 부터 시작하였다. 설립당시 의과대학은 지역사회 보건을 책임지기 위한 의료인을 양성하는데 목표를 두고 일차 진료 능력을 충실히 갖춘 의료인을 교육하는 대학으로 출발하였다. 의과대학은 변화하는 의료환경과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발전적 의학교육을 위해 2006년도 부터 의학전문대학원으로 전환하였다. 그러나 의학전문대학원이라는 학제가 보여준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기대했던 입학자의 다양한 전공과 의학의 접목, 기초의학육성등의 취지와는 달리, 특정과 선호와 기피현상의 심화, 전공의 수련포기사례, 입학자 전원이 기초의학을 배제하고 임상을 택하는 등의 부작용이 발생함에 따라 우수인재 선발및 임상에 편중되지않는 의과학자 양성을 위해서 2017년 부터 가시 의과대학으로 전환하였다. 의과대학은 수년전 부터 중장기 발전계획인 비전 2025년에 우리나라 국립대학 최고의 의학교육기관이 되기위한 목표를 수립하였고, 교수진 모두가 일심 단결하여 교육, 연구, 봉사 분야에서 탁월한 실적을 달성하고 있다. 또한 내실있는 의학교육을 위해 교육과 연구 환경을 개선해왔고 전북대학교병원과 함께 높은 수준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일차 진료의사 양성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이러한 노력은 외부평가에서도 결실로 나타나 2015년 1월에 한국의학교육평가원으로 부터 의학교육평가인증 6년 인증을 받았으며, 인증유지를위해 매 2년 단위로 인증평가를 실시하여 인증을 받아 현재까지 의학교육평가인증을 유지하고있다. || ||<-2> {{{#ffffff '''모집인원'''}}} || ||<-2> 143명 || ||<-2> {{{#ffffff '''사용건물'''}}} || ||<-2> 의과대학1호관,의과대학2호관 || ||<-2> {{{#ffffff '''연혁'''}}} || || 1970 || 의과대학 설립 허가 || || 1971 || 문리과대학 의예과 학생모집 (정윈60명) || || 1973 || 의과대학 본과 1학년 신축 건물에서 개강 || || 1975 || 전라북도 도립의료원을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으로 발족 || || 1977 || 의과학연구소 설립, 학부1회졸업생 배출 || || 1981 || 대학원 의학과 박사학위 배출 시작 || || 1983 ||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신설 || || 1984 || 금암동 소재 의과대학 신축 이전 || || 1985 || 의과대학 2호관 준공 || || 1987 || 금암동 소재 대학교 병원 신축 이전 || || 1988 || 의학도서관 준공 개관 || || 1991 || 의학계 학생회관 준공 || || 1992 || 의과학연구소 법정화 승격 || || 1995 || 병원 응급센터 신축 개설 || || 1996 || 심 혈관 연구소 설립 || || 1998 || 의과대학 3호관 기공 || || 2002 || 임상의학연구소 설립/ 음성과학연구소 설립 || || 2003 || 기초의과학연구센터 설립/의학교육실 개설 || || 2005 || 의학전문대학원 시설 인가 / 생명과학관(의대 3호관)준공 || || 2006 || 의학전문대학원 신입생 110명 입학, 의학계 생활관 기공식 || || 2009 || 의학계 생활관 준공 || || 2015 || 의과대학 의예과 신입생 77명 입학, 의학교육평가 인증에서 '6년 인증 기간'획득 || || 2016 || 의학교육학교실 || || 2017 || 의과대학 체제로 전환, 03 의과 대학 학사편입학생 33명 입학 || || 2021 || 가정의학교실 개설, 의학교육평가 인증에서 '6년 인증 기간' 획득(2021.3.~ 2027.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