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전라남도)] [include(틀:전라남도의 정치)] [목차] == 개요 == 전라남도의 정치에 대해 설명한 문서. == 국회의원 목록 ==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전라남도)] == 역대 민선 전라남도지사 == ||<-5> [[전라남도|[[파일:전라남도 휘장_White.svg|width=20px]]]] {{{#000 '''역대 민선 전라남도지사'''}}} || || [[1960년 지방선거|{{{#000 '''1960'''}}}]]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000 '''1995'''}}}]]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000 '''1998'''}}}]]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000 '''2002'''}}}]] || [[2004년 재보궐선거|{{{#000 '''2004'''}}}]] || || [[신민당(1960년)|{{{#ffffff {{{#!html
신민당
}}}}}}]] || [[민주당(1991년)|{{{#ffffff {{{#!html
민주당
}}}}}}]] || [[새정치국민회의|{{{#ffffff {{{#!html
새정치국민회의
}}}}}}]] ||<-2> [[새천년민주당|{{{#ffffff {{{#!html
새천년민주당
}}}}}}]] || || [[민영남|{{{#373a3c,#dddddd 민영남}}}]] ||<-2> [[허경만|{{{#373a3c,#dddddd 허경만}}}]] || [[박태영|{{{#373a3c,#dddddd 박태영}}}]] || [[박준영|{{{#373a3c,#dddddd 박준영}}}]] ||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000 '''2006'''}}}]]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000 '''2010'''}}}]]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000 '''2014'''}}}]]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000 '''2018'''}}}]]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000 '''2022'''}}}]] || || [[민주당(2005년)|{{{#ffffff {{{#!html
민주당
}}}}}}]] || [[민주당(2008년)|{{{#ffffff {{{#!html
민주당
}}}}}}]] || [[새정치민주연합|{{{#ffffff {{{#!html
새정치민주연합
}}}}}}]] ||<-2> [[더불어민주당|{{{#ffffff {{{#!html
더불어민주당
}}}}}}]] || ||<-2> [[박준영|{{{#373a3c,#dddddd 박준영}}}]] || [[이낙연|{{{#373a3c,#dddddd 이낙연}}}]] ||<-2> [[김영록|{{{#373a3c,#dddddd 김영록}}}]] || ||<-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000 '''구분'''}}} || {{{#000 '''주요 후보 득표율'''}}} || || [[1960년 지방선거|1960년]] ||'''1위: [include(틀:신민당(1960년))] [[민영남]] 45.90%'''[br]2위: [include(틀:민주당(1955년))] [[최의남]] 29.00% ||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1995년]] ||'''1위: [include(틀:민주당(1991년))] [[허경만]] 73.50%'''[br]2위: [include(틀:민주자유당)] [[전석홍]] 26.49% ||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1998년]] ||'''1위: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허경만]] 100%'''[*주의 지금과는 공직선거법이 달랐기 때문에 광역자치단체장은 단독 출마라도 무투표 당선 될 수 없었다. 당시 공직선거법 제191조 2항에 따르면 단독 출마일 경우 득표수가 투표자 총수의 3분의 1이상에 달하여야 당선인으로 결정되었다. 이는 2010년 1월 25일 삭제되었다.] ||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02년]] ||'''1위: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박태영]] 57.76%'''[br]2위: [include(틀:무소속)] [[송재구]] 24.24% || || [[2004년 재보궐선거|2004년]] ||'''1위: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박준영]] 57.60%'''[br]2위: [include(틀:열린우리당)] [[민화식]] 35.00% ||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06년]] ||'''1위: [include(틀:민주당(2005년))] [[박준영]] 67.69%'''[br]2위: [include(틀:열린우리당)] [[서범석(1951)|서범석]] 19.19%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10년]] ||'''1위: [include(틀:민주당(2008년))] [[박준영]] 68.30%'''[br]2위: [include(틀:한나라당)] [[김대식(1962)|김대식]] 13.39%[br]3위: [include(틀:민주노동당)] [[박웅두]] 10.90% ||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14년]] ||'''1위: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이낙연]] 77.96%'''[br]2위: [include(틀:통합진보당)] [[이성수(1969년 4월)|이성수]] 12.47%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18년]] ||'''1위: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김영록]] 77.08%'''[br]2위: [include(틀:민주평화당)] [[민영삼]] 10.58% ||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22년]] ||'''1위: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김영록]] 75.74%'''[br]2위: [include(틀:국민의힘)] [[이정현(정치인)|이정현]] 18.81% ||}}}}}}}}} || == 최근 선거 결과 == === 대선 === ||<-8> {{{#FFFFFF '''전라남도 개표 결과'''}}} ||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FFFFFF '''국민의힘'''}}}]] || [[정의당|{{{#000 '''정의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이재명|{{{#FFFFFF '''이재명'''}}}]] || [[윤석열|{{{#FFFFFF '''윤석열'''}}}]] || [[심상정|{{{#000000 '''심상정'''}}}]]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br] (득표율)''' || {{{#FFFFFF '''1,094,872 [br] (86.10%)'''}}} || '''145,549 [br] (11.44%)''' || '''16,279 [br] (1.28%)''' || '''+ 949,323 [br] (△74.65)''' || '''1,282,168 [br] (81.08%)''' || || '''목포시''' || {{{#FFFFFF 125,790 [br] (87.23%)}}} || 14,936 [br] (10.35%) || 2,021 [br] (1.40%) || + 110,854 [br] (△76.88) || {{{#696969 79.05%}}} || || '''여수시''' || {{{#FFFFFF 162,006 [br] (86.03%)}}} || 21,986 [br] (11.67%) || 2,266 [br] (1.20%) || + 140,020 [br] (△74.36) || 79.85% || || '''순천시''' || {{{#FFFFFF 162,566 [br] (85.12%)}}} || 23,709 [br] (12.41%) || 2,780 [br] (1.45%) || + 138,857 [br] (△72.71) || 81.76% || || '''나주시''' || {{{#FFFFFF 68,994 [br] (85.78%)}}}[* 혁신도시 제외 : 87.29%.] || 9,512 [br] (11.82%)[* 혁신도시 제외 : 10.43%.] || 1,019 [br] (1.26%)[* 혁신도시 제외 : 1.07%.] || + 59,482 [br] (△73.95)[* 혁신도시 제외 : △76.85%.] || 81.79%[* 혁신도시 제외 : 82.46%.] || || '''광양시''' || {{{#FFFFFF 81,441 [br] (81.35%)}}} || '''15,843 [br] (15.82%)''' || 1,560 [br] (1.55%) || {{{#696969 + 65,598 [br] (△65.53)}}} || 79.65% || || '''담양군''' || {{{#FFFFFF 30,076 [br] (87.57%)}}} || 3,435 [br] (10.00%) || 396 [br] (1.15%) || + 26,541 [br] (△77.58) || 83.05% || || '''장성군''' || {{{#FFFFFF 27,132 [br] (86.33%)}}} || 3,566 [br] (11.34%) || 386 [br] (1.22%) || + 23,566 [br] (△74.99) || 82.27% || || '''곡성군''' || {{{#FFFFFF 17,472 [br] (85.29%)}}} || 2,380 [br] (11.61%) || 305 [br] (1.48%) || + 15,092 [br] (△73.67) || 82.39% || || '''구례군''' || {{{#FFFFFF 16,137 [br] (85.11%)}}} || 2,352 [br] (12.40%) || 232 [br] (1.22%) || + 13,785 [br] (△72.71) || '''84.02%''' || || '''고흥군''' || {{{#FFFFFF 40,466 [br] (86.66%)}}} || 5,120 [br] (10.96%) || 507 [br] (1.08%) || + 35,346 [br] (△75.70) || 82.15% || || '''보성군''' || {{{#FFFFFF 25,214 [br] (86.85%)}}} || 3,102 [br] (10.68%) || 322 [br] (1.10%) || + 22,212 [br] (△76.17) || 81.79% || || '''화순군''' || {{{#FFFFFF 39,327 [br] (87.83%)}}} || 4,389 [br] (9.80%) || 475 [br] (1.06%) || + 34,938 [br] (△78.03) || 81.91% || || '''장흥군''' || {{{#FFFFFF 23,565 [br] (87.86%)}}} || 2,555 [br] (9.52%) || 301 [br] (1.12%) || + 21,010 [br] (△78.34) || 82.68% || || '''강진군''' || {{{#FFFFFF 21,064 [br] (85.32%)}}} || 3,010 [br] (12.19%) || 298 [br] (1.20%) || + 18,054 [br] (△73.13) || 82.45% || || '''완도군''' || {{{#FFFFFF '''31,062 [br] (88.89%)'''}}}[* 이재명 후보가 전국 최고 득표율을 기록한 곳이다.] || {{{#696969 3,085 [br] (8.82%)}}}[* 윤석열 후보가 전국 최저 득표율을 기록한 곳이다.] || 347 [br] (0.99%) || '''+ 27,977 [br] (△80.06)''' || 82.54% || || '''해남군''' || {{{#FFFFFF 42,071 [br] (87.83%)}}} || 4,690 [br] (9.79%) || 510 [br] (1.06%) || + 37,381 [br] (△78.04) || 81.23% || || '''진도군''' || {{{#FFFFFF 18,692 [br] (86.81%)}}} || 2,313 [br] (10.74%) || 219 [br] (1.01%) || + 15,379 [br] (△76.08) || 81.12% || || '''영암군''' || {{{#FFFFFF 31,909 [br] (86.27%)}}} || 4,092 [br] (11.06%) || 521 [br] (1.40%) || + 27,817 [br] (△75.21) || 80.27% || || '''무안군''' || {{{#FFFFFF 52,983 [br] (86.77%)}}}[* 남악신도시 제외 : 87.09%.] || 6,624 [br] (10.84%)[* 남악신도시 제외 : 10.53%.] || 808 [br] (1.32%)[* 남악신도시 제외 : 1.18%.] || + 46,359 [br] (△75.92)[* 남악신도시 제외 : △76.56%.] || 82.05%[* 남악신도시 제외 : 83.38%.] || || '''영광군''' || {{{#FFFFFF 30,855 [br] (85.84%)}}} || 4,056 [br] (11.28%) || 475 [br] (1.32%) || + 26,799 [br] (△74.56) || 80.21% || || '''함평군''' || {{{#FFFFFF 20,467 [br] (88.64%)}}} || 2,052 [br] (8.88%) || 259 [br] (1.12%) || + 18,415 [br] (△79.76) || 81.92% || || '''신안군''' || {{{#FFFFFF 25,583 [br] (88.35%)}}} || 2,742 [br] (9.46%) || 272 [br] (0.93%)[* 심상정 후보가 전국 최저 득표율을 기록한 곳이다.] || + 22,841 [br] (△78.88) || 83.05% || ---- ||<-8> {{{#FFFFFF '''전라남도 이재명 득표율'''}}} || ||<-4> 상위 20개 읍·면·동 ||<-4> 하위 20개 읍·면·동 || || 순위 || 시·군·구 || 읍·면·동 || 득표율 || 순위 || 시·군·구 || 읍·면·동 || 득표율 || || '''1위''' || '''영광군''' || '''낙월면''' || {{{#004EA2 '''93.39%'''}}} || 1위 || 광양시 || 금호동[*B [[포스코]] 광양제철소가 있어서 외지 노동자들이 많음] || {{{#4169E1 68.55%}}} || || 2위 || 여수시 || 묘도동 || {{{#004EA2 93.31%}}} || 2위 || 장성군 || 삼계면[*C [[상무대]] 군인아파트 단지가 있음] || {{{#4169E1 77.62%}}} || || 3위 || 완도군 || 금일읍 || {{{#004EA2 93.11%}}} || 3위 || 영광군 || 홍농읍[*D [[한빛 원자력 본부]] 및 사원아파트가 있음] || {{{#4169E1 78.03%}}} || || 4위 || 장흥군 || 관산읍 || {{{#004EA2 91.89%}}} || 4위 || 나주시 || 빛가람동[*E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가 있음] || {{{#4169E1 80.69%}}} || || 5위 || 함평군 || 월야면 || {{{#004EA2 91.79%}}} || 5위 || 광양시 || 광영동[*F 외지 출신 광양제철소 노동자들이 많이 사는 구 동광양시 지역] || {{{#4169E1 80.98%}}} || || 6위 || 완도군 || 금당면 || {{{#004EA2 91.78%}}} || 6위 || 광양시 || 골약동[*F] || {{{#4169E1 81.03%}}} || || 7위 || 나주시 || 동강면 || {{{#004EA2 91.76%}}} || 7위 || 광양시 || 중마동[*F] || {{{#4169E1 81.11%}}} || || 8위 || 완도군 || 소안면 || {{{#004EA2 91.68%}}} || 8위 || 광양시 || 다압면[*G [[섬진강]]을 사이에 두고 [[경남]] [[하동군|하동]]과 마주보고 있는 동네] || {{{#4169E1 81.67%}}} || || 9위 || 화순군 || 이양면 || {{{#004EA2 91.46%}}} || 9위 || 장흥군 || 유치면 || {{{#4169E1 82.08%}}} || || 10위 || 나주시 || 세지면 || {{{#004EA2 91.46%}}} || 10위 || 순천시 || 매곡동 || {{{#4169E1 82.83%}}} || || 11위 || 완도군 || 노화읍 || {{{#004EA2 91.46%}}} || 11위 || 순천시 || 왕조1동 || {{{#4169E1 83.23%}}} || || 12위 || 여수시 || 화정면 || {{{#004EA2 91.19%}}} || 12위 || 고흥군 || 봉래면 || {{{#4169E1 83.81%}}} || || 13위 || 완도군 || 고금면 || {{{#004EA2 91.17%}}} || 13위 || 강진군 || 도암면 || {{{#4169E1 83.81%}}} || || 14위 || 완도군 || 보길면 || {{{#004EA2 91.04%}}} || 14위 || 곡성군 || 오곡면 || {{{#4169E1 84.26%}}} || || 15위 || 완도군 || 신지면 || {{{#004EA2 91.04%}}} || 15위 || 여수시 || 삼산면 || {{{#4169E1 84.50%}}} || || 16위 || 나주시 || 노안면 || {{{#004EA2 90.92%}}} || 16위 || 순천시 || 삼산동 || {{{#4169E1 84.53%}}} || || 17위 || 목포시 || 만호동 || {{{#004EA2 90.87%}}} || 17위 || 나주시 || 송월동 || {{{#4169E1 84.73%}}} || || 18위 || 담양군 || 대전면 || {{{#004EA2 90.85%}}} || 18위 || 강진군 || 군동면 || {{{#4169E1 84.89%}}} || || 19위 || 나주시 || 봉황면 || {{{#004EA2 90.85%}}} || 19위 || 구례군 || 문척면 || {{{#4169E1 84.93%}}} || || 20위 || 나주시 || 공산면 || {{{#004EA2 90.82%}}} || 20위 || 곡성군 || 겸면 || {{{#4169E1 84.97%}}} || ---- ||<-8> {{{#FFFFFF '''전라남도 윤석열 득표율'''}}} || ||<-4> 상위 20개 읍·면·동 ||<-4> 하위 20개 읍·면·동 || || 순위 || 시·군·구 || 읍·면·동 || 득표율 || 순위 || 시·군·구 || 읍·면·동 || 득표율 || || '''1위''' || '''광양시''' || '''금호동[*B]''' || {{{#E61E2B '''28.14%'''}}} || 1위 || 영광군 || 낙월면 || {{{#FF6347 4.40%}}} || || 2위 || 장성군 || 삼계면[*C] || {{{#E61E2B 19.80%}}} || 2위 || 여수시 || 묘도동 || {{{#FF6347 4.54%}}} || || 3위 || 영광군 || 홍농읍[*D] || {{{#E61E2B 17.99%}}} || 3위 || 완도군 || 금일읍 || {{{#FF6347 5.53%}}} || || 4위 || 광양시 || 골약동[*F] || {{{#E61E2B 16.77%}}} || 4위 || 완도군 || 소안면 || {{{#FF6347 5.87%}}} || || 5위 || 나주시 || 빛가람동[*E] || {{{#E61E2B 16.50%}}} || 5위 || 완도군 || 생일면 || {{{#FF6347 6.19%}}} || || 6위 || 광양시 || 광영동[*F] || {{{#E61E2B 15.95%}}} || 6위 || 여수시 || 화정면 || {{{#FF6347 6.22%}}} || || 7위 || 광양시 || 중마동[*F] || {{{#E61E2B 15.93%}}} || 7위 || 화순군 || 이양면 || {{{#FF6347 6.25%}}} || || 8위 || 광양시 || 다압면[*G] || {{{#E61E2B 15.12%}}} || 8위 || 함평군 || 월야면 || {{{#FF6347 6.38%}}} || || 9위 || 순천시 || 왕조1동 || {{{#E61E2B 14.42%}}} || 9위 || 나주시 || 동강면 || {{{#FF6347 6.44%}}} || || 10위 || 순천시 || 매곡동 || {{{#E61E2B 14.02%}}} || 10위 || 완도군 || 노화읍 || {{{#FF6347 6.50%}}} || || 11위 || 강진군 || 도암면 || {{{#E61E2B 13.26%}}} || 11위 || 완도군 || 금당면 || {{{#FF6347 6.60%}}} || || 12위 || 여수시 || 삼산면 || {{{#E61E2B 13.14%}}} || 12위 || 완도군 || 보길면 || {{{#FF6347 6.63%}}} || || 13위 || 고흥군 || 봉래면 || {{{#E61E2B 13.08%}}} || 13위 || 해남군 || 북일면 || {{{#FF6347 6.70%}}} || || 14위 || 여수시 || 만덕동 || {{{#E61E2B 13.06%}}} || 14위 || 장흥군 || 관산읍 || {{{#FF6347 6.70%}}} || || 15위 || 구례군 || 산동면 || {{{#E61E2B 13.02%}}} || 15위 || 화순군 || 백아면 || {{{#FF6347 6.83%}}} || || 16위 || 순천시 || 삼산동 || {{{#E61E2B 12.93%}}} || 16위 || 완도군 || 고금면 || {{{#FF6347 6.90%}}} || || 17위 || 여수시 || 쌍봉동 || {{{#E61E2B 12.92%}}} || 17위 || 완도군 || 신지면 || {{{#FF6347 6.97%}}} || || 18위 || 여수시 || 시전동 || {{{#E61E2B 12.79%}}} || 18위 || 나주시 || 노안면 || {{{#FF6347 6.98%}}} || || 19위 || 구례군 || 문척면 || {{{#E61E2B 12.63%}}} || 19위 || 나주시 || 봉황면 || {{{#FF6347 6.99%}}} || || 20위 || 곡성군 || 죽곡면 || {{{#E61E2B 12.59%}}} || 20위 || 함평군 || 해보면 || {{{#FF6347 7.05%}}} || ==== 이전 대선과의 비교 ==== ||<-10> {{{#000000 '''2017년 19대 대선 / 2022년 20대 대선 득표율 비교'''}}} || ||<|2> '''선거''' ||<-3> {{{#FFFFFF '''범진보''' (더불어민주당, 정의당)}}} ||<-3> {{{#FFFFFF '''범보수''' (자유한국당, 바른정당, 국민의힘)}}} ||<|2> '''격차''' || || '''19대 대선'''[* 문재인+심상정.] || '''20대 대선'''[* 이재명+심상정.] || '''증감률''' || '''19대 대선'''[* 홍준표+유승민.] || '''20대 대선'''[* 윤석열.] || '''증감률''' || || '''득표율''' || {{{#FFFFFF '''787,430 [br] (63.89%)'''}}} || {{{#FFFFFF '''1,111,151 [br] (87.38%)'''}}} || '''+ 323,721 [br] (△23.49)''' || '''56,040 [br] (4.54%)''' || '''145,549 [br] (11.44%)''' || '''+ 89,509 [br] (△6.90)''' || '''+ 965,602 [br] (+ 75.94%)''' || || '''목포시''' || {{{#004EA2 58.92%}}} || {{{#004EA2 88.64%}}} || △32.24 || 3.86% || 10.35% || △6.49 || + 78.28 || || '''여수시''' || {{{#004EA2 67.62%}}} || {{{#004EA2 87.23%}}} || △19.61 || 4.59% || 11.67% || △7.08 || + 75.56 || || '''순천시''' || {{{#004EA2 '''71.94%'''}}} || {{{#004EA2 86.58%}}} || △14.64 || 4.89% || 12.41% || △7.52 || + 74.17 || || '''나주시''' || {{{#004EA2 65.53%}}} || {{{#004EA2 87.04%}}} || △21.51 || 4.11% || 11.82% || △4.68 || + 75.22 || || '''광양시''' || {{{#004EA2 70.89%}}} || {{{#4169E1 82.91%}}} || {{{#696969 △12.02}}} || '''7.54%''' || '''15.82%''' || '''△8.28''' || {{{#696969 + 67.09}}} || || '''담양군''' || {{{#004EA2 64.50%}}} || {{{#004EA2 88.73%}}} || △24.23 || 3.94% || 10.00% || △6.06 || + 78.73 || || '''곡성군''' || {{{#004EA2 61.51%}}} || {{{#004EA2 86.78%}}} || △25.27 || 4.58% || 11.61% || △7.03 || + 75.16 || || '''구례군''' || {{{#004EA2 66.51%}}} || {{{#004EA2 86.33%}}} || △19.82 || 4.85% || 12.40% || △7.55 || + 73.93 || || '''고흥군''' || {{{#004EA2 60.23%}}} || {{{#004EA2 87.75%}}} || △27.58 || 4.40% || 10.96% || △6.56 || + 76.79 || || '''보성군''' || {{{#004EA2 59.13%}}} || {{{#004EA2 87.96%}}} || △28.83 || 4.26% || 10.68% || △6.42 || + 77.28 || || '''화순군''' || {{{#004EA2 63.51%}}} || {{{#004EA2 88.89%}}} || △25.38 || {{{#696969 3.45%}}} || 9.80% || △6.35 || + 79.09 || || '''장흥군''' || {{{#004EA2 58.52%}}} || {{{#004EA2 88.98%}}} || △30.46 || 4.25% || 9.52% || △5.27 || + 79.46 || || '''강진군''' || {{{#004EA2 53.45%}}} || {{{#004EA2 86.53%}}} || △33.08 || 4.96% || 12.19% || △7.23 || + 74.34 || || '''해남군''' || {{{#004EA2 57.24%}}} || {{{#004EA2 88.89%}}} || △31.65 || 4.03% || 9.79% || △5.76 || + 79.11 || || '''영암군''' || {{{#004EA2 57.42%}}} || {{{#004EA2 87.68%}}} || △30.26 || 4.14% || 11.06% || △6.92 || + 76.62 || || '''무안군''' || {{{#004EA2 61.01%}}} || {{{#004EA2 88.09%}}} || △27.08 || 3.75% || 10.84% || △7.09 || + 77.25 || || '''함평군''' || {{{#004EA2 61.75%}}} || {{{#004EA2 89.76%}}} || △28.01 || 3.57% || 8.88% || △5.31 || + 80.88 || || '''영광군''' || {{{#004EA2 61.36%}}} || {{{#004EA2 87.16%}}} || △25.80 || 4.21% || 11.28% || △7.07 || + 75.88 || || '''장성군''' || {{{#004EA2 60.83%}}} || {{{#004EA2 87.56%}}} || △26.73 || 4.99% || 11.34% || △6.35 || + 76.21 || || '''완도군''' || {{{#004EA2 63.36%}}} || {{{#004EA2 '''89.88%'''}}} || △26.52 || 3.70% || {{{#696969 8.82%}}} || {{{#696969 △5.12}}} || '''+ 81.06''' || || '''진도군''' || {{{#4169E1 52.72%}}} || {{{#004EA2 87.83%}}} || △35.11 || 3.96% || 10.74% || △6.78 || + 77.09 || || '''신안군''' || {{{#004EA2 53.08%}}} || {{{#004EA2 89.29%}}} || '''△36.21''' || 4.07% || 9.46% || △5.39 || + 79.82 || === 총선 === ||<:><-10> {{{#FFFFFF '''전라남도 개표 결과 (시·군·구별)'''}}} || ||<:><-3> {{{#FFFFFF '''국회의원'''}}} ||<:><-6> {{{#FFFFFF '''비례대표'''}}} ||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 '''더불어민주당'''}}}]] ||<:> [[민생당|{{{#fff 민생당}}}]] ||<:> [[더불어시민당|{{{#fff '''더불어시민당'''}}}]] ||<:> [[미래한국당|{{{#fff 미래한국당}}}]] ||<:> [[민생당|{{{#fff 민생당}}}]] ||<:> [[정의당|{{{#000 정의당}}}]] || [[국민의당(2020년)|{{{#fff 국민의당}}}]] ||<:> [[열린민주당|{{{#fff 열린민주당}}}]] || || '''의석수/비례1위''' ||<:> {{{#FFFFFF '''10석'''}}} ||<:> {{{#FFFFFF 0석}}} ||<:> {{{#FFFFFF 22개}}} ||<:> - ||<:> - ||<:> - ||<:> - ||<:> - || || '''득표수 [br] (득표율)''' ||<:> {{{#FFFFFF '''705,617 [br] (66.64%)'''}}}[* 무소속 권세도, 노관규 후보의 표를 합하면 73.26%] ||<:> '''139,291 [br] (13.15%)'''[* 무소속 이용주, 정인화 후보의 표를 합하면 18.59%] ||<:> {{{#FFFFFF '''621,100 [br] (60.34%)'''}}} ||<:> '''43,122 [br] (4.18%)''' ||<:> '''76,298 [br] (7.41%)''' ||<:> '''98,431 [br] (9.56%)''' ||<:> '''39,862 [br] (3.87%)''' ||<:> '''71,672 [br] (6.96%)''' || || '''목포시''' ||<:> {{{#4169E1 48.76%}}} ||<:> 37.34% ||<:> {{{#4169E1 52.02%}}} ||<:> 3.07% ||<:> 12.65% ||<:> '''15.71%''' ||<:> 3.20% ||<:> '''8.45%''' || || '''여수시''' ||<:> {{{#004EA2 68.06%}}}[* 민주당계 무소속을 합하면 78.11%] ||<:> -[* 민생당계 무소속 15.18%] ||<:> {{{#006CB7 63.82%}}} ||<:> 4.21% ||<:> 4.50% ||<:> 8.67% ||<:> 4.73% ||<:> 7.41% || || '''순천시''' ||<:> {{{#004EA2 59.92%}}}[* 민주당계 무소속을 합하면 87.54%] ||<:> 0.68%[* 민생당계 무소속을 합하면 3.14%] ||<:> {{{#006CB7 62.45%}}} ||<:> 4.44% ||<:> 3.45% ||<:> 8.80% ||<:> '''4.88%''' ||<:> 7.90% || || '''나주시''' ||<:> {{{#004EA2 75.59%}}} ||<:> -[* 지역구 2위 : [[민중당(2017년)|민중당]] 22.79%] ||<:> {{{#006CB7 60.74%}}} ||<:> 3.92% ||<:> 4.36% ||<:> 9.48% ||<:> 4.27% ||<:> 7.65% || || '''광양시''' ||<:> {{{#004EA2 60.59%}}} ||<:> -[* 민생당계 무소속 28.42%] ||<:> {{{#006CB7 59.82%}}} ||<:> '''6.86%''' ||<:> {{{#696969 3.07%}}} ||<:> 9.89% ||<:> 4.70% ||<:> 7.59% || || '''담양군''' ||<:> {{{#004EA2 '''90.64%'''[* 지역구 득표율 전국 최고 여기에 민주당계 무소속을 합하면 95.09%]}}} ||<:> 3.27% ||<:> {{{#006CB7 65.70%}}} ||<:> 3.50% ||<:> 5.12% ||<:> 8.35% ||<:> 3.60% ||<:> 6.43% || || '''곡성군''' ||<:> {{{#004EA2 76.25%}}} ||<:> -[* 민생당계 무소속 12.78%] ||<:> {{{#006CB7 61.00%}}} ||<:> 5.64% ||<:> 4.64% ||<:> 10.60% ||<:> 3.23% ||<:> 5.57% || || '''구례군''' ||<:> {{{#004EA2 69.34%}}} ||<:> -[* 민생당계 무소속 21.17%] ||<:> {{{#006CB7 61.18%}}} ||<:> 5.58% ||<:> 4.59% ||<:> 8.38% ||<:> 3.25% ||<:> 6.79% || || '''고흥군''' ||<:> {{{#004EA2 62.68%}}} ||<:> 34.26% ||<:> {{{#006CB7 60.04%}}} ||<:> 4.08% ||<:> '''16.10%''' ||<:> 6.14% ||<:> 2.82% ||<:> {{{#696969 4.41%}}} || || '''보성군''' ||<:> {{{#004EA2 65.74%}}} ||<:> 31.10% ||<:> {{{#006CB7 60.01%}}} ||<:> 4.26% ||<:> 11.46% ||<:> 7.00% ||<:> 3.51% ||<:> 5.37% || || '''화순군''' ||<:> {{{#004EA2 84.36%}}} ||<:> -[* 지역구 2위 : [[민중당(2017년)|민중당]] 13.92%] ||<:> {{{#006CB7 63.75%}}} ||<:> {{{#696969 3.02%}}} ||<:> 4.27% ||<:> 8.02% ||<:> 3.98% ||<:> 6.52% || || '''장흥군''' ||<:> {{{#004EA2 67.41%}}} ||<:> 29.91% ||<:> {{{#006CB7 59.15%}}} ||<:> 3.69% ||<:> 10.68% ||<:> {{{#696969 6.11%}}} ||<:> 2.95% ||<:> 5.23% || || '''강진군''' ||<:> {{{#004EA2 54.63%}}} ||<:> '''42.96%''' ||<:> {{{#006CB7 55.48%}}} ||<:> 4.63% ||<:> 16.08% ||<:> 7.19% ||<:> 3.21% ||<:> 5.84% || || '''해남군''' ||<:> {{{#004EA2 62.88%}}} ||<:> 35.66% ||<:> {{{#006CB7 58.92%}}} ||<:> 3.57% ||<:> 12.82% ||<:> 7.78% ||<:> 2.89% ||<:> 5.58% || || '''영암군''' ||<:> {{{#004EA2 78.81%}}} ||<:> 16.85% ||<:> {{{#006CB7 58.02%}}} ||<:> 4.56% ||<:> 8.72% ||<:> 12.82% ||<:> 3.05% ||<:> 5.79% || || '''무안군''' ||<:> {{{#004EA2 75.03%}}} ||<:> 21.67% ||<:> {{{#006CB7 58.62%}}} ||<:> 3.41% ||<:> 9.11% ||<:> 11.76% ||<:> 3.64% ||<:> 7.42% || || '''함평군''' ||<:> {{{#004EA2 69.54%}}}[* 민주당계 무소속을 합하면 92.26%] ||<:> 5.87% ||<:> {{{#006CB7 60.02%}}} ||<:> 3.23% ||<:> 8.06% ||<:> 9.28% ||<:> 3.11% ||<:> 6.35% || || '''영광군''' ||<:> {{{#004EA2 78.67%}}}[* 민주당계 무소속을 합하면 92.42%] ||<:> 5.73% ||<:> {{{#006CB7 60.03%}}} ||<:> 4.07% ||<:> 5.52% ||<:> 7.46% ||<:> 3.52% ||<:> 6.19% || || '''장성군''' ||<:> {{{#004EA2 86.56%}}}[* 민주당계 무소속을 합하면 94.55%] ||<:> 3.63% ||<:> {{{#006CB7 64.01%}}} ||<:> 4.80% ||<:> 5.34% ||<:> 8.97% ||<:> 3.85% ||<:> 6.70% || || '''완도군''' ||<:> {{{#004EA2 74.39%}}} ||<:> 24.23% ||<:> {{{#006CB7 '''65.88%'''[* 비례 득표율 전국 최고]}}} ||<:> 3.35% ||<:> 10.37% ||<:> 6.12% ||<:> 2.74% ||<:> 5.02% || || '''진도군''' ||<:> {{{#004EA2 66.31%}}} ||<:> 31.40% ||<:> {{{#006CB7 57.90%}}} ||<:> 4.26% ||<:> 14.30% ||<:> 7.57% ||<:> 2.64% ||<:> 5.41% || || '''신안군''' ||<:> {{{#004EA2 78.22%}}} ||<:> 18.43% ||<:> {{{#006CB7 63.70%}}} ||<:> 3.77% ||<:> 9.05% ||<:> 8.57% ||<:> {{{#696969 2.59%}}} ||<:> 5.47% || ||<:><-10> {{{#FFFFFF '''전라남도 개표 결과 (지역구별)'''}}} || ||<:><-3> {{{#FFFFFF '''국회의원'''}}} ||<:><-6> {{{#FFFFFF '''비례대표'''}}} ||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 '''더불어민주당'''}}}]] ||<:> [[민생당|{{{#fff 민생당}}}]] ||<:> [[더불어시민당|{{{#fff '''더불어시민당'''}}}]] ||<:> [[미래한국당|{{{#fff 미래한국당}}}]] ||<:> [[민생당|{{{#fff 민생당}}}]] ||<:> [[정의당|{{{#000 정의당}}}]] || [[국민의당(2020년)|{{{#fff 국민의당}}}]] ||<:> [[열린민주당|{{{#fff 열린민주당}}}]] || || '''의석수/비례1위''' ||<:> {{{#FFFFFF '''10석'''}}} ||<:> {{{#FFFFFF 0석}}} ||<:> {{{#FFFFFF 10개}}} ||<:> - ||<:> - ||<:> - ||<:> - ||<:> - || || '''득표수 [br] (득표율)''' ||<:> {{{#FFFFFF '''705,617 [br] (66.64%)'''}}}[* 무소속 권세도, 노관규 후보의 표를 합하면 73.26%] ||<:> '''139,291 [br] (13.15%)'''[* 무소속 이용주, 정인화 후보의 표를 합하면 18.59%] ||<:> {{{#FFFFFF '''621,100 [br] (60.34%)'''}}} ||<:> '''43,122 [br] (4.18%)''' ||<:> '''76,298 [br] (7.41%)''' ||<:> '''98,431 [br] (9.56%)''' ||<:> '''39,862 [br] (3.87%)''' ||<:> '''71,672 [br] (6.96%)''' || || '''목포시''' ||<:> {{{#FFFFFF 62,065 [br] (48.76%)}}} ||<:> '''47,528 [br] (37.34%)''' ||<:> {{{#4169E1 52.02%}}} ||<:> {{{#696969 3.07%}}} ||<:> 12.65% ||<:> '''15.71%''' ||<:> 3.20% ||<:> '''8.45%''' || || '''여수시 갑''' ||<:> {{{#FFFFFF 48,410 [br] (64.44%)}}} ||<:> -[* 지역구 2위 : [[무소속]] [[이용주(정치인)|이용주]] 23,128 (30.78%)] ||<:> {{{#006CB7 '''66.15%'''}}} ||<:> 4.28% ||<:> 4.49% ||<:> 7.44% ||<:> 4.57% ||<:> 6.60% || || '''여수시 을''' ||<:> {{{#FFFFFF 55,273 [br] (71.58%)}}}[* 민주당계 무소속을 합하면 91.40%] ||<:> - ||<:> {{{#006CB7 62.90%}}} ||<:> 3.91% ||<:> 4.57% ||<:> 9.58% ||<:> 4.59% ||<:> 7.86% || || '''순천·광양·곡성·구례 갑''' ||<:> {{{#FFFFFF 78,480 [br] (58.56%)}}}[* 민주당계 무소속을 합하면 90.26%] ||<:> 1,058 [br] (0.78%) ||<:> {{{#006CB7 62.60%}}} ||<:> 4.51% ||<:> {{{#696969 3.53%}}} ||<:> 8.52% ||<:> '''4.84%''' ||<:> 7.75% || || '''순천·광양·곡성·구례 을''' ||<:> {{{#FFFFFF 92,442 [br] (64.75%)}}} ||<:> -[* 지역구 2위 : [[무소속]] [[정인화]] 34,384 (24.08%)] ||<:> {{{#006CB7 60.34%}}} ||<:> '''6.03%''' ||<:> 3.53% ||<:> 9.91% ||<:> 4.41% ||<:> 7.43% || || '''나주·화순''' ||<:> {{{#FFFFFF 75,586 [br] (78.80%)}}} ||<:> -[* 지역구 2위 : [[민중당(2017년)|민중당]] [[안주용]] 18,751 (19.54%)] ||<:> {{{#006CB7 61.84%}}} ||<:> 3.59% ||<:> 4.33% ||<:> 8.95% ||<:> 4.16% ||<:> 7.24% || || '''담양·함평·영광·장성''' ||<:> {{{#FFFFFF '''86,315 [br] (81.95%)'''}}}[* 민주당계 무소속을 합하면 93.63%] ||<:> 4,831 [br] (4.58%) ||<:> {{{#006CB7 62.53%}}} ||<:> 3.93% ||<:> 5.89% ||<:> 8.45% ||<:> 3.54% ||<:> 6.41% || || '''고흥·보성·장흥·강진''' ||<:> {{{#FFFFFF 72,772 [br] (62.81%)}}} ||<:> 39,749 [br] (34.31%) ||<:> {{{#006CB7 58.97%}}} ||<:> 4.15% ||<:> '''13.90%''' ||<:> {{{#696969 6.53%}}} ||<:> 3.08% ||<:> {{{#696969 5.07%}}} || || '''해남·완도·진도''' ||<:> {{{#FFFFFF 59,613 [br] (67.50%)}}} ||<:> 27,290 [br] (30.90%) ||<:> {{{#006CB7 61.10%}}} ||<:> 3.63% ||<:> 12.28% ||<:> 7.17% ||<:> {{{#696969 2.79%}}} ||<:> 5.35% || || '''영암·무안·신안''' ||<:> {{{#FFFFFF 74,661 [br] (76.96%)}}} ||<:> 18,835 [br] (19.41%) ||<:> {{{#006CB7 59.68%}}} ||<:> 3.85% ||<:> 8.98% ||<:> 11.30% ||<:> 3.20% ||<:> 6.45% || ==== 이전 총선과의 비교 ==== ||<:><-10> {{{#0D3692 '''2016년 20대 총선 / 2020년 21대 총선(비례) 득표율 비교'''}}} || ||<:><-4> {{{#FFFFFF '''범진보''' (더불어민주당, 정의당, 민생당, 열린민주당, 민중당)}}} ||<:><-1> {{{#FFFFFF '''중도''' (국민의당)}}} ||<:><-4> {{{#FFFFFF '''범보수''' (새누리당, 미래통합당, 국민의당)}}} || || '''선거''' ||<:> '''20대 총선'''[* 더불어민주당+정의당] ||<:> '''21대 총선'''[* 더불어시민당+민생당+정의당+열린민주당] ||<:> '''증감률''' ||<:> '''20대 총선'''[* 국민의당] ||<:> '''20대 총선'''[* 새누리당] ||<:> '''21대 총선'''[* 미래한국당+국민의당] ||<:> '''증감률''' ||<:> '''격차''' || || '''득표수 [br] (득표율)''' ||<:> '''345,751 [br] (35.97%)''' ||<:> {{{#FFFFFF '''867,501 [br] (84.28%)'''}}} ||<:> '''+ 521,750 [br] {△48.31}'''||<:> {{{#FFFFFF '''458,772 [br] (47.73%)'''}}} ||<:> '''54,369 [br] (5.65%)''' ||<:> '''82,984 [br] (8.06%)''' ||<:> '''+ 28,615 [br] {△2.41}''' ||<:> '''+ 76.23%''' || || '''목포시''' ||<:> 32.13% ||<:> {{{#004EA2 '''88.84%'''}}} ||<:> △56.71 ||<:> {{{#046240 52.80%}}} ||<:> {{{#696969 4.71%}}} ||<:> 6.27% ||<:> △1.55 ||<:> '''+ 82.57''' || || '''여수시''' ||<:> 36.88% ||<:> {{{#004EA2 84.42%}}} ||<:> △47.54 ||<:> {{{#046240 48.46%}}} ||<:> {{{#696969 4.48%}}} ||<:> 8.94% ||<:> △4.45 ||<:> + 75.48 || || '''순천시''' ||<:> 40.82% ||<:> {{{#004EA2 82.61%}}} ||<:> △41.79 ||<:> {{{#046240 41.78%}}} ||<:> {{{#696969 9.02%}}} ||<:> 9.32% ||<:> △0.29 ||<:> + 73.29 || || '''나주시''' ||<:> 37.71% ||<:> {{{#004EA2 82.25%}}} ||<:> △44.54 ||<:> {{{#046240 48.74%}}} ||<:> {{{#696969 4.44%}}} ||<:> 8.19% ||<:> △3.75 ||<:> + 74.06 || || '''광양시''' ||<:> 39.19% ||<:> {{{#004EA2 80.37%}}} ||<:> {{{#696969 △41.18}}} ||<:> {{{#046240 43.43%}}} ||<:> {{{#696969 7.18%}}} ||<:> '''11.57%''' ||<:> '''△4.39''' ||<:> {{{#696969 + 68.80}}} || || '''담양군''' ||<:> 40.35% ||<:> {{{#004EA2 85.62%}}} ||<:> △45.27 ||<:> {{{#046240 47.53%}}} ||<:> {{{#696969 3.92%}}} ||<:> 7.10% ||<:> △3.18 ||<:> + 78.51 || || '''곡성군''' ||<:> 34.57% ||<:> {{{#004EA2 82.82%}}} ||<:> △48.25 ||<:> {{{#046240 49.40%}}} ||<:> {{{#696969 5.02%}}} ||<:> 7.88% ||<:> △2.86 ||<:> + 77.80 || || '''구례군''' ||<:> 36.51% ||<:> {{{#004EA2 80.95%}}} ||<:> △44.44 ||<:> {{{#046240 46.49%}}} ||<:> {{{#696969 5.31%}}} ||<:> 8.85% ||<:> △3.53 ||<:> + 72.11 || || '''고흥군''' ||<:> 40.85% ||<:> {{{#004EA2 86.71%}}} ||<:> △45.85 ||<:> {{{#046240 44.79%}}} ||<:> {{{#696969 4.60%}}} ||<:> 6.91% ||<:> △2.31 ||<:> + 79.80 || || '''보성군''' ||<:> 32.90% ||<:> {{{#004EA2 83.85%}}} ||<:> △50.95 ||<:> {{{#046240 48.80%}}} ||<:> {{{#696969 6.95%}}} ||<:> 7.78% ||<:> △0.82 ||<:> + 76.07 || || '''화순군''' ||<:> 35.92% ||<:> {{{#004EA2 82.58%}}} ||<:> △46.66 ||<:> {{{#046240 48.72%}}} ||<:> {{{#696969 3.79%}}} ||<:> 7.00% ||<:> △3.21 ||<:> + 75.58 || || '''장흥군''' ||<:> 28.12% ||<:> {{{#004EA2 81.18%}}} ||<:> △53.06 ||<:> {{{#046240 48.74%}}} ||<:> {{{#696969 4.27%}}} ||<:> 6.65% ||<:> △2.38 ||<:> + 74.53 || || '''강진군''' ||<:> 25.28% ||<:> {{{#004EA2 84.61%}}} ||<:> △59.33 ||<:> {{{#046240 56.90%}}} ||<:> {{{#696969 5.43%}}} ||<:> 7.85% ||<:> △2.42 ||<:> + 76.76 || || '''해남군''' ||<:> 25.03% ||<:> {{{#004EA2 85.12%}}} ||<:> '''△60.09''' ||<:> {{{#046240 '''59.56%'''}}} ||<:> {{{#696969 3.52%}}} ||<:> 6.46% ||<:> △2.95 ||<:> + 78.65 || || '''영암군''' ||<:> 32.13% ||<:> {{{#004EA2 85.36%}}} ||<:> △53.23 ||<:> {{{#046240 50.48%}}} ||<:> {{{#696969 6.24%}}} ||<:> 7.61% ||<:> △1.37 ||<:> + 77.75 || || '''무안군''' ||<:> 38.19% ||<:> {{{#004EA2 86.92%}}} ||<:> △48.73 ||<:> {{{#046240 41.11%}}} ||<:> {{{#696969 6.22%}}} ||<:> 7.06% ||<:> △0.84 ||<:> + 79.87 || || '''함평군''' ||<:> 36.10% ||<:> {{{#004EA2 83.73%}}} ||<:> △47.62 ||<:> {{{#046240 50.03%}}} ||<:> {{{#696969 3.28%}}} ||<:> 6.35% ||<:> △3.08 ||<:> + 77.37 || || '''영광군''' ||<:> 34.10% ||<:> {{{#4169E1 79.21%}}} ||<:> △45.11 ||<:> {{{#046240 47.92%}}} ||<:> {{{#696969 3.39%}}} ||<:> 7.59% ||<:> △4.20 ||<:> + 71.62 || || '''장성군''' ||<:> 35.28% ||<:> {{{#004EA2 85.03%}}} ||<:> △49.75 ||<:> {{{#046240 52.22%}}} ||<:> {{{#696969 5.07%}}} ||<:> 8.65% ||<:> △3.58 ||<:> + 76.38 || || '''완도군''' ||<:> '''41.64%''' ||<:> {{{#004EA2 87.40%}}} ||<:> △45.76 ||<:> {{{#046240 45.46%}}} ||<:> {{{#696969 3.42%}}} ||<:> {{{#696969 6.10%}}} ||<:> △2.68 ||<:> + 81.30 || || '''진도군''' ||<:> 32.16% ||<:> {{{#004EA2 85.19%}}} ||<:> △53.03 ||<:> {{{#046240 53.95%}}} ||<:> {{{#696969 3.68%}}} ||<:> 6.90% ||<:> △3.23 ||<:> + 78.29 || || '''신안군''' ||<:> 28.25% ||<:> {{{#004EA2 86.80%}}} ||<:> △58.55 ||<:> {{{#046240 43.76%}}} ||<:> {{{#696969 '''11.31%'''}}} ||<:> 6.37% ||<:> {{{#696969 ▼4.94}}} ||<:> + 80.43 || ||<:><-5> '''20대 총선''' ||<:><-4> '''21대 총선''' || ||<:> 정당 ||<:> {{{#FFFFFF '''범진보'''[* 더불어민주당+정의당]}}} ||<:> {{{#FFFFFF '''중도'''[* 국민의당]}}} ||<:> {{{#FFFFFF '''범보수'''[* 새누리당]}}} ||<:> '''격차''' ||<:> 정당 ||<:> {{{#FFFFFF '''범진보'''[* 더불어시민당+민생당+정의당+열린민주당]}}} ||<:> {{{#FFFFFF '''범보수'''[* 미래한국당+국민의당]}}} ||<:> '''격차''' || || '''광주권역'''[* 나주시, 담양군, 화순군, 함평군, 영광군, 장성군. (광주광역시 생활권 지역)] ||<:> 36.71% ||<:> {{{#046240 49.02%}}} ||<:> 5.58% ||<:> - 12.30 || 광주권 ||<:> {{{#004EA2 82.85%}}} ||<:> 7.61% ||<:> + 75.24 || || '''서부권역'''[* 목포시, 무안군, 영암군, 해남군, 강진군, 장흥군, 완도군, 진도군, 신안군. (목포를 중심으로 한 전남 서부지역)] ||<:> 31.93% ||<:> {{{#046240 50.62%}}} ||<:> 5.23% ||<:> - 18.70 || 서부권 ||<:> {{{#004EA2 86.70%}}} ||<:> 6.64% ||<:> + 80.05 || || '''동부권역'''[* 여수시, 순천시, 광양시, 곡성군, 구례군, 고흥군, 보성군. (순천을 중심으로 한 전남 동부지역)] ||<:> 38.57% ||<:> {{{#046240 45.13%}}} ||<:> 6.59% ||<:> - 6.56 || 동부권 ||<:> {{{#004EA2 83.13%}}} ||<:> 9.25% ||<:> + 73.87 || === 지선 === ||<:><-10> {{{#FFFFFF '''전라남도 개표 결과 (자치단체장)'''}}} || ||<:><-3> {{{#FFFFFF '''전라남도지사'''}}} ||<:><-4> {{{#FFFFFF '''시장 · 군수'''}}} ||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fff '''국민의힘'''}}}]]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fff '''국민의힘'''}}}]] || [[무소속|{{{#fff '''무소속'''}}}]][* 2명 이상 출마시 각 선거구의 1위 후보만, 5% 이상 기록한 후보만 수록함. 총득표 수에는 전부 포함됨] || || '''후보''' ||<:> [[김영록|{{{#FFFFFF '''김영록'''}}}]] ||<:> [[이정현(정치인)|{{{#FFFFFF 이정현}}}]] || '''의석수 ''' ||<:> {{{#FFFFFF '''15석'''}}} ||<:> 0석 ||<:> 7석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672,433 [br] (75.74%)'''}}} ||<:> '''167,020 [br] (18.81%)''' || '''득표수[br](득표율)''' ||<:> {{{#004EA2 '''427,544 [br] (50.99%)'''}}} ||<:> '''12,183 [br] (1.45%)''' ||<:> '''390,893 [br] (46.62%)''' || || '''목포시''' ||<:> {{{#FFFFFF 76,408 [br] (81.33%)}}} ||<:> 13,045 [br] (13.88%) ||<:> '''목포시''' ||<:> 35,554 [br] (37.67%) ||<:> -[*A 무공천] ||<:> {{{#FFFFFF 54.161 [br] (57.38%)}}} || || '''여수시''' ||<:> {{{#FFFFFF 85,684 [br] (80.24%)}}} ||<:> 16,912 [br] (15.83%) ||<:> '''여수시''' ||<:> {{{#FFFFFF 76,504 [br] (72.21%)}}} ||<:> 6,278 [br] (5.92%) ||<:> 19,876 [br] (18.76%) || || '''순천시''' ||<:> {{{#FFFFFF 79,776 [br] (63.65%)}}} ||<:> 40,882 [br] (31.98%) ||<:> '''순천시''' ||<:> 52,478 [br] (41.90%) ||<:> -[*A ] ||<:> {{{#FFFFFF 69,855 [br] (55.77%)}}} || || '''나주시''' ||<:> {{{#FFFFFF 39,317 [br] (77.18%)}}} ||<:> 8,638 [br] (16.95%) ||<:> '''나주시''' ||<:> {{{#FFFFFF 30,391 [br] (58.81%)}}} ||<:> 2,556 [br] (4.94%) ||<:> 17,214 [br] (33.31%) || || '''광양시''' ||<:> {{{#FFFFFF 47,784 [br] (71.16%)}}} ||<:> 15,322 [br] (22.77%) ||<:> '''광양시''' ||<:> 27,670 [br] (40.62%) ||<:> -[*A ] ||<:> {{{#FFFFFF 37,005 [br] (54.59%)}}} || || '''담양군''' ||<:> {{{#FFFFFF 19,641 [br] (76.68%)}}} ||<:> 4,358 [br] (17.01%) ||<:> '''담양군''' ||<:> {{{#FFFFFF 14,653 [br] (56.73%)}}} ||<:> -[*A ] ||<:> 11,172 [br] (43.26%) || || '''장성군''' ||<:> {{{#FFFFFF 19,721 [br] (78.58%)}}} ||<:> 3,946 [br] (15.72%) ||<:> '''장성군''' ||<:> {{{#FFFFFF 13,967 [br] (54.03%)}}} ||<:>-[*A ] ||<:> 11,881 [br] (45.96%) || || '''곡성군''' ||<:> {{{#FFFFFF 9,549 [br] (54.15%)}}} ||<:> '''7,225 [br] (40.97%)''' ||<:> '''곡성군''' ||<:> {{{#FFFFFF 9,580 [br] (53.59%)}}} ||<:> -[*A ]||<:> 8,295 [br] (46.40%) || || '''구례군''' ||<:> {{{#FFFFFF 11,783 [br] (71.23%)}}} ||<:> 3,662 [br] (22.14%) ||<:> '''구례군''' ||<:> {{{#FFFFFF 9,184 [br] (54.72%)}}} ||<:> -[*A ] ||<:> 5,439 [br] (32.40%) || || '''고흥군''' ||<:> {{{#FFFFFF 32,273 [br] (77.78%)}}} ||<:> 6,793 [br] (16.37%) ||<:> '''고흥군''' ||<:> {{{#FFFFFF 22,529 [br] (52.97%) }}} ||<:> -[*A ] ||<:> 19,997 [br] (47.02%) || || '''보성군''' ||<:> {{{#FFFFFF 16,344 [br] (72.72%)}}} ||<:> 4,492 [br] (19.98%) ||<:> '''보성군''' ||<:> {{{#FFFFFF 무투표 당선}}} ||<:> -[*A ] ||<:> - || || '''화순군''' ||<:> {{{#FFFFFF 23,759 [br] (76.55%)}}} ||<:> 4,912 [br] (15.82%) ||<:> '''화순군''' ||<:> {{{#FFFFFF 23,564 [br] (75.46%)}}} ||<:> -[*A ] ||<:> 7,663 [br] (24.53%) || || '''장흥군''' ||<:> {{{#FFFFFF 17,111 [br] (77.32%)}}} ||<:> 3,220 [br] (14.55%) ||<:> '''장흥군''' ||<:> {{{#FFFFFF 10,162 [br] (45.15%)}}} ||<:> -[*A ] ||<:> 9,639 [br] (42.82%) || || '''강진군''' ||<:> {{{#FFFFFF 15,844 [br] (76.02%)}}} ||<:> 3,412 [br] (16.37%) ||<:> '''강진군''' ||<:> -[*A ] ||<:> -[*A ] ||<:> {{{#FFFFFF 11,659 [br] (54.87%)}}} || || '''완도군''' ||<:> {{{#FFFFFF '''24,396 [br] (85.66%)'''}}} ||<:> {{{#696969 2,762 [br] (9.69%)}}} ||<:> '''완도군''' ||<:> {{{#FFFFFF 17,734 [br] (62.36%)}}} ||<:> -[*A ] ||<:> 10,702 [br] (37.63%) || || '''해남군''' ||<:> {{{#FFFFFF 27,283 [br] (80.75%)}}} ||<:> 4,180 [br] (12.37%) ||<:> '''해남군''' ||<:> {{{#FFFFFF 무투표 당선}}} ||<:> -[*A ] ||<:> - || || '''진도군''' ||<:> {{{#FFFFFF 15,677 [br] (81.05%)}}} ||<:> 2,411 [br] (12.46%) ||<:> '''진도군''' ||<:> 8,237 [br] (41.82%) ||<:> -[*A ] ||<:> {{{#FFFFFF 11,459 [br] (58.17%)}}} || || '''영암군''' ||<:> {{{#FFFFFF 21,769 [br] (79.54%)}}} ||<:> 4,174 [br] (15.25%) ||<:> '''영암군''' ||<:> {{{#FFFFFF 13,689 [br] (48.96%)}}} ||<:> 1,178 [br] (4.21%) ||<:> 5,835 [br] (20.87%) || || '''무안군''' ||<:> {{{#FFFFFF 31,544 [br] (79.69%)}}} ||<:> 6,347 [br] (16.03%) ||<:> '''무안군''' ||<:> 15,112 [br] (37.52%) ||<:> -[*A ] ||<:> {{{#FFFFFF 18,937 [br] (47.02%)}}} || || '''영광군''' ||<:> {{{#FFFFFF 22,937 [br] (76.58%)}}} ||<:> 4,693 [br] (15.66%) ||<:> '''영광군''' ||<:> 15,022 [br] (48.87%) ||<:> -[*A ] ||<:> {{{#FFFFFF 15,715 [br] (51.12%)}}} || || '''함평군''' ||<:> {{{#FFFFFF 13,807 [br] (79.57%)}}} ||<:> 2,801 [br] (16.14%) ||<:> '''함평군''' ||<:> {{{#FFFFFF '''13,965 [br] (80.15%)'''}}} ||<:> '''2,171 [br] (12.46%)''' ||<:> 1,287 [br] (7.38%) || || '''신안군''' ||<:> {{{#FFFFFF 19,926 [br] (80.31%)}}} ||<:> 3,633 [br] (14.64%) ||<:> '''신안군''' ||<:> {{{#FFFFFF 17,349 [br] (69.18%)}}} ||<:> -[*A ] ||<:> 7,726 [br] (30.81%) || ||<:><-12> {{{#FFFFFF '''전라남도 개표 결과 (광역의원)'''}}} || ||<:><-6> {{{#FFFFFF '''지역구'''}}} ||<:><-6> {{{#FFFFFF '''비례대표'''}}} ||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fff '''국민의힘'''}}}]] ||<:> [[정의당|{{{#000 '''정의당'''}}}]] ||<:> [[진보당(2020년)|{{{#fff '''진보당'''}}}]] ||<:> [[무소속|{{{#fff '''무소속'''}}}]]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fff '''국민의힘'''}}}]] ||<:> [[정의당|{{{#000 '''정의당'''}}}]] ||<:> [[기본소득당|{{{#19233c '''기본소득당'''}}}]] ||<:> [[진보당(2020년)|{{{#fff '''진보당'''}}}]] || || '''의석수''' ||<:> {{{#FFFFFF '''56석'''}}} ||<:> {{{#FFFFFF 1석}}} ||<:> {{{#000000 1석}}} ||<:> {{{#FFFFFF 2석}}} ||<:> {{{#FFFFFF 1석}}}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652,738 [br] (73.71%)'''}}} ||<:> '''104,822 [br] (11.83%)''' ||<:> '''65,634 [br] (7.41%)''' ||<:> '''13,755 [br] (1.55%)''' ||<:> '''48,585 [br] (5.48%)''' || || '''목포시''' ||<:> {{{#004EA2 5 }}} ||<:> 0 ||<:> 0 ||<:> 0 ||<:> 0 || '''목포시''' ||<:> {{{#004EA2 70.62%}}} ||<:> 11.05% ||<:> 13.67% ||<:> 1.58% ||<:> 3.07% || || '''여수시''' ||<:> {{{#004EA2 6 }}} ||<:> 0 ||<:> 0 ||<:> 0 ||<:> 0 || '''여수시''' ||<:> {{{#004EA2 78.28%}}} ||<:> 11.49% ||<:> 5.04% ||<:> 0.78% ||<:> 4.38% || || '''순천시''' ||<:> {{{#004EA2 '''8''' }}} ||<:> 0 ||<:> 0 ||<:> 0 ||<:> 0 || '''순천시''' ||<:> {{{#004EA2 72.77%}}} ||<:> 13.07% ||<:> 6.78% ||<:> 1.02% ||<:> 6.34% || || '''나주시''' ||<:> {{{#004EA2 3 }}} ||<:> 0 ||<:> 0 ||<:> 0 ||<:> 0 || '''나주시''' ||<:> {{{#4169E1 69.75%}}} ||<:> 12.27% ||<:> 7.30% ||<:> 1.18% ||<:> 9.47% || || '''광양시''' ||<:> {{{#004EA2 4 }}} ||<:> 0 ||<:> 0 ||<:> 0 ||<:> 0 || '''광양시''' ||<:> {{{#004EA2 71.49%}}} ||<:> '''15.75%''' ||<:> 5.70% ||<:> {{{#808080 0.73%}}} ||<:> 6.30% || || '''담양군''' ||<:> {{{#004EA2 2 }}} ||<:> 0 ||<:> 0 ||<:> 0 ||<:> 0 || '''담양군''' ||<:> {{{#004EA2 73.88%}}} ||<:> 10.94% ||<:> 8.24% ||<:> 2.12% ||<:> 4.80% || || '''장성군''' ||<:> {{{#004EA2 2 }}} ||<:> 0 ||<:> 0 ||<:> 0 ||<:> 0 || '''장성군''' ||<:> {{{#004EA2 74.91%}}} ||<:> 11.91% ||<:> 7.59% ||<:> 2.25% ||<:> 3.32% || || '''곡성군''' ||<:> {{{#004EA2 1 }}} ||<:> 0 ||<:> 0 ||<:> 0 ||<:> 0 || '''곡성군''' ||<:> {{{#004EA2 72.76%}}} ||<:> 12.38% ||<:> 8.80% ||<:> 2.50% ||<:> 3.53% || || '''구례군''' ||<:> {{{#004EA2 1 }}} ||<:> 0 ||<:> 0 ||<:> 0 ||<:> 0 || '''구례군''' ||<:> {{{#004EA2 71.35%}}} ||<:> 12.54% ||<:> 6.10% ||<:> 1.59% ||<:> 8.40% || || '''고흥군''' ||<:> {{{#004EA2 2 }}} ||<:> 0 ||<:> 0 ||<:> 0 ||<:> 0 || '''고흥군''' ||<:> {{{#004EA2 77.43%}}} ||<:> 11.53% ||<:> 5.31% ||<:> 2.89% ||<:> 2.81% || || '''보성군''' ||<:> {{{#004EA2 2 }}} ||<:> 0 ||<:> 0 ||<:> 0 ||<:> 0 || '''보성군''' ||<:> {{{#004EA2 72.98%}}} ||<:> 11.84% ||<:> 5.92% ||<:> 2.27% ||<:> 6.96% || || '''화순군''' ||<:> {{{#004EA2 2 }}} ||<:> 0 ||<:> 0 ||<:> 0 ||<:> 0 || '''화순군''' ||<:> {{{#004EA2 72.83%}}} ||<:> 9.64% ||<:> 6.29% ||<:> 1.60% ||<:> 9.61% || || '''장흥군''' ||<:> {{{#004EA2 1 }}} ||<:> 0 ||<:> 0 ||<:> {{{#D6001C '''1''' }}} ||<:> 0 || '''장흥군''' ||<:> {{{#004EA2 73.88%}}} ||<:> 10.02% ||<:> 5.36% ||<:> 2.39% ||<:> 8.33% || || '''강진군''' ||<:> {{{#004EA2 2 }}} ||<:> 0 ||<:> 0 ||<:> 0 ||<:> 0 || '''강진군''' ||<:> {{{#004EA2 70.77%}}} ||<:> 13.12% ||<:> 6.33% ||<:> 1.97% ||<:> 7.80% || || '''완도군''' ||<:> {{{#004EA2 2 }}} ||<:> 0 ||<:> 0 ||<:> 0 ||<:> 0 || '''완도군''' ||<:> {{{#004EA2 '''79.84%'''}}} ||<:> {{{#808080 9.12%}}} ||<:> {{{#808080 5.00%}}} ||<:> 2.08% ||<:> 3.95% || || '''해남군''' ||<:> 0 ||<:> 0 ||<:> 0 ||<:> 0 ||<:> {{{#808080 '''1''' }}} || '''해남군''' ||<:> {{{#004EA2 72.61%}}} ||<:> 10.04% ||<:> 6.24% ||<:> 1.73% ||<:> 9.36% || || '''진도군''' ||<:> {{{#3EA437 '''1'''}}} ||<:> 0 ||<:> 0 ||<:> 0 ||<:> 0 || '''진도군''' ||<:> {{{#004EA2 75.47%}}} ||<:> 11.27% ||<:> 6.63% ||<:> 3.09% ||<:> 3.52% || || '''영암군''' ||<:> 1 ||<:> 0 ||<:> 0 ||<:> '''1''' ||<:> 0 || '''영암군''' ||<:> {{{#004EA2 72.50%}}} ||<:> 11.07% ||<:> '''11.34%''' ||<:> 1.52% ||<:> 3.55% || || '''무안군''' ||<:> {{{#004EA2 2 }}} ||<:> 0 ||<:> 0 ||<:> 0 ||<:> 0 || '''무안군''' ||<:> {{{#004EA2 73.50%}}} ||<:> 11.39% ||<:> 10.04% ||<:> 1.28% ||<:> 3.77% || || '''영광군''' ||<:> {{{#004EA2 1 }}} ||<:> 0 ||<:> 0 ||<:> {{{#D6001C '''1''' }}} ||<:> 0 || '''영광군''' ||<:> {{{#004EA2 73.10%}}} ||<:> 11.42% ||<:> 6.31% ||<:> 2.57% ||<:> 6.58% || || '''함평군''' ||<:> {{{#004EA2 1 }}} ||<:> 0 ||<:> 0 ||<:> 0 ||<:> 0 || '''함평군''' ||<:> {{{#004EA2 76.37%}}} ||<:> 11.17% ||<:> 7.28% ||<:> 1.33% ||<:> 3.82% || || '''신안군''' ||<:> {{{#004EA2 2 }}} ||<:> 0 ||<:> 0 ||<:> 0 ||<:> 0 || '''신안군''' ||<:> {{{#004EA2 77.13%}}} ||<:> 10.67% ||<:> 7.51% ||<:> 1.65% ||<:> {{{#808080 3.01%}}} || || '''지역구 합''' ||<:> {{{#004EA2 '''52석'''}}} ||<:> 0석 ||<:> 0석 ||<:> '''2석''' ||<:> '''1석''' || '''비례표 ''' ||<:> {{{#004EA2 '''4석'''}}} ||<:> '''1석''' ||<:> '''1석''' ||<:> 0석 ||<:> 0석 || ||<:><-10> {{{#FFFFFF '''전라남도 개표 결과 (기초의원 · 교육감)'''}}} || ||<:><-6> {{{#FFFFFF '''시 · 군의회의원'''}}} ||<:><-4> {{{#FFFFFF '''교육감'''}}} ||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fff '''국민의힘'''}}}]] ||<:> [[정의당|{{{#000 '''정의당'''}}}]] ||<:> [[진보당(2020년)|{{{#fff '''진보당'''}}}]] ||<:> [[무소속|{{{#ffffff '''무소속'''}}}]] ||<:> '''후보''' ||<:> [[김대중(교육감)|{{{#FFFFFF '''김대중'''}}}]] ||<:> {{{#FFFFFF '''김동환'''}}} ||<:> [[장석웅|{{{#FFFFFF '''장석웅'''}}}]] || || '''의석수''' ||<:> {{{#FFFFFF '''178석'''}}} ||<:> {{{#FFFFFF 1석}}} ||<:> {{{#000000 3석}}} ||<:> {{{#FFFFFF 4석}}} ||<:> {{{#FFFFFF 32석}}}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393,462 [br] (45.08%)'''}}} ||<:> '''155,884 [br] (17.86%)''' ||<:> '''323,364 [br] (37.05%)''' || || '''목포시''' ||<:> {{{#FFFFFF '''17'''}}} ||<:> 0 ||<:> '''3''' ||<:> 0 ||<:> '''2''' || '''목포시''' ||<:> {{{#004EA2 52;93%}}} ||<:> 13.93% ||<:> 33.12% || || '''여수시''' ||<:> {{{#FFFFFF '''22'''}}} ||<:> 0 ||<:> 0 ||<:> 0 ||<:> '''4''' || '''여수시''' ||<:> {{{#004EA2 40.36%}}} ||<:> 19.33% ||<:> 40.30% || || '''순천시''' ||<:> {{{#FFFFFF '''21'''}}} ||<:> '''1''' ||<:> 0 ||<:> '''2''' ||<:> '''2''' || '''순천시''' ||<:> {{{#004EA2 39.55%}}} ||<:> 21.81% ||<:> 38.62% || || '''나주시''' ||<:> {{{#FFFFFF '''13'''}}} ||<:> 0 ||<:> 0 ||<:> '''1'''||<:> '''2''' || '''나주시''' ||<:> {{{#004EA2 40.47%}}} ||<:> 22.30% ||<:> 37.22% || || '''광양시''' ||<:> {{{#FFFFFF '''11'''}}} ||<:> 0 ||<:> 0 ||<:> '''1''' ||<:> '''2''' || '''광양시''' ||<:> {{{#004EA2 43.47%}}} ||<:> 19.98% ||<:> 36.53% || || '''담양군''' ||<:> {{{#FFFFFF '''5'''}}} ||<:> 0 ||<:> 0 ||<:> 0 ||<:> '''4''' || '''담양군''' ||<:> {{{#004EA2 45.73%}}} ||<:> 20.64% ||<:> 33.61% || || '''장성군''' ||<:> {{{#FFFFFF '''6'''}}} ||<:> 0 ||<:> 0 ||<:> 0 ||<:> '''2''' || '''장성군''' ||<:> {{{#004EA2 45.92%}}} ||<:> 18.97% ||<:> 35.10% || || '''곡성군''' ||<:> {{{#FFFFFF '''5'''}}} ||<:> 0 ||<:> 0 ||<:> '''2''' ||<:> {{{#FFFFFF '''3'''}}} || '''곡성군''' ||<:> {{{#004EA2 '''60.79%'''}}} ||<:> 12.21% ||<:> 26.99% || || '''구례군''' ||<:> {{{#FFFFFF '''4'''}}} ||<:> 0 ||<:> 0 ||<:> 0 ||<:> '''3''' || '''구례군''' ||<:> {{{#004EA2 44.29%}}} ||<:> 17.50% ||<:> 38.19% || || '''고흥군''' ||<:> {{{#FFFFFF '''10'''}}} ||<:> 0 ||<:> 0 ||<:> 0 ||<:> '''2''' || '''고흥군''' ||<:> {{{#004EA2 47.51%}}} ||<:> 14.88% ||<:> 37.59% || || '''보성군''' ||<:> {{{#FFFFFF '''6'''}}} ||<:> 0 ||<:> 0 ||<:> 0 ||<:> '''2''' || '''보성군''' ||<:> {{{#004EA2 41.04%}}} ||<:> 21.26% ||<:> 37.69% || || '''화순군''' ||<:> {{{#FFFFFF '''7'''}}} ||<:> 0 ||<:> 0 ||<:> '''1''' ||<:> '''2''' || '''화순군''' ||<:> {{{#004EA2 44.83%}}} ||<:> 18.68% ||<:> 36.48% || || '''장흥군''' ||<:> {{{#FFFFFF '''7'''}}} ||<:> 0 ||<:> 0 ||<:> 0 ||<:> 0 || '''장흥군''' ||<:> {{{#004EA2 43.36%}}} ||<:> 15.48% ||<:> 41.14% || || '''강진군''' ||<:> {{{#FFFFFF '''7'''}}} ||<:> 0 ||<:> 0 ||<:> 0 ||<:> '''1''' || '''강진군''' ||<:> {{{#004EA2 44.85%}}} ||<:> 16.17% ||<:> 38.96% || || '''완도군''' ||<:> {{{#FFFFFF '''5'''}}} ||<:> 0 ||<:> 0 ||<:> 0 ||<:> '''4''' || '''완도군''' ||<:> {{{#004EA2 47.88%}}} ||<:> 14.37% ||<:> 37.73% || || '''해남군''' ||<:> {{{#FFFFFF '''9'''}}} ||<:> 0 ||<:> 0 ||<:> 0 ||<:> '''2''' || '''해남군''' ||<:> {{{#004EA2 43.78%}}} ||<:> 16.26% ||<:> 39.94% || || '''진도군''' ||<:> {{{#FFFFFF '''6'''}}} ||<:> 0 ||<:> 0 ||<:> 0 ||<:> '''1''' || '''진도군''' ||<:> {{{#004EA2 46.24%}}} ||<:> 14.97% ||<:> 38.77% || || '''영암군''' ||<:> {{{#FFFFFF '''6'''}}} ||<:> 0 ||<:> 0 ||<:> 0 ||<:> '''2''' || '''완도군''' ||<:> {{{#004EA2 45.63%}}} ||<:> 16.21% ||<:> 38.15% || || '''무안군''' ||<:> {{{#FFFFFF '''7'''}}} ||<:> 0 ||<:> 0 ||<:> 0 ||<:> '''2''' || '''무안군''' ||<:> {{{#004EA2 49.73%}}} ||<:> 15.00% ||<:> 35.26% || || '''영광군''' ||<:> {{{#FFFFFF '''6'''}}} ||<:> 0 ||<:> 0 ||<:> 0 ||<:> '''2''' || '''영광군''' ||<:> {{{#004EA2 47.58%}}} ||<:> 16.83% ||<:> 35.58% || || '''함평군''' ||<:> {{{#FFFFFF '''6'''}}} ||<:> 0 ||<:> 0 ||<:> 0 ||<:> '''1''' || '''함평군''' ||<:> {{{#004EA2 45.34%}}} ||<:> 17.38% ||<:> 37.26% || || '''신안군''' ||<:> {{{#FFFFFF '''8'''}}} ||<:> 0 ||<:> 0 ||<:> 0 ||<:> '''1''' || '''신안군''' ||<:> {{{#004EA2 53.18%}}} ||<:> 12.60% ||<:> 34.21% || || '''지역구 합''' ||<:> {{{#004EA2 '''150석'''}}} ||<:> '''23석''' ||<:> '''2석''' ||<:> '''4석''' ||<:> '''32석''' || || '''비례표''' ||<:> {{{#004EA2 '''30석'''}}} ||<:> 1석 ||<:> 1석 ||<:> 0 ||<:> - || == 설명 == ||<-8> '''전라남도지사''' || || 1기(1995~1998) || [include(틀:민주당(1991년))] [[허경만|{{{#FFFFFF 허경만}}}]] {{{#FFFFFF (초선)}}} || || 2기(1998~2002)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허경만|{{{#FFFFFF 허경만}}}]] {{{#FFFFFF (재선)}}} || ||<|2> 3기(2002~2006)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박태영|{{{#FFFFFF 박태영}}}]] {{{#FFFFFF (초선)}}}[* 2004.4.29. 수사 중 자살.]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박준영(1946)|{{{#FFFFFF 박준영}}}]] {{{#FFFFFF (초선)}}}[* 2004.6.5. 재보궐선거.] || || 4기(2006~2010) || [include(틀:민주당(2005년))] [[박준영(1946)|{{{#FFFFFF 박준영}}}]] {{{#FFFFFF (재선)}}} || || 5기(2010~2014) || [include(틀:민주당(2008년))] [[박준영(1946)|{{{#FFFFFF 박준영}}}]] {{{#FFFFFF (3선)}}} || || 6기(2014~2018)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이낙연|{{{#FFFFFF 이낙연}}}]] {{{#FFFFFF (초선)}}}[* 2017.5.12. 도지사직 사퇴 (국무총리 지명). 잔여 임기 1년 미만으로 재보궐선거 미실시.] || || 7기(2018~2022)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김영록|{{{#FFFFFF 김영록}}}]] {{{#FFFFFF (초선)}}} || || 8기(2022~2026)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김영록|{{{#FFFFFF 김영록}}}]] {{{#FFFFFF (재선)}}} || 현재 [[광주광역시]], [[전라북도]]와 함께 전국에서 민주당계 성향이 가장 강한 지역이지만, 국회의원 선거는 1980년대 중반에는 다른 결과를 보여줬다. 당시에는 2위까지 당선되는 중선거구제를 시행하고 있었음에도 '''[[민주정의당]]'''이 일부 선거구를 제외하고는 모두 득표율 1위를 달성했을 정도였고 심지어 1985년 치러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광주광역시|광주]](광주가 전남에서 독립한 것은 1986년) 빼고는 모두 득표 수 1위로 당선되었다. 그나마 1위를 못한 광주도 모두 2위로 당선되었다.[* 다만 득표율은 20~40%대 선에 머물렀다. 가령 1985년 총선 당시 금성시-광산군-나주군 선거구에서 민주정의당 나석호 후보는 27.16%를 득표해 1위로 당선되었다.] 다만 지역 유지 등을 통해 마을 잔치와 돈 봉투, 생필품 등을 주고 여당 후보에 대한 미담을 곁들여가면서 기호 몇 번을 찍으라고 했다는 이야기가 노년층의 입을 통해서 아직도 꽤 돌고 있다. 물론 이러한 국가안전기획부의 개입을 감안해도 사뭇 다르다는 것은 사실이다. 게다가 현재는 보수 정당의 텃밭인 부산에서 당시 민주정의당이 3석밖에 못 얻었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민주정의당 후보가 낙선한 지역구는 [[신한민주당]], [[민주한국당]], [[한국국민당(1981년)|한국국민당]] 후보가 당선되었다.] 더욱 격세지감이 든다. 다만 당시 부산에서 민정당이 득세하지 못한 것은 당연한 것으로, 현재 부산이 보수 정당을 지지하는 것은 본래 지지하던 김영삼의 [[3당 합당]]한 뒤 통일민주당의 지지율이 고스란히 민자당으로 옮겨간 것 뿐이지, 딱히 원래 민정당 지지 여론이 강한 도시는 아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을 마지막으로 민주정의당-한나라당-새누리당은 2013년까지 단 한 명의 후보도 당선시키지 못하였다. 이는 [[5.18 민주화운동]]의 영향이 [[광주광역시]] 다음으로 크게 작용하는 데다 지역 차별에 대한 인식, 그리고 김대중 전 대통령의 영향력이 투표에 바로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1988년 총선 때만 해도 민정당 득표율이 지역구별로는 적으면 15%, 전후에서 많으면 40%까지 나왔지만 소선거구제로 인해 선거에서는 한 석도 건지지 못했고, 이후 새누리당 계열 정당의 득표율이 계속 줄어들어 2012년 총선에서는 지역구에선 새누리당 후보가 10% 이상 득표한 시·군은 함평군 하나 뿐이었다. 1987년 대선과 1992년 대선 그리고 1997년 대선에서는 모두 대선 후보로 출마했던 전남 출신의 [[김대중]]을 압도적으로 지지하였으며 2002년 대선에서는 [[경상남도]] 출신의 [[노무현]]을, 2007년 대선에서는 [[전라북도]] 출신의 [[정동영]]을, 2012년 대선에서는 [[부산광역시]] 출신의 [[문재인]]을 압도적으로 지지하였다. 이들은 모두 [[민주당/연혁|민주당 계열 정당]]의 후보로 출마했다. 물론 그렇다고 민주당만 지지하는 건 아니다. 전남의 정치 성향은 反새누리당이므로 새누리당을 이길 후보에게 지지율이 쏠리는 모습을 보여준다. 보통 민주당 계열 정당의 텃밭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하고 실제로 민주당에 대한 지지율이 높다. (물론 민주당만 지지하는 건 아니다. [[20대 총선]] 당시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의 예)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김대중은 전국 득표율에서 27.04%로 3위를 차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전라남도에서만큼은 1,459,870표 중 1,317,880표를 끌어모으며 90.28%를 넘는 득표율을 기록, [[제14대 대통령 선거|14대 대선]]에서는 1,270,023표 중 1,170,398표를 얻어내며 92.15%의 지지율을 기록, [[제15대 대통령 선거|15대 대선]]에서는 94.61%에 달하는 득표율을 기록하기도 했다. 이후 16대 대선에선 노무현 전 대통령이 93.38%의 득표율을 기록하기도 했고 17대 대선에선 78.65%대 득표율까지 떨어졌다가[* 애초에 17대는 야권 후보가 난립했던 데다가 참패가 예상되어 있었던 터이니 이렇게 떨어지는 게 이상할 게 없었다.] 18대 대선에선 89.28%를 기록하며 다시 올랐다. 그럼에도 18대 대선의 문재인 후보 득표율은 13대 대선의 김대중 후보 득표율보다도 낮다. 문재인 후보가 한나라당에 [[대연정 파동|대연정]]까지 제안한 노무현 정부에서 대통령 비서실장 출신이라는 점과 박근혜 후보가 무려 18년 간 집권한 박정희 정권의 [[먹고사니즘]] 향수를 강화시킨 측면이 있다. 전남은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이전의 선거에서 새누리당에게 조금씩 문호를 개방해주기도 했다.[* 이전부터 광양시는 전남에서 가장 높은 새누리당 정당 지지율을 보였고, [[201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에서는 순천·곡성 선거구에서 새누리당 후보의 국회의원, [[이정현(정치인)|이정현]]이 처음으로 당선되기도 했고 20대 국회에서도 당선되었다.] 그래도 새누리당에 대해서 마음을 쉽게 열지 않았던 것이 이유는 당연하겠지만 5.18에 대한 트라우마다. 이에 대해 인정과 반성을 하려고 하지 않는 세력과 주기적으로 폭도설, 북한 간첩설을 주장하는 당원으로 있는 것과 그런 세력들이 지지하는 정당이라는 점에서 새누리당은 절대 안 찍는다는 층이 많은 편. 전남까지 트라우마가 있는 이유는 지금도 그렇지만 그 당시는 더더욱 전남에서 공부 잘하던 사람들이 대부분 광주로 유학 가던 상황이었기 때문에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전체적인 정치 성향을 무턱대고 진보 좌파로 보기에도 애매한 편이다. 현재로서는 5.18 등 당시 군사/독재정권과 이를 부정하는 극우세력들에 대한 반감으로 인해 보수정당을 배척하고 민주당에 몰표를 주는 것이라고 보는 것이 맞다. 실제로 민주당계 정당 외의 정의당 등 진보 정당의 득표율은 그다지 높지 않다. 지지율 측면에서도 수도권이나 영남 지역(울산, 창원 등)의 지자체에 비해 더욱 낮은 경우가 많다. 그래도 전라남도는 [[5.18 민주화운동/학살|그 특수성]] 때문에 진보 정당에 대한 [[색깔론]] 또한 거의 통하지 않는 지역이기 때문에 차후 상황이 바뀌면 진보 정당이 지지율을 확보할 가능성이 있다. 19대 총선 당시 선거구는 다음과 같다. * 목포 * 여수 갑(옛 여수시 + 돌산읍, 남면, 삼산면) * 여수 을(옛 여천시 + 나머지 면) * 순천, 곡성 * 광양, 구례 * 나주, 화순 * 보성, 고흥 * 장흥, 강진, 영암 * 해남, 진도, 완도 * 무안, 신안 * 함평, 영광, 담양, 장성 [[나름]]대로 핵심 도시라는 순천이 2개시군 1선거구에, 함평, 영광, 담양, 장성 선거구가 4개군 1선거구를 이루는데, 이는 18대 총선 때는 담양, 곡성, 구례가 한 선거구였지만 모종의 이유로 공중 분해 되어서 각각 옆 선거구에 갖다 붙여서 그렇게 된 것이다. 2016년 4월 13일에 치러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선거구 기준 변경으로 인한 변동으로 격변을 겪었다. 변경된 선거구는 다음과 같다. * 목포시 * 여수시 갑 * 여수시 을 * 순천시 * 나주시 - 화순군 * 광양시 - 곡성군 - 구례군 * 담양군 - 함평군 - 영광군 - 장성군 * 고흥군 - 보성군 - 장흥군 - 강진군 * 해남군 - 완도군 - 진도군 * 영암군 - 무안군 - 신안군 선거구 변경을 통해서 19대 당시 순천시 - 곡성군 선거구가 순천시 단일 선거구와 광양시 - 곡성군 - 구례군으로 변경되었다. 여담으로 순천시 선거구는 20대 총선 기준에서 상한선에 가장 가까이 근접한 선거구가 되었다(...). 그리고 당초 장흥군 - 강진군 - 영암군 선거구와 고흥군 - 보성군 선거구가 통폐합되면서 경선이 매우 복잡해졌다. 더불어민주당에서 탈당하여 국민의당으로 이적한 황주홍 후보와 김승남 후보가 통합된 한 선거구를 두고 공천 갈등을 일으키고 있는 상황이다. 그와 함께 전라남도 지역에서는 더불어민주당 vs 국민의당 구도가 될 가능성이 높다. 여러 여론조사에 따르면 전라남도의 중도개혁성향과 장·노년층은 국민의당 지지 성향을, 진보개혁성향과 청·장년층은 더불어민주당 지지가 높은 것으로 나오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vs 국민의당 대결보다 더욱 화제가 될 지역은 전남 순천시 선거구로, 새누리당 [[이정현(정치인)|이정현]] 후보의 호남 재선 도전 vs 더불어민주당 [[노관규]] 후보의 호남 탈환 대결 구도이다. 이 선거구는 전남만이 아니라 정국 전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20대 총선 결과 [[광주광역시]]와 함께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돌풍의 핵심이 되었다. [[더불어민주당]]은 담양-함평-영광-장성 선거구를 제외한 모든 선거구에서 패배했고 새누리당 이정현 후보는 순천에서 재선에 성공했다. 그러나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판도가 다시 바뀌었다.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안철수와의 지지율 격차가 거의 더블 스코어 수준(문재인 59.87% vs 안철수 30.68%)으로 차이 나는 압승을 거뒀고 안철수는 전남의 모든 기초자치단체에서 2위에 머물렀다. 이정현 전 의원의 지역구인 순천에서도 오히려 전국 최고 수준의 문재인 지지율(67.8%)이 나왔다. 문재인, 안철수 외의 후보들은 모두 한 자릿수 수준에 그쳤다. 2018 지방선거에서는 [[김영록]] 전 장관이 큰 표차로 도지사에 당선되었다. 하지만 기초단체장에서는 민주평화당과 무소속이 적지 않게 승리했다. 2020년 21대 총선에서는 모든 선거구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압승을 거두었다. 2022년 20대 대선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에게 86.10%라는 이전보다 조금 떨어진 결집도를 보여줬다. 섬 지역까지 유세차를 싣고 들어가 유세를 펼칠 정도로 정성을 보인 국민의힘의 노력[* 그런데 정작 신안군의 윤석열 득표율은 한 자릿수에 그쳐 별 효과는 없었다는 반론도 있다.]이 윤석열의 선전에 기여했으며 이 지역도 나름 문재인 심판론이 있었던 이유도 윤석열 선전의 이유가 되었다. 무엇보다 20대 대선에서 이재명 후보의 호남에서의 부진 원인으로 꼽히는 것 중 하나가 청년층의 보수화인데, 이는 비단 호남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 청년층에 걸쳐 나타나고 있는 변화이기 때문에 당분간 전남에서의 큰 정치적 지형 변화는 없을 듯 하다. [[광주광역시]]에 비해 고령층 비율이 높고, 비슷하게 고령층 비율이 높은 [[전라북도]]에 비해 민주당 지지세가 더 강하기 때문에 앞으로 호남 내에서 민주당 지지세가 가장 강한 지역이 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완도군]]에서 이재명이 88.9%로 전국 최대 득표율을 올렸으며, 군 지역에서는 윤석열이 한자릿수 득표율을 올린 지역도 여럿 있었다.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현역 도지사인 더불어민주당 김영록 후보가 국민의힘 이정현 후보를 상대로 75.74%의 득표율을 올리며 넉넉한 차이로 승리했다. 하지만 이는 호남권에서 기록적으로 부진한 성과일뿐만 아니라 이정현 후보의 고향인 곡성군에서는 무려 40%의 득표율을 허용하는 등[* 심지어 이정현 후보는 곡성군 모든 읍면에서 35% 이상을, 순천시 모든 읍면동에서 27% 이상 득표했다.] 호남의 민주당 지지세가 서서히 흔들리기 시작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하지만 민주당에서도 속단하기는 이른 것이 이런 보수정당이 호남에서 기록적인 성과를 보여준 것은 이정현 후보 개인의 영향력이 발휘된 것도 있고, 지선 전부터 검수완박[* 아이러니하게도 민주당 지지층에게는 '검수'''덜'''박'으로 까이며 오히려 여기에 김빠짐·피로감을 느꼈다. 아니나 다를까, '부패범죄, 경제범죄 '''중''' '으로 원안이 법사위 소위를 통과하여 이것대로라면 검찰이 2종의 범죄에 대해서만 수사가 가능했으나, [[박병석|국회의장]]의 손을 거치면서 '부패범죄, 경제범죄 '''등''' '이라는 문구로 중재안이 통과되면서 이론상 수사 가능 범위를 무한히 넓힌 것이 [[한동훈]] [[법무부장관]]에게 결과적으로 되치기 당하는 빌미를 제공했다.[[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93956#home|#]]] 및 [[박지현(정치인)|박지현]]의 사과쇼, 공천 파행으로 대표되는 민주당의 실책이 이번 지선에 악영향을 끼쳤기 때문에[* 목포시장, 영광군수는 민주당 후보를 제치고 무소속 후보가 당선되었으며, 이웃 광주는 대선 때 투표율(82%)의 반토막보다도 아래인 '''37%'''를 기록했다.] 이후 민주당의 행보에 호남의 정치적 행보도 같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전통적으로 대선, 지선, 총선을 막론하고 모든 전국단위선거에서 투표율이 매우 높은 편이다. 8회 지선에서도 인접한 광주가 40%도 안 되는 역대급으로 저조한 득표율을 기록하는 와중에도 과반을 훌쩍 넘기며 광역자치단체 중 최고 투표율을 기록하였다. === 권역 === 권역별로 구분하면 목포, 무안을 중심으로 하는 서부권/광주 외곽의 중부권과 순천, 여수 등을 중심으로 하는 동부권[* [[섬진강]] 수계의 순천, 여수, 광양, 곡성, 구례. 전라남도의 5시 17군 가운데 3시 2군에 불과하지만, 전라남도 전체 유권자의 40%가 몰려 있어서 그 영향력은 결코 무시할 수 없다.]의 정치 성향이 '''조금'''[* 어디까지나 '''조금'''이다. 경남이나 강원처럼 권역별로 지지하는 정당이나 후보가 달라진다던가 하는 일은 없다. 경북이 일관되게 보수정당을 지지하는데, 민주당 계열의 지지율이 안동 주변의 북부권보다 대구 주변의 남부권에서 '''조금 더''' 나오는 것과 비슷하다.] 다르게 나타난다.[* 호남을 전북, 전남(서부), 전남(동부)로 구분하면 전남(동부)가 전남(서부)와 전북의 중간 성향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서부/중부권에서 김대중의 후계를 자처하는 호남정당의 영향력이 강한 반면, 동부권에서는 패권주의에 가까운 호남정당에 대한 지지가 서부/중부권보다 약한 편이다. 동부권에서는 [[민주당계 정당]]이 분열되어 있으면 [[친노]]-[[친문]] 정당에 더 지지를 표하고, 통합되어 있으면 호남정당에 대한 반발심리를 보수정당과 진보정당에 대한 지지로 표출한다. 또한 동부권에 전라남도의 2, 3차 산업 시설들이 집중되어 있고 이를 기반으로 한 노동 운동도 상당히 활발해서 진보정당들의 지지율도 동부권에서 더 높았으나,[* 다만, 진보정당 지지기반 중에는 [[전농]]으로 대표되는 1차 산업 종사자도 상당하기에, 서부라고 해서 진보정당의 지지율이 마냥 참담한 것도 아니다.][* 그런데 역대 선거결과에서 보듯이 전남에서 보수정당과 진보정당의 지지율이 미미하기에, 조금 더 나와봤자 1~2% 정도이고, 동부와 서부에서 지지율이 역전하는 경우도 가끔 생긴다.] [[통합진보당]]이 해산된 뒤에는 사실상의 후계정당인 [[민중연합당]] 계열이 진보정당을 지지하던 표심을 한 곳에 모으지 못 하고 있다. 2017년 이후에는 사실상의 호남정당인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이 몰락하면서 호남계 정치인들이 이합집산하는 과정에서 일부가 보수정당으로 흘러가, 호남계와 친노/친문계의 대결을 보수정당과 민주당계 정당이 나눠맡는 형국이다. 역대 민선 전남지사[* 1960년 지방선거 포함.]가운데 [[허경만]]이 유일하게 동부권 출신이다. 또한 전남 동부권과 서부권 간의 소지역주의 갈등도 정치에 영향을 주는 편이다. 전라남도에서 정치적인 중심지는 보통 김대중 전 대통령의 정치 기반인 목포시, 무안군 등 서부권 지역이 그 상징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실질적인 인구 규모 및 경제력 면에선 동부권의 비중이 더 크다. 이러다보니 전라남도에서는 목포시 중심의 전남 서부권이 정치를 주도하지만 동부권의 존재가 만만치 않고, 서부권 중심으로 끌고 다니는 도내 정치에 대한 반감이 동부권에서 발생하고 있다. 서부권에 비해 동부권, 특히 [[순천시/정치|순천시의 정계 개편]]이 매우 드라마틱한 이유도 이와 연관되어 있다. 역대 선거에서 각 정당의 득표율은 다음과 같다. ||<:>{{{#FFFFFF '''보수정당'''}}} || ||<:>{{{#FFFFFF '''제3지대정당'''}}} || ||<:>{{{#FFFFFF '''민주당계 정당(호남계)'''}}} || ||<:>{{{#FFFFFF '''민주당계 정당(친노/친문계)'''}}} || ||<:>{{{#FFFFFF '''진보정당(PD계)'''}}} || ||<:>{{{#FFFFFF '''진보정당(NL계)'''}}} ||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br][[비례대표]] || 전체 || 서부권 || 동부권 || ||[include(틀:한나라당)] || 2.91% || 2.78% || '''3.14%''' || ||[[국민통합21|{{{#FFFFFF '''국민통합21'''}}}]] || 0.85% || '''1.19%''' || 0.68%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33.79% || '''38.21%''' || 26.08% || ||[include(틀:열린우리당)] || 46.71% || 42.98% || '''53.22%''' || ||[include(틀:민주노동당)] || 11.21% || 9.88% || '''13.55%''' ||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br][[전라남도지사]] || 전체 || 서부권 || 동부권 || ||[[박재순(1944)|{{{#FFFFFF '''박재순'''}}}]] [include(틀:한나라당)] || 5.86% || '''6.29%'''[* 의외로 서부에서 더 높게 나왔는데, 박재순이 보성 출신에 관선 강진군수를 역임한 것 때문에 보성에서 21%, 강진에서 14%를 득표하면서 전체 득표율이 올라갔다. 물론, 박재순에 대한 지지가 한나라당에 대한 지지로 이어지진 않았다. ] || 5.01% || ||[[박준영|{{{#FFFFFF '''박준영'''}}}]] [[민주당(2005년)|{{{#FFFFFF '''민주당'''}}}]] || 67.69% || '''71.78%''' || 59.76% || ||[[서범석(1951)|{{{#FFFFFF '''서범석'''}}}]] [include(틀:열린우리당)] || 19.20% || 14.74% || '''27.85%''' || ||[[박웅두|{{{#FFFFFF '''박웅두'''}}}]] [include(틀:민주노동당)] || 7.26% || 7.19% || '''7.39%''' ||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br][[전라남도의회]][[비례대표]] || 전체 || 서부권 || 동부권 || ||[include(틀:한나라당)] || 5.64% || 5.43% || '''6.06%''' || ||[[민주당(2005년)|{{{#FFFFFF '''민주당'''}}}]] || 58.79% || '''62.32%''' || 51.94% || ||[include(틀:열린우리당)] || 22.86% || 19.88% || '''28.62%''' || ||[include(틀:민주노동당)] || 12.71% || 12.37% || '''13.37%''' || ||<-2> [[제20대 국회의원 선거]][br][[비례대표]] || 전체 || 서부권 || 동부권 || ||<-2>[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5.66% || 4.89% || '''6.78%'''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a 제3지대 정당이지만, 호남에선 민주당계 정당(호남계)으로 통한다.] || || 47.73% || '''49.64%''' || 44.95% || ||<-2>[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30.15% || 27.86% || '''33.51%''' || ||<-2>[include(틀:정의당)] || 5.82% || '''6.25%''' || 5.19% || ||<-2>[include(틀:민중연합당)] || 2.51% || 2.46% || '''2.58%''' || ||<-2> [[제19대 대통령 선거]] || 전체 || 서부권 || 동부권 || ||<-2>[[홍준표|{{{#FFFFFF '''홍준표'''}}}]] [include(틀:자유한국당)] || 2.45% || 2.20% || '''2.82%''' || ||[[안철수|{{{#FFFFFF '''안철수'''}}}]]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a ] || || 30.69% || '''34.94%''' || 24.48% || ||<-2>[[문재인|{{{#FFFFFF '''문재인'''}}}]]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59.88% || 56.12% || '''65.36%''' || ||<-2>[[심상정|{{{#FFFFFF '''심상정'''}}}]] [include(틀:정의당)] || 4.02% || 3.92% || '''4.16%''' || ||<-2>[[김선동(1967)|{{{#FFFFFF '''김선동'''}}}]] [include(틀:민중연합당)] || 0.31% || 0.28% || '''0.35%'''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br][[전라남도지사]] || 전체 || 서부권 || 동부권 || ||[[박매호|{{{#FFFFFF '''박매호'''}}}]] [include(틀:바른미래당)] || 3.84% || 3.60% || '''4.22%''' || ||[[민영삼|{{{#FFFFFF '''민영삼'''}}}]] [include(틀:민주평화당)] || 10.59% || '''12.66%''' || 7.36% || ||[[김영록|{{{#FFFFFF '''김영록'''}}}]]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77.09% || 75.61% || '''79.39%''' || ||{{{#FFFFFF '''노형태'''}}} [include(틀:정의당)] || 3.57% || '''3.69%''' || 3.39% || ||[[이성수(1969년 4월)|{{{#FFFFFF '''이성수'''}}}]] [include(틀:민중당)] || 4.02% || 3.92% || '''4.16%'''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br][[전라남도의회]][[비례대표]] || 전체 || 서부권 || 동부권 || ||[include(틀:자유한국당)] || 2.53% || 2.42% || '''2.68%''' || ||[include(틀:바른미래당)] || 3.50% || 3.17% || '''4.03%''' || ||[include(틀:민주평화당)] || 11.51% || '''14.35%''' || 7.12%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68.07% || 66.91% || '''72.41%''' || ||[include(틀:정의당)] || 8.71% || '''8.72%''' || 8.70% || ||[include(틀:민중당)] || 3.57% || 3.24% || '''4.07%''' || ||<-2> [[제21대 국회의원 선거]][br][[비례대표]] || 전체 || 서부권 || 동부권 || ||<-2>[include(틀:미래한국당)] || 4.19% || 3.69% || '''4.91%''' || ||<-2>[include(틀:국민의당)] || 3.87% || 3.33% || '''4.66%''' || ||[include(틀:민생당)][* 제3지대 정당을 표방했지만, 사실상 민주당계 정당(호남계)이다. ] || || 7.41% || '''9.84%''' || 3.88% || ||<-2>[include(틀:더불어시민당)] || 60.34% || 59.01% || '''62.29%''' || ||<-2>[include(틀:열린민주당)] || 6.96% || 6.57% || '''7.53%''' || ||<-2>[include(틀:정의당)] || 9.56% || '''9.92%''' || 9.04% || ||<-2>[include(틀:민중당)] || 3.05% || '''3.09%''' || 3.00% || == 역대 전라남도 선거 결과 == ||<|2> {{{#000000 '''역대 1위 횟수'''}}} ||<:>{{{#FFFFFF '''민주당계 정당'''}}} ||<:>{{{#FFFFFF 보수정당}}} ||<:>{{{#FFFFFF 무소속}}}||<:>{{{#FFFFFF 제3지대 정당}}}|| ||<:>{{{#FFFFFF '''30'''}}} || 13 || 2 || 1 || [* 전라남도에서 제1당이 받은 의석수와 득표율.][* 지방선거는 도지사 선거만 포함.][* 1973년부터 1985년까지 총선은 중선거구제로 시행되었다.] ||<:> '''역대 선거''' ||<-2> '''1위''' ||<-2> '''2위, 3위''' || || 1948년 총선 ||<-2><:>{{{#FFFFFF '''한국민주당 10석'''}}} ||<:>{{{#FFFFFF '''무소속 9석'''}}} ||<:>{{{#FFFFFF '''대한독립촉성국민회 5석'''}}} || || 1950년 총선 ||<-2><:>{{{#FFFFFF '''무소속 12석'''}}} ||<:>{{{#FFFFFF '''민주국민당 9석'''}}} ||<:>{{{#FFFFFF '''대한국민당 3석'''}}} || || 1952년 대선 ||<-2><:>{{{#FFFFFF '''이승만 73.6%'''}}} ||<-2><:>{{{#FFFFFF '''이시영 14.8%'''}}} || || 1952년 부통령 ||<-2><:>{{{#FFFFFF '''함태영 64.2%'''}}} ||<-2><:>{{{#FFFFFF '''조병옥 11.0%'''}}} || || 1954년 총선 ||<-2><:>{{{#FFFFFF '''자유당 15석'''}}} ||<:>{{{#FFFFFF '''무소속 12석'''}}} ||<:>{{{#FFFFFF '''민주국민당 3석'''}}} || || 1956년 대선 ||<-2><:>{{{#FFFFFF '''이승만 72.1%'''}}} ||<-2><:>{{{#FFFFFF '''조봉암 27.9%'''}}} || || 1956년 부통령 ||<-2><:>{{{#FFFFFF '''이기붕 45.3%'''}}} ||<-2><:>{{{#FFFFFF '''장면 44.7%'''}}} || || 1958년 총선 ||<-2><:>{{{#FFFFFF '''자유당 18석'''}}} ||<:>{{{#FFFFFF '''민주당 10석'''}}} ||<:>{{{#FFFFFF '''무소속 3석'''}}} || || 1960년 총선 ||<-2><:>{{{#FFFFFF '''민주당 29석'''}}} ||<:>{{{#FFFFFF '''무소속 2석'''}}} ||<:>{{{#FFFFFF '''통일당 1석'''}}} || || 1960년 지선 ||<-2><:>{{{#FFFFFF '''민영남 46.0%'''}}}[* 민주당계 정당이지만 당시엔 소수 정당(신민당)이었다. 당시 여당이자 주류 민주당계 정당은 민주당(1955).] ||<-2><:>{{{#FFFFFF '''최의남 29.0%'''}}} || || 1963년 대선 ||<-2><:>{{{#FFFFFF '''박정희 57.2%'''}}} ||<-2><:>{{{#FFFFFF '''윤보선 35.9%'''}}} || || 1963년 총선 ||<-2><:>{{{#FFFFFF '''민주공화당 12석'''}}} ||<:>{{{#FFFFFF '''민정당 3석'''}}} ||<:>{{{#FFFFFF '''자유민주당 3석'''}}} || || 1967년 대선 ||<-2><:>{{{#FFFFFF '''윤보선 46.6%'''}}} ||<-2><:>{{{#FFFFFF '''박정희 44.6%'''}}} || || 1967년 총선 ||<-2><:>{{{#FFFFFF '''민주공화당 16석'''}}} ||<:>{{{#FFFFFF '''신민당 2석'''}}} ||<:>{{{#000000 '''대중당 1석'''}}} || || 1971년 대선 ||<-2><:>{{{#FFFFFF '''김대중 62.8%'''}}} ||<-2><:>{{{#FFFFFF '''박정희 34.4%'''}}} || || 1971년 총선 ||<-2><:>{{{#FFFFFF '''민주공화당 15석'''}}} ||<-2><:>{{{#FFFFFF '''신민당 7석'''}}} || || 1973년 총선 ||<-2><:>{{{#FFFFFF '''민주공화당 10석'''}}} ||<:>{{{#FFFFFF '''신민당 6석'''}}} ||<:>{{{#FFFFFF '''민주통일당 2석'''}}} || || 1978년 총선 ||<-2><:>{{{#FFFFFF '''민주공화당 8석'''}}} ||<:>{{{#FFFFFF '''신민당 7석'''}}} ||<:>{{{#FFFFFF '''무소속 4석'''}}} || || 1981년 총선 ||<-2><:>{{{#FFFFFF '''민주정의당 10석'''}}} ||<:>{{{#FFFFFF '''민주한국당 9석'''}}} ||<:>{{{#FFFFFF '''안민당 1석'''}}} || || 1985년 총선 ||<-2><:>{{{#FFFFFF '''민주정의당 11석'''}}} ||<:>{{{#FFFFFF '''민주한국당 5석'''}}} ||<:>{{{#FFFFFF '''신한민주당 5석'''}}} || || 1987년 대선 ||<-2><:>{{{#FFFFFF '''김대중 90.3%'''}}} ||<-2><:>{{{#FFFFFF '''노태우 8.2%'''}}} || || 1988년 총선 ||<-2><:>{{{#FFFFFF '''평화민주당 17석'''}}} ||<-2><:>{{{#FFFFFF '''한겨레민주당 1석'''}}} || || 1992년 총선 ||<-2><:>{{{#FFFFFF '''민주당 19석'''}}} ||<-2><:> '''없음''' || || 1992년 대선 ||<-2><:>{{{#FFFFFF '''김대중 92.2%'''}}} ||<-2><:>{{{#FFFFFF '''김영삼 4.2%'''}}} || || 1995년 지선 ||<-2><:>{{{#FFFFFF '''허경만 73.5%'''}}} ||<-2><:>{{{#FFFFFF '''전석홍 26.5%'''}}} || || 1996년 총선 ||<-2><:>{{{#FFFFFF '''새정치국민회의 17석'''}}} ||<-2><:> '''없음''' || || 1997년 대선 ||<-2><:>{{{#FFFFFF '''김대중 94.6%'''}}} ||<-2><:>{{{#FFFFFF '''이회창 3.2%'''}}} || || 1998년 지선 ||<-2><:>{{{#FFFFFF '''허경만 100%'''}}}[*주의 지금과는 공직선거법이 달랐기 때문에 자치단체장은 단독 출마라도 무투표 당선 될 수 없었다. 당시 공직선거법 제191조 2항에 따르면 단독 출마일 경우 득표수가 투표자 총수의 3분의 1이상에 달하여야 당선인으로 결정되었다. 이는 2010년 1월 25일 삭제되었다.] ||<-2><:> '''없음''' || || 2000년 총선 ||<-2><:>{{{#FFFFFF '''새천년민주당 11석'''}}} ||<-2><:>{{{#FFFFFF '''무소속 2석'''}}} || || 2002년 지선 ||<-2><:>{{{#FFFFFF '''박태영 57.8%'''}}} ||<-2><:>{{{#FFFFFF '''송재구 24.2%'''}}} || || 2002년 대선 ||<-2><:>{{{#FFFFFF '''노무현 93.4%'''}}} ||<-2><:>{{{#FFFFFF '''이회창 4.6%'''}}} || || 2004년 총선 ||<-2><:>{{{#FFFFFF '''열린우리당 7석'''}}} ||<:>{{{#FFFFFF '''새천년민주당 5석'''}}} ||<:>{{{#FFFFFF '''무소속 1석'''}}} || || 2004년 지사 보선 ||<-2><:>{{{#FFFFFF '''박준영 57.6%'''}}}[* 민주당계 정당이지만 당시엔 군소정당(새천년민주당)이었다. 주류 민주당계 정당은 열린우리당.] ||<-2><:>{{{#FFFFFF '''민화식 35.0%'''}}} || || 2006년 지선 ||<-2><:>{{{#FFFFFF '''박준영 67.7%'''}}}[* 민주당계 정당이지만 당시엔 군소정당(민주당(2005))이었다. 주류 민주당계 정당은 열린우리당.] ||<-2><:>{{{#FFFFFF '''서범석 19.2%'''}}} || || 2007년 대선 ||<-2><:>{{{#FFFFFF '''정동영 78.7%'''}}} ||<-2><:>{{{#FFFFFF '''이명박 9.2%'''}}} || || 2008년 총선 ||<-2><:>{{{#FFFFFF '''통합민주당 9석'''}}} ||<-2><:>{{{#FFFFFF '''무소속 3석'''}}} || || 2010년 지선 ||<-2><:>{{{#FFFFFF '''박준영 68.3%'''}}} ||<-2><:>{{{#FFFFFF '''김대식 13.4%'''}}} || || 2012년 총선 ||<-2><:>{{{#FFFFFF '''민주통합당 10석'''}}} ||<-2><:>{{{#000000 '''통합진보당 1석'''}}} || || 2012년 대선 ||<-2><:>{{{#FFFFFF '''문재인 89.3%'''}}} ||<-2><:>{{{#FFFFFF '''박근혜 10.0%'''}}} || || 2014년 지선 ||<-2><:>{{{#FFFFFF '''이낙연 78.0%'''}}} ||<-2><:>{{{#000000 '''이성수 12.5%'''}}} || || 2016년 총선 ||<-2><:>{{{#FFFFFF '''국민의당 8석'''}}}[*a ] ||<:>{{{#FFFFFF '''새누리당 1석'''}}} ||<:>{{{#FFFFFF '''더불어민주당 1석'''}}} || || 2017년 대선 ||<-2><:>{{{#FFFFFF '''문재인 59.9%'''}}} ||<-2><:>{{{#FFFFFF '''안철수 30.7%'''}}} || || 2018년 지선 ||<-2><:>{{{#FFFFFF '''김영록 77.1%'''}}} ||<-2><:>{{{#FFFFFF '''민영삼 10.6%'''}}} || || 2020년 총선 ||<-2><:>{{{#FFFFFF '''더불어민주당 10석'''}}} ||<-2><:> '''없음''' || || 2022년 대선 ||<-2><:>{{{#FFFFFF '''이재명 86.1%'''}}} ||<-2><:>{{{#FFFFFF '''윤석열 11.4%'''}}} || || 2022년 지선 ||<-2><:>{{{#FFFFFF '''김영록 75.7%'''}}} ||<-2><:>{{{#FFFFFF '''이정현 18.8%'''}}} || [[분류:전라남도의 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