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국갤럽 선정 한국인이 좋아하는 나무)] ||<-3> '''{{{#fff {{{+1 전나무}}}[br]Needle Fir}}}'''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천왕사 전나무.jpg|width=100%]]}}} || || '''학명''' || ''' ''Abies holophylla'' '''[br] Maxim. || ||<-3>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fff '''계'''}}}]] ||식물계(Plantae) || ||<|2> '''분류군''' ||관다발식물군(Tracheophytes) || ||겉씨식물군(Gymnospermae) || || {{{#000,#fff '''문'''}}} ||구과식물문 (Pinophyta) || || {{{#000,#fff '''강'''}}} ||구과식물강 (Pinopsida) || || [[생물 분류 단계#목|{{{#000,#fff '''목'''}}}]] ||구과목(Pinales) || || [[생물 분류 단계#과|{{{#000,#fff '''과'''}}}]] ||소나무과(Pinace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fff '''속'''}}}]] ||전나무속(''Abies'') || || [[생물 분류 단계#종|{{{#000,#fff '''종'''}}}]] ||'''전나무(''A. holophylla'')''' || ||<-2><#d7ffce,#0f4a02> {{{#000,#fff '''멸종위기등급'''}}} || ||<-2><#fff,#1f2023> [[파일:멸종위기등급_준위협.svg|width=240px]]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월정사 전나무숲길.jpg|width=100%]] 구과목 [[소나무]]과의 상록 침엽 교목.[* 젓나무라고도 한다. 젓나무라는 표기는 한국의 식물학자인 이창복이 전나무에서 젖(우유)이 나온다고 해서 전나무를 젓나무로 고친 데서 비롯되었다.] == 상세 == 수고[* 높이] 40m, 지름 1.5m 정도로 자라며 가지는 윤생하며 수평으로 퍼져 원뿔 모양을 이룬다. 수피는 회색 또는 잿빛이 도는 암갈색이고 거칠다. 겨울눈은 털이 없는 난형으로 약간의 수지가 있다. 잎은 길이 4cm 정도로 선 모양이며 가지에 촘촘히 달린다. 끝이 뾰족하고 뒷면에는 희백색의 기공선이 2개가 있으며 횡단면에는 수지구가 있다. 암수한그루로 가지 끝의 잎겨드랑이에 원통형의 황록색 수꽃이 피고, 암꽃은 장타원형으로 2~3개가 서로 근접해 달린다. 열매는 구과로 길이 10~12cm정도의 원통 모양이며 겉에 돌기가 나오지 않는다. 열매조각은 둥글고 밖에 수지가 묻어 있다. 10월 상순 쯤 성숙한다. 종자는 연한 갈색으로 달걀 모양의 삼각형이며 길이 12mm, 너비 6mm로서 연한 갈색이고 날개는 길이 13.5mm, 너비 12mm이다. 목재는 펄프 원료나 건축용재, 가구 재료로 이용한다. 잎의 길이가 길고 뒷면에 회백색의 기공선이 있는 점이 [[주목(나무)|주목]]과 다르다. 일본전나무는 잎의 끝이 2개로 갈라진다. 우리나라 3대 전나무 숲으로 [[강원도]] 오대산 월정사, [[전라북도]] 부안 내소사, [[경기도]] 포천 광릉수목원을 꼽는다. 토양오염, 대기오염 등 공해에 매우 약해 도심지에서는 생장이 불량해진다. [[장작]]으로도 많이 쓰인다. 다른 나무에 비해선 무게 대비 오래 타는 모양이다. 서양에서는 [[구상나무]], [[가문비나무]] 등과 함께 [[크리스마스 트리]]로 많이 쓰인다. 국내에 자생하는 전나무속 식물로는 [[전나무]] 이에 [[분비나무]], [[구상나무]]가 있으며, 이외에는 일본에서 들여온 일본전나무가 있다. == 언어별 명칭 == ||<-2><:>'''언어별 명칭'''|| ||<:>{{{#373a3c,#ddd '''영어'''}}} || Needle Fir || ||<:>[[한국어|{{{#373a3c,#ddd '''한국어'''}}}]] || 전나무 || ||<:>[[중국어|{{{#373a3c,#ddd '''중국어'''}}}]] || [ruby(枞树,ruby=cōngshù)] || ||<:>[[일본어|{{{#373a3c,#ddd '''일본어'''}}}]] || [ruby(樅,ruby=もみ)] || == 관련 문서 == * [[O Tannenbaum]] - 독일 민요 * [[탄넨바움 작전]] - 나치 독일의 스위스 침공 계획 == 여담 == * 화석상의 기록으로는 1967년 [[러시아]] [[시베리아]] [[백악기]] 후기 지층에서 화석에서 전나무 꽃나루 화석이 발견된것이 최초.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Fossil-records-of-Abies_tbl1_225365827|#]] * 용자지령 다그온의 등장인물 [[사와무라 신]]의 한국명은 '전나무'이다. * [[대구광역시]]의 시목이다. [[분류:구과목 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