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국노총의 산하노조)] ---- ||<-3> '''전국항운노동조합연맹'''[br]全國航運勞動組合聯盟 || ||<-2><:>'''약칭'''||<:> 항운노련 || ||<-2><:>'''창립일'''||<:> [[1962년]] [[1월 10일]] || ||<-2><:>'''위치'''|| [[서울특별시]] [[용산구]] 후암로 107, 19층[br](동자동, 게이트웨이타워) || ||<-2><:>'''위원장'''||<:> 김상식 || ||<-2><:>'''공식 사이트'''||<:> 없음 || [목차] [clearfix] == 개요 == 1962년 [[항만]], [[항구]] 등에서 하역 및 운수 산업의 [[노동조합]]들이 모여 만든 노동조합 단체. 현재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소속이다. == 역사와 활동 == 1949년 대한노총(현재의 [[한국노총]])에는 '전국항만자유노동조합연맹'이 설립되었으나 1952년 6월 '전국자유노동조합연맹(자유노조)'로 개칭하여 활동하다 정부의 인가를 받지 못하고 해산되어 버린다. 1961년 [[5.16 쿠데타]] 이후에는 부두노조, 운수노조, 자동차노조, 연합노조로 나뉘어 활동하다가 '전국부두노동조합(부두노조)'로 합쳐졌다. 그러다 1979년 '전국항만노동조합(항만노조)'로 이름을 바꾸었고, 운수노동자들이 설립한 '전국운수노동조합'을 1980년 흡수하여 '전국항운노동조합(항운노조)'가 되었다. 항운노조는 1981년 지금의 '전국항운노동조합연맹(항운노련)'으로 개편되어 현재까지 내려오고 있다. == 특징 == 항운노조(항운노련)에 대해 들어보지 못한 사람들 대부분은 이 단체가 각자 다른 어느 회사에 소속된 인원들이 모여서 구성된 [[금속노조]], [[화섬노조]] 등과 같은 구조의 노동조합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들은 어느 회사에 소속되어서 일을 하는게 아니라 노동조합 그 자체에 소속되어 항만 물류에 관한 일을 하는 노동자들이 모인 것으로 이름은 노동조합이지만 사실상 기업의 역할도 동시에 담당하는 굳이 비슷한 구조의 단체를 꼽으라고 한다면 [[농협]]이나 [[수협]]같이 그 자체가 기업이자 조합인 단체이다. 그래서 이곳의 조합원으로 등록되면 항운노조 조합원으로 등록됐다고 표현하지 않고 항운노조에 '''취업'''했다고 말한다. 그래서 이 노조의 성격을 모르는 일반인들에게 나 항운노조에 취업했어라고 말하면 열에 아홉은 노조 사무실 또는 협회에 취업을 했나보다라고 으레 짐작하는 경우가 많다. 이 조합의 출근하는 방식은 조합원의 경우 각자에게 순번이 부여돼서 만약 조합원 순번이 50번까지 존재한다고 할 때 당일 작업량에 따라서 나올 인원이 정해진다. 만약 인원이 20명이 필요하다면 1번에서 20번까지 불러서 일을 하고 그 다음 날 30명이 필요하다고하면 21번에서 50번까지 불러서 일을 하는 스케줄 형식으로 주로 야간에 근무를 하게 된다. 조합 내 직위 구조는 조합장 지부장 반장 조장 조합원 순으로 낮아지며 일정 단계 이상부터는 선거로 올라갈 수 있기 때문에 사내 정치도 승진에 있어서 굉장히 중요한 능력으로 꼽힌다. 항만 내 물류에 대해서는 독점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까지도 꽤나 괜찮은 급여의 안정적인 직장으로 꼽히지만 기업이 아니다보니 공채가 없기 때문에 지인을 통해서 들어가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분류:한국노동조합총연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