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군구)] {{{+2 '''Theater of War'''}}} [[파일:attachment/전구/Theater.jpg|width=600&align=center]] [목차] [clearfix] == 개요 == 반경 수백 km~수천 km의 군사작전 및 전쟁 구역을 말한다. [[군구]]와는 약간 차이가 나는 개념이다. == 특징 == 하위 용어라고 할 수 있는 전역(Campaign)이 다수의 작전과 군사행동으로 특정 지역에서의 승리를 일구는 노력이라면 전구는 곳곳에서 다수의 전역들을 벌여 전쟁에서의 최종적인 승리를 일궈내기 위한 지역적 명칭이라 할 수 있다. 보통 전구 수준에선 특정 군종(예를 들면 육군, 해군의 각각 제1, 2군관구 등.)을 위한 행정상의 지역적인 분류가 아니라 군종을 초월하여 하나의 대규모 대륙,해양 권역에서 아예 일선 전쟁지휘(전투/전술/작전술이 아니다.)를 담당하는 전략적인 비중이 크므로[* 본국의 군 통수부가 전쟁수행을 위한 큰 틀에서의 지침을 하달하면 전구사령관은 그 지침내에서 본인의 재량하에 전쟁 지휘를 담당하고 휘하의 하위 작전술, 전술 지휘관들(육군의 집단군사령관~군단장, 해군의 해역, 번호함대사령관, 공군의 권역,번호공군사령관들)에게 전략적 목표 달성을 위한 육, 해, 공 입체/혼합된 전역(Campaign) 실행을 지시한다. 여튼 본국의 군 수뇌부를 제외하면 일선 지휘보직중 가장 높다.] 전구를 책임지는 전구사령관은 합동보직이며 전구 내에 있는 모든 육, 해, 공군과 해병을 총괄통제한다. == 역사적 사례 == === [[미군]]의 전구 === [[미국]]은 이미 [[2차대전]] 당시 [[태평양 전쟁]]에서 [[태평양]]을 2개의 전구(남서태평양해역군, [[태평양해역군]])로 나눠서 맥아더 [[장군]]과 니미츠 [[제독]]이 각각 통합전구사령관으로 전구 내의 육, 해, 공군, 해병 군종을 총괄 지휘하여 전쟁을 지휘했고 1944년 연말에 있었던 미군의 [[원수(계급)|원수]] 진급에서 본국의 육, 해군 수뇌부[* [[조지 C. 마셜]](육군참모총장), [[헨리 아놀드]](육군항공대 사령관/사실상의 공군참모총장), [[윌리엄 리히]]((최고사령관 참모총장/사실상의 합동참모의장, 해군출신), [[어니스트 킹]](해군참모총장).]와 같이 진급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Unified_Combatant_Commands_map.png]] 전구 제도는 이후 미군의 [[통합전투사령부]] 체제로 계승되었다. === [[소련]]의 전구 === [[바르샤바 조약군]][* 그 자체로 한 개의 전구 이상이었다.]을 제외하면 서부, 중부, 남부, 극동 까지 총 4개의 전구(전략방면군)를 편성했다. 소련의 전구 표준편제는, 1. [[전선군]] 4개에 전차집단군 1개, 독립로켓군단과 [[전략폭격기]] 군단, 전선 예하의 항공군 각 1개씩 총 4개의 전선 항공군으로 편성되었는데 1. 각 전선군은 종합병과군 2개와 전차군 1개를, 전차집단군은 전차군 2개를 예하에 뒀고 1. 종합병과군은 [[기계화보병|차량화 소총병]]사단 4개와 전차사단 1개, 전차군은 전차사단만 4개를 뒀으며 1. [[기계화보병|차량화 소총병]]사단은 장갑차 320여 대와 전차 240여 대, 전차사단은 장갑차 200여 대와 전차 340여 대로 구성되었다. 결국 1개 전구는 표준 편제 하에서 직할대를 제외해도 차량화소총병사단과 전차사단을 각 32개씩 보유했는데, 총 '''전차 2만 대, 장갑차 3만 대'''를 거느린 [[크고 아름다운]] 대기갑부대였다. 이런 전구를 4개나 편성했고, 제2 편성제도 덕분에 1개 전구 관할 구역에서 1개 전구 이상의 부대를 뽑아낼 수 있었다. [[소련군]]의 냉전시절 [[NATO군]]과 미군과 전면전이 개시될 경우 각 군구가 [[전선군]]으로 개편되고, 최소 2개 내지 최대 4개의 전선군과 전선군급 전차부대인 전차집단군을 중심으로 전구(전략방면군이라고도 한다.)가 편제로 구성됐다고 한다. 냉전 당시에는 바르샤바 조약군도 전구급 부대로 취급[* 바르샤바 조약군 [[총사령관]]이 소련군 육군원수였다. 참고로 소련군 육군원수는 서구권으로 치면 5스타가 아니라 6스타급 장성급 장교이다.]되었고, 서부와 남부, [[러시아 극동]]을 중심으로 최소 1개의 전구를 편성할 수 있었다고 하는데, 사실상의 통합군 개념의 형태의 작전담당 부대를 육해공 통합운영체계를 구성하였다. === [[중일전쟁]] 시기 [[중화민국 국민정부|중화민국]]의 전구 === [[중일전쟁]] 초기 [[1937년]] [[8월 20일]], 군사위원회에 의해 설립된다. 이후 제12전구까지 증설되기도 했으나 이런저런 원인으로 인지도가 영 낮아서 보통 초기에 창설된 5대 전구까지 기억하는 경우가 많다. * 제1전구 * 편성일: 1937년 8월 * 사령관: [[장제스]] → [[청첸]] → [[웨이리황]] → 장딩원 → [[후쭝난]] * 관할 구역: [[허베이성]] 북부, [[산둥성]] 북부, [[베이징시|베이핑]]-[[톈진]] 지구(1937년) → [[허난성]], [[안후이성]] 북부(1938년~1944년) → [[산시성(섬서성)|섬서성]] 남부(1944년~1945년) * 제2전구 * 편성일: 1937년 8월 * 사령관: [[옌시산]] * 관할 구역: [[산시성(산서성)|산서성]], [[차하얼|차하얼성]], [[쑤이위안성]](1937년) → [[산시성(산서성)|산서성]] 남부, [[산시성(섬서성)|섬서성]] 북부(1938년~1945년) * 제3전구 * 편성일: 1937년 8월 * 사령관: [[펑위샹]] → [[장제스]] → [[구주퉁]] * 관할 구역: [[장쑤성]] 남부, [[저장성]], [[상하이]]-[[난징]] 지구(1937년) → [[저장성]], [[푸젠성]], [[장쑤성]], [[안후이성]] 남부(1938년~1945년) * 제4전구 * 편성일: 1937년 8월 * 사령관: [[허잉친]] → [[장파쿠이]] * 관할 구역: [[광둥성]], [[푸젠성]](1937년) → [[광둥성]], [[광시 좡족 자치구|광시성]](1938년~1944년) → [[광시 좡족 자치구|광시성]](1944년~1945년) * 제5전구 * 편성일: 1937년 8월 * 사령관: [[장제스]] → [[리쭝런]] → 류즈 * 관할 구역: [[산둥성]] 남부, [[장쑤성]] 북부(1937년) → [[안후이성]] 서부, [[후베이성]] 북부, [[허난성]] 남부(1938년~1945년) * 제6전구 * 편성일: 1937년 9월 * 사령관: [[펑위샹]] → [[천청]] → 쑨롄중 * 관할 구역: [[후베이성]] 서부(1937년~1945년) * 제7전구 * 편성일: 1937년 10월 * 사령관: [[장파쿠이]] → [[위한머우]] * 관할 구역: [[저장성]] 북부, [[안후이성]] 남부(1937년~1938년) → [[광둥성]](1944년~1945년) * 제8전구 * 편성일: 1938년 11월 * 사령관: [[장제스]] → [[주사오량]] * 관할 구역: [[닝샤 후이족 자치구|닝샤성]], [[칭하이성]], [[간쑤성]], 쑤이위안성 서부(1938년~1945년) * 제9전구 * 편성일: 1938년 11월 * 사령관: [[천청]] → [[쉐웨]] * 관할 구역: [[후베이성]] 남부, [[후난성]], [[장시성]](1938년~1945년) * 제10전구 * 편성일: 1938년 11월 * 사령관: 장딩원 → 리핀셴 * 관할 구역: [[산시성(섬서성)|섬서성]](1938년~1940년) → [[안후이성]](1945년) * 제11전구 * 편성일: 1945년 6월 * 사령관: 쑨롄중 * 관할 구역: [[베이징시|베이핑]]-[[톈진]] 지구, [[허베이성]], [[산둥성]](1945년) * 제12전구 * 편성일: 1945년 6월 * 사령관: [[푸쭤이]] * 관할 구역: [[러허성]], 쑤이위안성, 차하얼성(1945년) 1개의 전구당 2~4개의 군[* 1개 군은 약 2만 명~3만 명이었다.]으로 구성된 [[집단군]] 3~4개와 직할 부대가 편성되어 있었고 전구의 총 병력은 20만 명~50만 명 정도였다. === [[중화인민공화국]] [[중국 인민해방군|중공군]]의 5대 전구 === [include(틀:중국 인민해방군의 전구)] 원래는 [[군구/중국|7대 군구]]였으나, 군 개편 이후 5대 전구로 개편되었다. == 같이보기 == * [[군구]] * [[군관구사령부]] [[분류:군사 편제]]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전구, version=197, paragraph=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