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파일:정부상징.svg|width=30&height=30]] '''[[대한민국의 보물/1~200호|{{{#ffffff 대한민국의 보물}}}]]''' || || 108호 ||<|2> ← || '''109호''' ||<|2> → || 110호 || || 부여 정림사지 석조여래좌상 || '''전 광주 성거사지 오층석탑''' || 광주 지산동 오층석탑 || ||<-2> [[파일:정부상징.svg|width=28]] '''[[대한민국의 보물|{{{#f39100 대한민국 보물 제109호}}}]]''' || ||<-2> {{{#fff {{{+1 '''전 광주 성거사지 오층석탑'''}}}[br]{{{-1 傳 光州 聖居寺址 五層石塔}}}}}}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광주광역시 남구 서오층석탑2길 17,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광주광역시 남구 서오층석탑2길 17 (구동) || || '''{{{#fff 분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 || '''{{{#fff 수량/면적}}}''' || 1기 || || '''{{{#fff 지정연도}}}''' || 1963년 1월 21일 || || '''{{{#fff 건축시기}}}''' || [[고려시대]] || [목차] [clearfix] == 개요 == 전 광주 성거사지 오층석탑은 고려시대의 절터 성거사지라고 전해지는 지역에 위치한 석조 불탑이다. 서오층석탑이라고도 하며, [[광주읍성]]을 기준으로 반대편에 있는 보물 110호 [[광주 지산동 오층석탑]]은 동오층석탑이라고 불린다. == 상세 == 탑의 기단부가 1단이고 탑신부의 첫 번째 층이 특이하게 2단으로 되어있다는 점에서 고려시대의 석탑임을 짐작할 수 있다. 탑이 위치한 성거사지로 추정되는 곳은 지금의 [[광주공원]]이다. 근대 이전부터 전해오는 설화에 따르면, 광주공원 일대는 거북의 모양을 하고 있다. 거북의 머리는 북쪽을 향하고 있는데, 거북이 떠나면 광주가 쇠미해진다. 따라서 거북의 머리 부분에는 석탑을 쌓아 거북이 떠날 수 없게끔 했다고 한다. [[일제강점기]]의 조사 결과 탑 주변이 사찰이라 불려왔던 점, '성거사(聖龜寺)'라는 글자를 새긴 평와(平瓦)가 인근에서 발견됐다는 점 등 현 광주공원 지역을 성거사지라고 부를 수 있을 법한 증거들이 발견됐다. 그러나 광주의 읍지에 '성거사는 성거산에 있다'고 했는데 성거산이라고 불린 곳은 광주공원 일대가 아닌 다른 지역이었다는 점, 글자가 새겨진 평와는 지금의 [[전남대병원]]부터 [[광주제일고등학교]]까지 넓은 지역에서 발견된 점 등을 들어 명확하게 이곳이 고려시대 사찰 성거사의 터라고 결론짓지 못했다. 1961년 탑을 해체 수리하면서 2층 탑신 윗면에서 사리장엄구가 발견된다. 이 사리장엄을 통해 탑의 제작 연대가 고려시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리장엄은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참고 자료 ==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2,01090000,24&pageNo=5_1_1_0|문화재청: 보물 제109호 전 광주 성거사지 오층석탑]] * 『광주관련국역고서 제2집 일제강점기 光州文獻集』, 광주광역시립민속박물관, 2004 [[분류:대한민국의 보물]][[분류:석조 불탑]][[분류:남구(광주광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