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저주소녀 아틀리에)] [include(틀:스포일러)] [목차] == 개요 == 모바일 게임 [[저주소녀 아틀리에]]의 데드엔드를 보는 방법을 정리한 문서이다. No 00. 과로사를 제외한 47가지 데드엔드를 보면 추가 콘텐츠가 풀린다. == Day 1 == '''No 01. 맞아 죽음''' >희생자는 화실 안에서 단단한 무엇인가에 머리를 가격당해 사망했다. 사과를 소녀의 머리 쪽에 그린다. '''No 02. 뼈와 살''' >희생자는 화실 안에서 전신이 뼈만 남은 상태로 죽어 있었다. 사과를 빨간색으로 칠한다. '''No 03. 질식사''' >희생자는 화실 안에서 썩은 사과에 목이 막혀 죽어 있었다. 사과를 푸른색으로 칠한다. '''No 04. 목 늘리기''' >화실에서 발견된 화가의 목은 부자연스럽게 늘어난 상태로 끔찍했다. 사과를 소녀와 멀리 떨어진 곳에 그린다. 여러 번 그려야 한다. '''No 05. 눈알 뽑기''' >화실에서 발견된 두개의 눈동자는 그림을 감상하던 느낌이었다. 그 주인은 행방불명이다. 사과를 그리지 않고 가만히 있는다. == Day 2 == '''No 11. 압살''' >희생자는 화실 안에서 대량의 사과더미에 깔린 채로 발견되었다. 사과를 그린다.[* 그림의 전 소유주들 중 한 명이었던 'Sculptor'가 둘째날에 사과를 그려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 '''No 12. 오체분시''' >희생자는 화실 안에서 조각 조각난 상태로 발견되었다. 접시를 과일 위나 허공에 그린다. '''No 13. 곰팡이''' >실종된 화가의 화실안은 곰팡이가 잔뜩 생겨나 악취로 가득했다. 접시를 그리지 않고 마카롱을 그린다. '''No 14. 파열''' >희생자는 화실 안에서 대량의 마카롱을 먹고서 위가 파열된 듯 하다. 마카롱을 소녀의 입에 그린다. '''No 15. 아사''' >희생자는 화실 안에서 극단적으로 야윈 상태로 쓰러져 있었다. 접시 위에 접시를 그린다. '''No 16. 접시''' >희생자는 화실 안에서 얼굴이 잘 파여진 상태로 발견되었다. 접시를 소녀의 얼굴에 그린다. '''No 17. 매장''' >희생자는 화실 바닥에 머리부터 파묻혀서 발견되었다. 접시와 마카롱을 같은 색으로 칠한다. '''No 18. 부착''' >희생자는 화실 바닥에 단단히 부착된 상태로 발견되었다. 마카롱을 스케치한 뒤 다시 마카롱을 터치해 먹은 뒤 소녀에게 간다. == Day 3 == '''No 21. 부리''' >희생자는 화실 안에서 전신이 뾰족한 것에 찔린 채로 발견되었다. 새를 소녀의 팔 안에 그린다. '''No 22. 발톱''' >희생자는 화실 안에서 온 몸이 맹수의 발톱에 긁힌 상태로 발견되었다. 고양이를 소녀의 팔 안에 그린다. '''No 23. 골절''' >희생자는 화실 안에서 뭔가의 강력한 타격을 받아 갈비뼈가 부러진 상태였다. 말을 그린다.[* 말은 주인공이 자는 방에서 문 옆에 걸린 그림에 있다.] '''No 24. 새장''' >희생자는 화실에 있던 작은 새작안에 온몸이 [압축]된 상태로 발견되었다. 새를 그리지 않고 새장을 그린다. '''No 25. 대화''' >희생자는 화실 안에서 턱이 빠진 채로 발견되었다. 혓바닥은 없어진 상태였다. 소녀의 요청과 상관없는 그림을 그린다.[* 예를 들어 새를 그린 후 새장이 아닌 고양이를 바닥에 그리면 달성된다.] '''No 26. 보라색''' >희생자는 화실 안에서 온몸이 보라색으로 뒤덮혀 쓰러져 있었다. 보라색이 아닌 새가 새장에 들어가게 한다. '''No 27. 폭식''' >희생자는 화실 안에서 온몸이 파먹힌 비참한 상태로 발견되었다. 고양이 옆에 새를 그린다.[* 여담이지만 6번째로 그림을 완성하려 시도한 인물이자 주인공의 친구인 'Buyer'가 고양이 하나를 잘못 그려 맞은 데드 엔딩도 이것이다. 시체 묘사상으로는 22번 발톱, 폰에 기록된 내용 상으로는 27번 폭식 엔딩을 맞았다.] == Day 4 == '''No 29. 노화''' >희생자는 화실 안에서 말라붙은 채로 사망했다. 주위에는 모래가 뿌려져 있었다. 모래시계의 모래가 모두 떨어진 뒤 그림을 그린다.[* 기회를 두 번 주기 때문에 두 번 시도해야 한다. 다른 그림을 그리거나 색깔을 다르게 칠하면 볼 수 없으니 주의.] '''No 30. 악기''' >희생자는 화실 안에서 심장이 뽑혀진 상태로 발견되었다. 나팔을 그려야 할 때 다른 그림을 그린다. '''No 31. 가죽책''' >화실에서 발견된 [책]은 인간의 가죽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판명되었다. 책을 그려야 할 때 다른 그림을 그린다. '''No 32. 왕관''' >희생자는 화실 안에서 양팔이 잘린 상태로 사망해 있었다. 왕관을 그려야 할 때 다른 그림을 그린다. '''No 33. 해골''' >몸통만 발견된 불행한 화가의 머리는 아직도 못 찾고 있다. 해골을 그려야 할 때 다른 그림을 그린다. '''No 34. 별자리''' >실종된 화가의 화실에는 피로 그려진 듯한 별자리 그림이 남아 있었다. 램프를 그려야 할 때 다른 그림을 그린다. == Day 1+[* No 02. 뼈와 살 데드엔드를 여기서도 발생시킬 수 있다. 트리거는 처음 나이프부터 그리면 된다. 그리고 No 03. 질식사 데드엔드도 여기서 발생시킬 수도 있다. 트리거는 동일, 또한 No.11 압살 데드엔드도 마찬가지이며 트리거는 빨간 사과를 그린 후 사과를 다시 한번 더 그린다.] == '''No 6. 칼침''' 두번째로 사과를 그릴 때 사과대신 칼을 그린다. '''No 7. 채썰기''' 칼 끝이 소녀를 향하게 그린다. '''No 8. 소용돌이''' 처음 사과를 그릴 때 소녀의 손에 그린다. '''No 9. 목베기''' 두번째로 사과를 그릴 때 빨간 사과를 그린다. '''No 10. 벌침''' 처음 사과를 그릴 때 노란 사과를 그린다. 3번 모두 노란사과를 그리면 된다. == Day 2+ == '''No 19. 건조''' 홍차를 그리지 않는다. '''No 20. 냉동''' 파란 마카롱을 먹기 전에 홍차를 그린다. == Day 3+ == '''No 28. 검은색''' 검은 고양이를 그린다. == Day 4+ == '''No 35. 상자''' 상자를 파란색으로 칠하지 않는다. '''No 36. 연소''' 소녀의 침대 위에 불이 켜진 램프를 그린다. '''No 37. 날벼락''' 창문을 회색으로 칠한다. == Day 5 == '''No 38. 피의 비''' 우산을 빨간색으로 칠한다. '''No 39. 빈혈''' 우산을 파란색으로 칠한다. '''No 40. 꼬챙이''' 우산을 바닥에 그린다. '''No 41. 안개''' 빨간색 의자를 그려야 할 때 다른 것을 그리거나 틀린 조각상을 그린다. 또는 다리를 그릴 때 다른 색 또는 다른 위치에 그린다. '''No 42. 익사''' 다리를 그려야 할 때 다른 것을 그린다. '''No 43. 꽃다발''' 꽃을 파란색으로 칠하지 않는다.[* 꽃을 그릴 때 두번은 엄청나게 빠르게 회전하며 마지막은 느리게 회전해 파란색을 맞출 수 있게끔 되어있는데 오히려 틀려야 하는 이 엔딩상 처음 두번에 우연히 파란색이 맞는 경우가 있다. 주의할것] == Day 6 == '''No 44. 반대''' >희생자는 화실 안에서 목과 손발이 심하게 뒤틀린 상태로 발견되었다. 왼쪽 귀에 귀걸이를 그린다. '''No 45. 거울''' >희생자의 아틀리에 안에는 녹슨 조각상이 쓰러져 있었다. 미완성인 그림과 함께... 거울을 하얀색으로 칠하지 않는다. '''No 46. 피바다''' >실종된 화가의 화실에는 피의 바다가 펼쳐져 있었다. 그러나 그 피는 화가의 것이 아니다. 그림 속의 문을 찾아가지 않고 계단을 올라간다. == Day 7 == '''No 47. 어둠속''' >눈을 떠보니 이미 깊은 밤이었다. 아무 것도 보이지 않는 어둠. 아무 것도 떠오르지 않는 기억... 귀걸이의 색을 처음 고른 색과 다른 색으로 칠한다. [[분류:게임별 공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