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저작근(씹기근)[* 국립국어원에서는 "씹기근육"으로 순화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한자: [[咀]][[嚼]][[筋]] 영어: Masticatory Muscle [목차] == 개요 == 턱[[관절]]의 운동을 일으키는 근육들이다. [[머리뼈]]에서 [[턱|턱뼈]] 아랫쪽까지 붙어있는 [[근육]]들로, 흔히 턱에만 연장되어 있지 않을까 하는 통념과 달리 두개골의 귀 주변 부분부터 시작해서 턱 밑까지 이어지는 상당히 큰 근육들이다. "씹기근육"이라는 이명에서 알 수 있듯 인체가 턱 관절을 움직여서 구강 내부의 치아들이 음식을 갈고 씹을 수 있도록 하는 근육들이며, '''인체의 유지에 필수적인 소화 운동의 첫 단추를 꿰는 근육'''이라는 점에서 굉장히 중요한 근육들이라 할 수 있다. 당연하지만 저작근이 심하게 손상된 경우는 설령 치아가 건강하다 하더라도 음식을 제대로 씹을 수 없으며, 이는 전체적인 [[소화불량]]으로 이어지는 위험한 상태다. == 저작운동 == 저작근과 턱을 통해 음식을 씹는 저작운동(咀嚼運動)은 단지 음식물을 잘게 부수어서 소화를 돕는 일만 하는 게 아니라 우리 몸에 여러 가지 많은 영향을 끼친다. 상술했듯 저작근은 [[두개골]]의 윗 부분까지도 이어져있기 때문에 음식물을 씹을 때에는 머리 전체의 신경조직으로 자극이 전달된다. 실제로 저작운동을 할 때는 뇌에 공급되는 혈류량이 증가되어 뇌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fMRI가 직접적으로는 두뇌의 혈류량을 측정한다는 점을 생각하면 이는 사실 굉장히 중요한 문제다. 특히 양쪽 치아를 모두 사용하게끔 씹는 것을 권하고 있다. [[현대]]에는 굳이 열심히 씹을 필요가 없는 [[가공식품]]들이 마트에만 가도 산처럼 쌓여있기 때문에[* [[햄버그 스테이크]]라던지....] 현대인들의 저작운동이 전근대인들의 저작운동에 비해 훨씬 그 빈도가 적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기도 한다. 이 때문에 굳이 [[동물보호]]에 관심이 없음에도 저작운동을 늘리기 위해서 채식 위주의 식단을 꾸리는 사람들도 늘고 있다. 가공식품의 보급도 중요한 원인이지만 또 하나는 과거에 비해 매우 빠르게 돌아가는 생활상이 주 원인일 것이다. 먹거리도 생활환경도 비약적으로 발전했으나 생활패턴은 더욱 다양해지고 시간에 맞춰 최대한 빨리 움직이기 위해 책읽기, 오래 걷기, 오래 씹기 같이 기본적이지만 시간이 많이 가는 행동들은 매우 줄어들고 있기 때문 [[사족]]으로, KBS <[[생로병사의 비밀]]>에서도 저작운동의 중요함을 다룬 적이 있다. 다만 이 방송의 경우는 저작운동에 대해 거의 [[약장수]] 식의 과장된 태도를 보여주는 바람에 일부 시청자들의 많은 비난을 샀다. 분명 방송의 취지 자체는 옳았는데 날이 갈수록 [[관심병자]] 같은 행동을 반복하는 등 시청자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 하위 기관 == * 깨물근(교근, Masseter Muscle) * 관자근(측두근, Temporal muscle) * 가쪽날개근(외측익돌근, Lateral Pterygoid Muscle) * 안쪽날개근(내측익돌근, Medial Pterygoid Muscle) === 깨물근(교근, Masseter Muscle) === ||<-2> '''{{{#000 {{{+1 교근(깨물근)}}}[br]Masseter Muscle}}}''' || ||<-2> [[파일:Masseter gray.png|width=300]] || || '''근육명''' || '''깨물근(교근)''' || ||<-2> '''이는곳(Origin)과 닿는곳(Insertion)''' || || {{{#000 '''이는곳'''}}} ||광대뼈 위턱돌기 아래모서리와 안쪽면 및 광대활[br](Zygomatic arch and Maxillary process of Zygomatic bone) || || {{{#000 '''닿는곳'''}}} ||턱뼈각과 턱뼈가지 가쪽면[br](Angle and lateral surface of Ramus of Mandible, Coronoid process) || ||<-2> '''동맥과 신경지배''' || || {{{#000 '''동맥'''}}} || Masseteric artery || || {{{#000 '''신경지배'''}}} || Mandibular nerve (CN V3의 앞줄기) || ||<-2> '''기능''' || ||<-2> 턱뼈를 올리고, 입을 닫으며, [br]턱뼈 돌출(Protrusion of Mandible) 에 관여 || 저작근 중 가장 대표적인 사각형 모양의 근육으로, 4가지 근육 중 가장 강력하며, 제일 표면으로 드러나 있다. 표층부(Superficial head)와 심층부(Deep head)로 나뉜다. === 관자근(측두근, Temporal muscle) === ||<-2> '''{{{#000 {{{+1 측두근(관자근)}}}[br]Temporal Muscle}}}''' || ||<-2> [[파일:Temporalis.png|width=300]] || || '''근육명''' || '''관자근(측두근)''' || ||<-2> '''이는곳(Origin)과 닿는곳(Insertion)''' || || {{{#000 '''이는곳'''}}} ||관자우묵(Temporal fossa)의 바닥, [br]관자근막의 깊은면 || || {{{#000 '''닿는곳'''}}} ||턱뼈근육돌기의 끝과 안쪽면, [br]턱뼈가지 앞모서리 [br](Coronoid process of the Mandible and Mandibular ramus) || ||<-2> '''동맥과 신경지배''' || || {{{#000 '''동맥'''}}} || Deep temporal arteries || || {{{#000 '''신경지배'''}}} || Deep temporal nerves, branch(es) of the anterior division of the mandibular nerve (V3) || ||<-2> '''기능''' || ||<-2> 턱뼈를 올리고, 입을 닫으며,[br]뒷당김운동에 관여 || 삼각형 모양의 근육이다. 턱을 다물 때 관자놀이에서 만져진다. === 가쪽날개근(외측익돌근, Lateral Pterygoid Muscle) === === 안쪽날개근(내측익돌근, Medial Pterygoid Muscle) === ## 20190716 편집중 [각주] [[분류:근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