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a2a2a> '''{{{#ffffff 재규어 마크 시리즈}}}''' || || [[재규어 마크 IX|{{{#000 마크 IX}}}]] || {{{#000 →}}} ||<#2a2a2a> '''{{{#fff 마크 X}}}''' || {{{#000 →}}}|| [[재규어 420G|{{{#000 420G}}}]] || || [[재규어(자동차)|[[파일:Jaguar-Logo-1945-2001.png|width=15%]]]]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재규어 마크 X.png|width=100%]]}}} || || {{{#fff '''Mark X'''}}} || [목차] '''Jaguar Mark X''' == 개요 == [[영국]]의 자동차 제조사인 [[재규어(자동차)|재규어]]에서 [[재규어 마크 시리즈|마크 시리즈]]로 생산한 마지막 차량이었다. == 상세 == === 1세대(1961~1966)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재규어 마크 X 구조도.png|width=100%]]}}}|| || '''{{{#ffffff 차량의 구조도}}}''' || [[재규어 마크 IX]]의 후속 차종으로 [[1961년]] 10월 중순에 출시되었으며, [[플래그십]] 라인업으로 판매되었다. 하지만, 스타일 및 기술적으로 이전 세대와의 단절이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차량의 생산은 [[영국]] [[코번트리]] 공장에서 이루어졌다. [[재규어 E-타입]]의 출시 1년 후에 등장한 차량이다 보니 많은 기술, 혁신 및 사양들이 채택되어 많은 인상을 남긴 바 있었다. 재규어의 기술 책임자이자 수석 엔지니어였던 윌리엄 헤인즈의 주도로 설계되었으며, 그가 처음 개발한 재규어 세단 차량이었다. 차량의 디자인은 길쭉하지만, 다소 '퓨즈레이지(Fuselage)' 스타일을 닮은 듯 하지만, 수직이지만 앞으로 기운 듯한 그릴과 전면부를 가졌으며, 측면에는 4개의 둥근 헤드램프가 적용되었다. 이후 이러한 디자인은 [[재규어 X-타입]]과 3세대 [[재규어 XJ]]가 단종되던 [[2009년]]까지 세단 라인업에서 비슷하게 기조가 이어졌으며, [[2003년]] [[재규어 XJ]]의 롱휠베이스 사양이 나오기 전까지 해당 차량보다 큰 재규어 차량은 존재하지 않았다. 또한 전면 펜더는 [[대임러 DK400]]에서 파생된 제품이 사용되었다. 또한, [[1992년]] [[재규어 XJ|XJ220]] 출시 이전까지 가장 넓은 재규어 차량이라는 꼬리표가 붙기도 했다.[* 이후, [[1972년]]에 창업자인 윌리엄 라이온즈는 마크 X가 너무 컸던 아니냐는 질문에 이상적인 사이즈의 XJ6보다는 분명히 컸다고 언급한 바 있다.] [[후륜구동]] 방식의 차량이며 [[파워트레인]]으로는 출시 이후부터 [[1965년]] 10월까지 [[재규어 E-타입|E-타입]]에 적용된 250마력~265마력의 3.8L XK형 I6 엔진[* 표준 압축비는 9:1이었지만, 8:1 압축비 차량이 옵션으로 등장한 바 있었다.]이 [[1964년]] 10월 런던 모터쇼에서 공개된 후부터 4.2L XK형 I6 엔진이 탑재되었다. 이와 함께 [[영국]] 내수 및 북미 시장 판매 차량은 보그 워너 사의 3단 [[자동변속기]][* 4.2L 사양 출시 직후에는, 기존 변속기의 업그레이드가 이루어져 DG 타입에서 타입 8 유닛으로 대체되었다.]를 달았으며, [[오버드라이브]]가 달린 버전과 그렇지 않은 4단 [[수동변속기]]가 적용되었다. 또한 4.2L 차량이 출시되면서 싱크로메쉬가 적용되기 시작되면서 마크 IX 시절부터 가장 높은 3개 비율에만 적용된 기존 변속기를 대체하였다. 여기에 손턴 사의 파워 록 리미티드 슬립 디퍼렌셜도 적용되었다. 차량의 전장은 5,131mm, 전폭은 1,938mm, 전고는 1,384mm, 휠베이스는 3,048mm, 공차중량은 1,900kg이었다. 휠은 당시 재규어 세단 라인업에 더 일반적으로 들어갔던 15인치 대신 14인치 사양이 적용되었다. 코일 스프링과 텔레스코픽 댐퍼가 장착된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이 전면부에 장착되었다. 우측 전면 휠 앞 부분에는 [[AC델코]] 사의 에어 필터에서 공급되는 형태의 삼중 SU 카뷰레터가 적용되었다. 파워 보조 스티어링은 기본 적용되었으며, 4.2L 사양의 경우는 [[호주]] 출신의 아서 비숍이 설계한 마를레스 바라매틱 벤딕스 (애드웨스트)[* Marles Varamatic Bendix(Adwest)] 가변비 스티어링 박스가 적용되었다. 이전 세대와는 다르게 당시 동급 차량들 중에서 최초로 동력 보조가 이루어지는 4륜 [[디스크 브레이크]][* 후륜의 경우, 디퍼렌셜과 함께 실내에 장착된 것이 특징이었다.]를 장착했으며, 브랜드 차량 중 최초로 독자적인 후륜 서스펜션 및 경쟁차들이 바디 온 프레임을 고수하는 동안 모노코크 차체 구조[* 코드명은 '제니스'로 불렸다.]를 적용하였다. 차량의 최고 속도는 193km/h까지 낼 수 있었으며, 핸들링은 [[롤스로이스 실버 클라우드]]와 맞먹는 수준이었다고 한다. 차량의 플로어 팬은 마크 X의 단종 후, [[1992년]] 8인승 사양인 [[대임러 DS420]]의 단종 때까지 계속 활용되었다. 여기에 [[재규어 E-타입]]에서 선보였던 재규어의 IRS 유닛의 와이드 트랙 형태로 적용된 바 있으며, 이는 [[1996년]] [[재규어 XJ-S]]의 단종 때까지 계속 적용되었다. 실내에는 대시보드, 에스커치온, 창문 트림 및 기본 목재 장식을 풍부하게 활용하였다. 또한, 접이식 후면 테이블, 계기판 하부에 꺼낼 수 있는 앞좌석 하부 테이블이 적용되었다. 이후 에어컨과 전후면 좌석 간 방음 유리가 옵션으로 적용되기 시작했다. 차량 도어의 경우, 도어 필러 내부에 나선형 토션 스프링이 적용되었고 이를 통해 도어 필러가 실내에서 쉽게 열리도록 제조되었다. 출시 이후 대서양 양안에 있던 [[영국]] 및 [[미국]] 시장에서 언론의 호평을 받고 북미에서도 국가 원수, 외교관, 영화배우들에게 어필하고자 했지만, 실제 판매 목표는 달성하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판매량은 3.8L 사양 13,382대, 4.2L 사양 5,137대가 판매되었다. [[1966년]]형부터는 후술한 대로 [[재규어 420G]]가 해당 포지션을 이어받았다. 하지만, 420G가 판매되던 [[1968년]]에 판매된 [[재규어 XJ|XJ6]]는 해당 차량을 기반으로 했지만, 크기가 줄어든 게 특징이었다. ==== 1966년 이후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재규어 420G.png|width=100%]]}}}|| || '''{{{#ffffff 420G}}}''' || * [[재규어 420G]] 문서 참고 ==== 리무진 사양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대임러 DS420.png|width=100%]]}}}|| || '''{{{#ffffff DS420}}}''' || * [[대임러 DS420]] 문서 참고 == 모형화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재규어 마크 X 다이캐스트.png|width=100%]]}}}|| || '''{{{#ffffff 다이캐스트 모형 (코기 토이즈)}}}''' || * 차량 출시 1년 후, 코기 토이즈 사에서 #238 다이캐스트를 제조한 바 있다. [[1967년]]까지 약 110만 개 이상이 판매되었으며 다양한 색상으로 제조되었다고 한다. * [[IXO]] 및 [[노레브]]에서도 모형을 만든 적이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재규어의 차량)] [[분류:재규어/생산차량]][[분류:1961년 출시]][[분류:1966년 단종]][[분류:재규어 마크 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