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삼성 라이온즈/간략(투수))] ||
'''{{{#ffffff 장재혁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 [[삼성 라이온즈|{{{#ffffff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117번}}}''' || || [[김현준(2002)|김현준]][br](2021~2021.9.15.) || {{{+1 →}}} || '''{{{#074ca1 장재혁[br](2022~)}}}''' || {{{+1 →}}} || 현역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경북고장재혁.jpg|width=100%]]}}} || ||<-2> '''삼성 라이온즈 No.117''' || ||<-2> '''{{{#074ca1 {{{+2 장재혁}}}[br]Jang Jae-Hyeok}}}''' || ||<|2> '''출생''' ||[[2002년]] [[8월 16일]] ([age(2002-08-16)]세) || ||[[대구광역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정평초(경산시리틀) - [[대구중학교|대구중]] - [[경북고등학교 야구부|경북고]] || || '''신체''' ||177cm, 79kg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 입단''' ||[[2022 KBO 신인 드래프트#s-4.2|2022년 2차 9라운드]] (전체 83번, [[삼성 라이온즈|삼성]])|| || '''소속팀''' ||[[삼성 라이온즈]] (2022~) || || '''연봉''' ||2024 / 3,300만원 {{{-2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000,#fff 6.5%↑}}}}}}}}} || || '''링크''' ||[[https://www.instagram.com/jang.jae.hyuk|[[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삼성 라이온즈]] 소속 우완 투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18년도 대구중학교 당시 지역 대회인 19회 삼성라이온즈기, 대구소년체육대회에 이어 전국 소년체전 야구 부분에서도 우승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19회 삼성라이온즈기에서는 최우수 선수에 뽑히기도 했고 당시 [[진승현]], 김상진과 더불어 대구지역의 탑티어 유망주로 선정될 정도로 좋은 평가를 받기도 하였다. 경북고에 [[진승현]], 김상진과 함께 입학하였고 입학 당시 177cm였던 신장이 고교를 거치며 더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180cm으로 크게 성장하지는 못하였고 같이 입학한 진승현과 차이가 나기 시작한다. 다만 22년 신인 드래프트 시즌은 전국 소년 체전을 평정했던 중학생들이 후보로 올라오는 황금세대들의 해로 기대를 모았으나 코로나 19 등 운동부 쪽에서도 적지 않은 타격을 겪는 바람에 훈련 부족, 실전 부족 등으로 해당 학생들이 기대 만큼 올라오지 못했던 점도 고려는 해야한다. 중학시절 비공식 135km/h가 나왔다는 기사가 무색하게 2학년 때까지는 구속이 130km/h 대에서 있었다는 기사가 있지만 3학년 당시 구속을 140km/h를 넘어 147km/h까지 끌어 올렸다고 한다. 1년 유급했음에도 작은 키에 구속도 빠른 편이 아니어서 [[진승현]]과 [[박상후(야구선수)|박상후]]를 뒷받침하는 역할을 주로 맡았다. 다만 투구폼의 완성도는 진승현이나 박상후보다 더 낫다는 평가를 받았고, 지명을 앞두고는 최고구속을 147km/h까지 끌어올리면서 삼성에 지명받았다. === [[삼성 라이온즈]] === ==== 2022 시즌 ==== 같이 지명된 투수 3명 중 유일하게 육성선수로 등록됐다. 2군에서 중간계투로 등판하며 14경기 14⅓이닝 1승 3패 2홀드 ERA 4.40을 기록했다. ==== 2023 시즌 ==== 2군에서 좋은 성적을 보여주며 퓨처스 올스타전에도 참가하였다. 8월 중순 이후에는 등판 없이 조기에 시즌을 마감했다. 시즌 성적은 38경기 39⅓이닝 1승 3패 1세이브 6홀드 ERA 3.40. 2군 불펜이 무너지는 상황에서 루키인 걸 감안하더라도 성적이 괜찮았다. 내년 1군 불펜에서 보게 될 가능성이 높다. == 플레이 스타일 == == 연도별 성적 == ||<-17>
[[KBO 리그|[[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width=100]]]] {{{#FFFFFF '''장재혁의 역대 KBO 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ERA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WHIP || ERA+ || sWAR || || 2022 ||<|2> [[삼성 라이온즈|삼성]] ||<|2><-15> 1군 기록 없음 || || 2023 || ||<-2> '''[[KBO 리그|KBO]] 통산'''[br](0시즌) ||<-15> 1군 기록 없음 || == 여담 == * PC방에서 친구와 함께 드래프트를 보다가 지명된 걸 확인하고 울었다고 한다. 같은 팀의 9라운드 선배인 [[박승규(야구선수)|박승규]], [[김현준(2002)|김현준]]이 모두 눈물과 관련된 사연이 있어[* 박승규는 경기 중 실책하고 덕아웃에서 눈물을 흘리는 모습이 중계를 탔고, 김현준은 장재혁과 비슷하게 지명된 것을 확인하고 울었던 것이 SNS를 통해 알려졌다. 다만 이쪽은 야구 레슨장에서 접했다고.], [[삼성 라이온즈 갤러리]] 등에선 9라운드를 '''즙라운드'''라고도 부르는데, 지명을 확인하고 운 것이 알려져 즙재혁 별명을 획득했다. * 루키스데이에서 당당하게 푸른피 선언을 했다. 예비 FA이던 [[강민호]]에게 다른 팀가지 말라고 한 건 덤.[* 결국 강민호는 장재혁의 바람대로 잔류에 성공했다.] 삼팬들은 이 맛에 로컬보이 본다면서 굉장히 좋아했다[* 동년도 드래프트 대상자였던 [[진승현]], [[박상후(야구선수)|박상후]]라는 걸출한 로컬보이를 둘이나 흘려보낸 것에 아쉬움을 느끼던 참이라 더더욱 좋아한 측면도 없잖아 있다.]. * '''삼성의 차기 마무리가 되겠다'''는 선언을 했다. 삼성에 현재 확실한 마무리 후보가 없어[* [[김윤수]], [[최충연]]이 거론되긴 하지만 [[김윤수]]는 아직 제구에 무리가 있고, [[최충연]]은 실전 공백기가 길다.] 가능성 있는 선언. 다만 [[피네스 피처]] 유형인지라 선발로 보는 사람이 많다. * 본인 피셜로 MBTI는 ESFJ, 민트초코는 있으면 먹는데 돈 주고 사먹지는 않는다, 녹차 맛은 좋아한다고 한다. * 양손잡이이다. 양손 모두 젓가락질이 가능하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2002년 출생]][[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경북고등학교 출신]][[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삼성 라이온즈/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