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13e 0%, #dcd6bc 20%, #00813e 80%, #dcd6bc)" {{{#white '''{{{+2 장욱진}}}[br]{{{-1 張旭鎭}}}'''}}}}}}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화가 장욱진.jpg|width=100%]]}}} || || '''{{{#white 출생}}}''' ||[[1918년]] [[1월 8일]][* 음력 [[1917년]] [[11월 26일]]][br][[충청남도]] [[연기군]] [[연동면|동면]] 송용리[br](現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 || '''{{{#white 사망}}}''' ||[[1990년]] [[12월 27일]] (향년 72세)[br][[서울특별시]] || || '''{{{#white 국적}}}'''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8]] || || '''{{{#white 본관}}}''' ||결성 장씨 || || '''{{{#white 종교}}}''' ||[[불교]][* [[법명]]: 비공(非空)] || || '''{{{#white 직업}}}''' ||[[화가]], 서울대 미대 교수 || || '''{{{#white 최종 학력}}}''' ||[[무사시노미술대학|데이코쿠 미술학교]] || || '''{{{#white 배우자}}}''' ||이순경[* 그 유명한 [[이병도]]의 딸이다. [[2022년]] [[8월 18일]] 별세.] || || '''{{{#white 자녀}}}''' ||1남 4녀[* 본래는 2남 4녀였으나, [[차남]]은 일찍 숨졌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화가]]. 집이나 가족, 아이, 나무, 새 등 가정적이고 일상적인 소재들을 어린아이의 그림처럼 대담하고 간결한 구도와 자신만의 독특한 색감으로 표현해내서, '동심의 화가'로 불린다. == 생애 == 1918년 1월 8일, 아버지 장기용과 어머니 이기재 사이에서 4형제 가운데 차남으로 태어났다. [[박수근]]과 [[이중섭]], [[김환기]] 등과 함께 한국의 근현대미술을 대표하는 2세대 서양화가이다. 장욱진은 가족이나 나무, 아이, 새 등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소박한 소재들을 주로 그렸다. 장욱진은 1947년 김환기, 유영국 등과 <[[신사실파]]>를 결성하였는데 ‘사실을 새롭게 보자’라는 주제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신사실파]]의 철학대로 화가 장욱진은 자연 사물들을 그대로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사물 안에 내재해있는 근원적이고 정신적인 본질을 추구하였다. 그렇기에 화가 장욱진의 작품은 단순하면서도 대담하다. “나는 심플하다”라고 말했던 것처럼 화가 장욱진은 평생을 자연 속에서 심플한 삶을 살면서 그림을 통해 동화적이고 이상적인 내면세계를 표현하였다. == 작품 == === 가족 === [[파일:장욱진 가족1955.jpg]] || [[https://v.daum.net/v/20230816091444445]] || === 소가 있는 마을 === === 나무 === === 가로수 === === 자화상 === == 여담 == 체육에도 소질이 있어, 특기생으로 양정고등보통학교(23회)에 편입하여 졸업했다. 동문 중 유명한 이로 [[손기정]]과 [[남승룡]]이 있다. 부부로의 연을 맺은 것에서 보듯이 많은 예술계 인사 및 드라마에 간접적 연이 많다. [[나혜석]]으로부터 미술을 배웠다. [[마해송]]과 이웃 사촌이었다. [[최불암]]이 10년 가까이 친분있던 장욱진을 모델로 삼아 [[전원일기]]에서 김회장역을 연기 했다. 공교롭게도 기념관은 양주시 장흥면에 있는데, 근방에는 용인전투 당사자인 [[권율]]의 무덤이 있고, 더불어 배우 [[임채무]]가 운영하는 [[두리랜드]]가 있다. 전원일기에서 김회장 둘째 사위 역으로 등장했던 적이 있어, 전원일기 관련 방송에 등장하였다. 방양 당시 및 그 뒤 이야기를 나누었는데, 이 일화도 알려졌다면, 더 홍보효과가 컸을 것이다. 외손녀 이승연은 SBS 월화 드라마 [[은실이]]의 주제가를 불렸다. 그로부터 10년 뒤인 2009년 방영된 [[떼루아(드라마)]]에서 와인샵으로 용인고택이 등장한다. 다시 7년뒤 2016년 이번엔 KBS2 [[공항 가는 길]]에 건축 연구소로 용인고택이 등장한다.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마북동]]에 생전 [[말년]]에 작업을 하면서 머물던 [[조선시대]] [[가옥]]이 [[찻집]]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2008년]] 9월 11일에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됐다. [[https://youtu.be/69s5RpwjqgU|영상1]] [[https://youtu.be/C9PZyu2pz00|영상2]] 2022년 7월 7일 [[방탄소년단]] [[RM]]이 방문한 뒤 10월 25일 기준 외국인을 포함한 [[A.R.M.Y|방탄팬]]들이 하루에 500명씩 다녀갔다고 한다. [[https://youtu.be/EBmkstE1XmM|영상]] [[분류:대한민국의 화가]][[분류:1918년 출생]][[분류:1990년 사망]][[분류:세종특별자치시 출신 인물]][[분류:결성 장씨]][[분류:양정고등학교(서울)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