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제헌-5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 ([[서울특별시|{{{#cfa547 서울특별시}}}]] [[동대문구|{{{#cfa547 동대문구}}}]])'''}}} || ||<:>초대[br][[이영준(1896)|이영준]]||<:>→||<:>'''2대[br]장연송'''||<:>→||<:>제3대[br][[민관식]]||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ffffff '''{{{+1 장연송}}}'''[br]'''張連松[*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961538|독립유공자 공적조서]]에 따르면, 張'''{{{+1 蓮}}}'''松으로 표기된 문헌도 있다고 한다.]'''}}}}}}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장연송(1930년).png|width=100%]]}}} || ||<-2> 1930년 2월, 일본 니혼대학 유학 시절 촬영된 사진. || || '''창씨명''' ||하리야마 렌쇼(張山連松) || ||<|2> '''출생''' ||[[1901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 당시에는 1900년생으로 출마하였다.] [[12월 12일]][* [[http://db.history.go.kr/id/ia_4650_3609|1942년 일제감시대상인물카드]]에는 1902년 12월 2일생으로 기재되어 있다.] || ||[[함경북도]] [[길주군]] 길성면 홍수동[* [[http://db.history.go.kr/id/ia_4650_3609|#]]. 1914년 홍수동의 일부가 영북면 유천동으로 개편되었다. 출생지는 영북면 유천동 1174번지.][br](現 [[함경북도]] [[길주군]] 유천리) || || '''사망''' ||[[1956년]] [[10월 30일]] (향년 54세) || || '''학력''' ||[[니혼대학]] {{{-2 ([[정치경제학|정치경제과]] / [[졸업]])}}} || || '''상훈''' ||건국포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발명가, [[정치인]]이다. 2006년 건국포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1901년 12월 12일 [[함경북도]] [[길주군]] 길성면 홍수동(現 길주군 유천리)에서 태어났다. 이후 [[경기도]] [[경성부]] 수은동(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묘동]])으로 이주해 본적을 두었으며, [[일본]]으로 유학하여 [[니혼대학]] [[정치경제학|정치경제과]]를 졸업하였다. 귀국 후에는 경성부 [[동숭동]](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숭동]])을 거쳐 경성부 [[누하동|누하정]](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누하동]]) 114-2번지로 이주해 본적을 옮겼고, 1942년 당시에는 경성부 [[제기동|제기정]](現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제기동]]) 203번지에 [[http://db.history.go.kr/id/ia_4650_3609|거주했다]]. 니혼대학 재학 중이던 1930년 2월에는 다년간의 연구 끝에 자유장(自由杖:지팡이)[* 겉보기에는 그냥 길이가 짧은 지팡이 같지만, 안에 그물의자와 [[양산(도구)|양산]], 척후봉 등을 넣을 수 있다고 한다.]을 완성하여 [[일본]]·[[영국]]·[[미국]]·[[프랑스]]·[[독일]] 등 5개국에 특허원을 제출하기도 했다.[[http://db.history.go.kr/id/npda_1930_02_07_v0007_1190|#]] 1935년 1월에는 [[재봉틀]]의 이중봉침(二重縫針)과 공중회전팽이를 고안하여 특허국에 제출하기도 했다.[[http://db.history.go.kr/id/npda_1935_01_08_x0002_0750|#]] 또 한편으로는 20여 년간 무연료 원동력 항동기(恒動機) 연구, 발명에 힘을 쏟았으며, 친구 이상린(李相麟)[* 창씨명 : 호시야마 소린(星山相麟).]으로부터 자금 700원을 제공받기도 했다.[[http://db.history.go.kr/id/hd_068r_1230_0010|#]] 그는 이 발명을 통해 조선독립 및 전 세계에 물자를 풍부하게 함으로써 투쟁이 없는 지극히 평화로운 이상사회를 실현하고자 하였고 1939년에 특허국에 제출하여 특허를 받았다.[* 당시 특허신청 대리인이 [[신태악]]이었다.] 한편, 1931년「선(善)과 도(盗)」, 1939년 「사우(飼牛)가 시문(詩文)을 쓴다」등의 논문을 통해 자유주의 실현과 타 인종, 민족과의 전쟁은 양립할 수 없으므로 인류는 공존공영과 상호부조를 목적으로 살아가면서 평화를 이뤄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전쟁이 일어나는 사회를 배격하고 자유 평등한 이상사회를 갈망하는 심사와 일본에 국토를 유린당한 후의 착취와 압박을 노래한 시를 몇 편 짓기도 하였다.[[http://db.history.go.kr/id/hd_068r_1340_0010|#]] 1940년 겨울부터는 이전부터 알고 지내던 친구 이상린의 장남 [[이중섭(1919)|이중섭]](李重燮)[* 창씨명은 호시야마 쥬쇼(星山重燮).]·[[http://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mngNo=3451|임호연]](林豪淵)[* 창씨명 : 하야시 엔지로(林淵次郞).] 등과 회합하여 "1919년 [[손병희]] 등의 [[3.1 운동|조선독립운동]]은 소위 맹목적이고 등의 목표가 없었기 때문에 결국 실패로 돌아갔던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들은 이 동방의 정서, 즉 [[단군]] 사상을 표방해 민족독립운동에 매진한다면 반드시 성공할 것이다"라 하였으며, 동방의 정서에 대한 진리 및 그 선전 보급 방법이 어떠한지, 현재의 교육은 왜인의 생활 상태를 배우는 것인데 옳지 않다, 일제는 각 도·부 ·町에 인재를 선발하여 조선인들에게 정서 교육을 선전하고 있다는 등의 일제의 식민 통치 비판을 비롯한 여러 사상운동상의 토론을 하기도 했다.[[http://db.history.go.kr/id/hd_068r_1110_001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장연송(1942년).png|width=100%]]}}} || || 1942년 10월 19일, [[서대문형무소]]에 투옥되었을 당시 촬영된 사진. || 그는 위 저작들 및 활동으로 인해 1942년 3월 17일 용산경찰서에 체포되었고 1943년 3월 3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징역 2년형을 선고받아 [[서대문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르던 중 그 해 [[형집행정지]] 처분을 받아 출옥하였다. [[8.15 광복]] 후 9월 [[대한민국 임시정부]]·[[연합군]] 환영준비회 선전부 실행위원에 [[http://db.history.go.kr/id/dh_001_1945_09_04_0030|취임하였으며]], [[한국민주당]] 중앙위원, [[남조선과도입법의원]] 등을 지냈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한국민주당]] [[이영준(1896)|이영준]]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같은 해 [[이승만]] [[대한민국 국회의장|국회의장]]이 [[대한민국 국회]] [[대통령 간선제]]로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에 선출되자 [[재보궐선거]]가 치러졌는데, 한국민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동대문구 갑|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한국민주당 [[홍성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국민당]] [[이영준(1896)|이영준]]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6.25 전쟁]]으로 납북되었다. 사후 [[재북인사릉]]에 안치되었다. 2006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포장이 추서되었다. == 선거 이력 ==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종류}}} || {{{#ffffff 소속정당}}} || {{{#ffffff 득표수(득표율)}}} || {{{#ffffff 당선여부}}} || {{{#ffffff 비고}}} || || 1948 || [[제헌 국회의원 선거]] (서울 제5선거구(동대문 을)) || [include(틀:무소속)] || 11,006표 (27.86%) || 낙선 (2위) || || || 1948 || [[재보궐선거]] (서울 제4선거구(동대문 갑) 국회의원) || [include(틀:한국민주당)] || - || 낙선 || || || 1950 || [[제2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제5선거구(동대문구)) || [include(틀:무소속)] || ~~'''15,074표 (36.41%)'''~~ || ~~'''당선 (1위)'''~~ || ~~'''초선'''~~ [* [[6.25 전쟁]] 중 납북] || == 둘러보기 == [include(틀:남조선과도입법의원 의원/관선)] [include(틀:제2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제2대 국회의원]][[분류:무소속 국회의원]][[분류:길주군 출신 인물]][[분류:1901년 출생]][[분류:1956년 사망]][[분류:대한민국의 발명가]][[분류:건국포장]][[분류:납북자]][[분류:재북인사릉 안장자]][[분류:니혼대학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