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중랑천의 교량)] ||||||||||||<#00a84d><:> '''[[교량/목록|{{{#white 중랑천의 교량}}}]]''' || ||<:> 상류 방면 ||<|3><:>{{{+1 ← }}}||<-2><:> 이름 ||<|3><:>{{{+1 → }}} ||<:> 하류 방면 || ||<|2><:> [[군자교]] ||<-2><:> '''장안철교''' ||<|2><:> [[성동교]] || ||<#00a84d><:> [[서울 지하철 2호선|{{{#!html서울 지하철 2호선}}}]] || ||||||||||||<#00a84d><:> [[서울 지하철 2호선|{{{#FFFFFF '''서울지하철 2호선'''}}}]] || ||<:> [[신설동역|{{{#gray 신설동 방면}}}]][br][[용답역|{{{#000000 용 답}}}]] ||<:> {{{+1 ←}}}[br]-.- km ||<:> {{{#000000 '''장안교''' }}} ||<:> {{{+1 →}}}[br]-.- km||<:> [[성수역|{{{#gray 성 수 방면}}}]][br][[성수역|{{{#000000 성 수}}}]]|| [[파일:attachment/SSL29157.jpg|width=550]] [목차] == 개요 == '''장안철교'''(長安鐵橋, Jangancheolgyo(Railway Bridge))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동구]] [[용답동]]과 [[성수동]]2가를 연결하는 [[철교]]이다. == 상세 ==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역]]과 [[용답역]]을 잇는 [[성수지선]]의 철교이다. 구간은 정확히 [[성수역]]부터 용답역 방면 인근 자전거도로가 있는 쪽까지이다. [[중랑천]]을 건너기 위해 철교가 만들어졌으며, 성동구를 잇는 철교인데 이름은 [[동대문구]]의 [[장안동(서울)|장안동]]에서 왔다. [[성수지선]]을 운행하는 [[서울 지하철 2호선]] 열차를 위해 [[복선]] [[교량]]으로 건설하였으며, [[서울 지하철 2호선]]을 운행하면서 [[서울교통공사]] [[군자차량사업소]]에 배속된 [[열차]]들은 전부 이 철교를 하루에 최소한 한 번은 건넌다. [[군자차량사업소]]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이 철교를 무조건 건너야 하기 때문이다. [[군자차량사업소]]는 [[성수역]]과 [[용답역]] 사이, 정확히는 이 철교를 서쪽으로 넘어가면 바로 나온다. 주변 주민들이 [[중랑천]]을 거닐다가 한 번씩 보게 되는 철교이지만, 철교로서의 지명도는 매우 낮다. 경치가 멋지지 않아서 [[철도 동호인]]들 사이에서 [[사진]] 스팟으로 쓰이지 않는다. [[중랑천]]변 자전거도로에서 얼마든지 촬영할 수 있기 때문에 사진 촬영은 어렵지 않다. 장안철교 약간 상류에는 가람교라는 작은 다리가 있는데 장안철교보다도 존재감이 없다. 구글 지도에는 가람교와 장안교라는 두 가지 이름으로 표기되어 있으나 진짜 장안교는 여기에서 한참 더 위에 가야 나오는 [[사가정로]]의 교량이다. 가람교는 왕복 2차선에 인도도 없고 [[반포대교#잠수교|잠수교]]처럼 홍수가 나면 잠길 뿐만 아니라 주변에는 [[군자차량사업소]], 거대한 하수처리장 외에는 아무것도 없으며 연계 도로도 골목길 수준에 포장 상태도 나쁘다. 하지만 여기에 성동자동차검사소가 있는데다 주변에 폐기물 처리 업체도 있어 지나는 차량이 매우 드물지는 않으며, 노면이 나쁘다고 해도 장안동에서 성수동 방향으로 갈 수 있는 가장 짧은 길이라는 장점이 있다. 북쪽에 있는 [[장암철교]]와 이름이 비슷하다. 두 철교의 공통점은 전부 차량기지로 연결된다는 것이다. == 사건사고 == 2016년 9월 3일 오후에 장안철교 내진보수공사 작업중이던 비정규직 작업자가 철교 아래 중랑천에 떨어져 사망한 사고가 발생했다. 교량 하부에서 작업중이었던 것이기 때문에 열차 운행에는 지장이 없었다. [[분류: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지선]][[분류:중랑천의 교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