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파일:정부상징.svg|width=30&height=30]] '''[[대한민국의 보물/1601~1800호|{{{#ffffff 대한민국의 보물}}}]]''' || || 1770호 ||<|2> ← || '''1771호''' ||<|2> → || 1772호 || || [[창덕궁 연경당]] || '''기장 장안사 대웅전''' || [[대구 동화사 삼장보살도]] || ||<-5>
[[파일:정부상징.svg|width=30&height=30]] '''[[대한민국의 보물/1601~1800호|{{{#ffffff 대한민국의 보물}}}]]''' || || 1823호 ||<|2> ← || '''1824호''' ||<|2> → || 1825호 || || [[농경문 청동기]] || '''장안사 석조석가여래삼불좌상''' || [[의성 만취당]] || [include(틀:기장8경)] ||<-2> [[파일:정부상징.svg|width=28]] '''[[대한민국의 보물|{{{#f39100 대한민국 보물 제1824호}}}]]''' || ||<-2> {{{#fff {{{+1 '''장안사 석조석가여래삼불좌상'''}}}[br]{{{-1 長安寺石造釋迦如來三佛坐像}}}}}}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장안사 석조석가여래삼불좌상,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장안로(기장)|장안로]] 482 (장안리) || || '''{{{#fff 분류}}}''' || 불상 || || '''{{{#fff 수량}}}''' || 1불상 || || '''{{{#fff 지정연도}}}''' || 2014년 5월 8일 || || '''{{{#fff 제작시기}}}''' || [[조선시대]], 1659년 || ||<-2> [[파일:정부상징.svg|width=28]] '''[[대한민국의 보물|{{{#f39100 대한민국 보물 제1771호}}}]]''' || ||<-2> {{{#fff {{{+1 '''장안사 대웅전'''}}}[br]{{{-1 長安寺 大雄殿}}}}}}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장안사 대웅전,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장안로(기장)|장안로]] 482 (장안리) || || '''{{{#fff 분류}}}''' || 사찰건축 || || '''{{{#fff 수량}}}''' || 1동 || || '''{{{#fff 지정연도}}}''' || 2012년 7월 30일 || || '''{{{#fff 제작시기}}}''' || [[신라시대]], 673년 / 1654년 증건 || [목차] {{{+1 長安寺 / Jangansa (Temple) }}} == 개요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장안리에 위치한 [[절(불교)|절]]. [[불광산]] 자락에 있다. == 역사 == 673년(신라 [[문무왕]] 13) [[원효대사]]가 창건하여 쌍계사라 부르다가 809년 장안사로 고쳐 불렀다. 1592년([[선조(조선)|선조]] 25) [[임진왜란]] 때 모두 불에 탄 것을 1631년([[인조]] 8) 의월대사가 중창하고, 1638년(인조 16) 태의대사가 중건하였다. 1654년(효종 5) 원정·학능·충묵이 대웅전을 중건하고, 1948년에는 각현이 대웅전과 부속 건물을 중수했으며 1987년 종각을 세우고 요사를 중창하여 오늘에 이른다. == 현황 == 현재 [[대한민국의 보물|보물]] 제1771호로 지정된 [[대웅전]]을 비롯하여 명보전 이 지방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이 밖에 많은 전각(殿閣), 요사, 암자(庵子), 누(樓), 문 등이 있다. 여담이지만 불광산 위에 척판암이 있다. == 교통 == 장안사 입구에서 내려서 [[장안로(기장)|장안로]]를 따라서 걸어가야 한다. [[부산 버스 기장9|기장9번]] 밖에 없다.[* [[동남권원자력의학원]]에서 내려서 갈아타도 된다.] 그 외에 [[부산 버스 187|187번]], [[부산 버스 기장10|기장10번]]을 이용하여 [[장안초등학교]] 정류장에 하차하여 걸어갈 수 있지만 거리가 멀기때문에 기장9번을 이용하는 편이 낫다. == 기타 == * 매년마다 장안사 주차장에서 반딧불이 축제를 연다. 가끔 꿀 행사도 한다. * 장안사 옆에 대나무 숲이 있다. * 여름이면 장안사 주차장에 있는 장안사 계곡에는 사람이 많다. * 장안사 입구에는 맛집이 많다. [[분류:한국의 절]][[분류:기장군]][[분류:대한민국의 보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