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04a8b> {{{#fff {{{+2 '''장보고대교'''}}}[br]張保皐大橋 | Jangbogo (Way Bridge)}}} || || {{{-1 {{{#555,#aaa [[고금면]] 상정리[br]{{{#555,#aaa 고금면}}} 방면}}}}}} ||<-2> {{{-1 {{{#fff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77)][br]{{{#fff 국도 77호선}}}}}}}}} || [[신지면]] 송곡리[br]{{{-1 {{{#555,#aaa {{{#555,#aaa 완도읍}}} 방면}}}}}} || ||<-3><#004a8b> {{{#fff ◀ [[고금1로|{{{#fff '''고금1로'''}}}]] }}} ||<-1><#004a8b> {{{#fff [[완도로|{{{#fff '''완도로'''}}}]] ▶ }}} || ||<-4>{{{#!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장보고대교, 너비=100%, 높이=225)]}}} || ||<-4><#c0c0c0,#3f3f3f> '''다른 문자 표기''' || ||<-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간체자 || 张保皋大桥 ||}}}}}}}}} || ||<-4><#c0c0c0,#3f3f3f> '''위치''' || ||<-4> [[전라남도]] [[완도군]] [[고금면]] 상정리 (북단) || ||<-4> [[전라남도]] [[완도군]] [[신지면]] 송곡리 (남단) || ||<-4><#c0c0c0,#3f3f3f> '''개통''' || ||<-4> [[2017년]] [[11월 28일]] || ||<-2> '''시공''' ||<-2> '''관리''' || ||<-2> [[코오롱글로벌|[[파일:코오롱글로벌 로고.svg|width=100]]]] ||<-2> [[익산지방국토관리청]] || ||<-4><#c0c0c0,#3f3f3f> '''길이 / 폭''' || ||<-4> 길이 1,305m, 폭 14,65m(왕복 3차선) || ||<-4> '''구조형식''' || ||<-4> 강상형 [[사장교]][br](steel cable-stayed bridge) || [[파일:장보고대교.jpg|width=450]] [clearfix] [목차] == 개요 == [[전라남도]] [[완도군]] 신지면과 고금면을 잇는 길이 4,297m[* 교량구간 1.305m], 폭 14,65m(왕복 3차로)의 [[77번 국도]]의 다리 중 하나이다. [[2010년]] 12월에 착공해 [[2017년]] 11월에 완공하였다. 가칭으로 '''청해대교'''(淸海大橋)라 불리기도 했다. == 특징 == 장보고대교의 개통전에는 [[고금도]]와 [[조약도]]에서 [[완도]] 본섬에 있는 완도읍으로 갈 때 배를 타고 왔어야 했다. 육로로 올 수는 있지만 [[강진군]], [[해남군]]을 거쳐서 가야하기 때문에 오히려 돌아서 가야했다. 하지만 장보고대교 개통으로 [[고금도]]와 [[조약도]]에서 완도읍에 가기가 편해졌으며, 또한 [[신지도]]에서 [[광주광역시|광주]]와 [[강진군|강진]]으로 갈 때 [[신지대교]]로 통해서 [[완도]] 본섬과 [[해남군]]을 거치지 않고 바로 장보고대교로 통해 갈 수 있게 되었다. [[분류:남해의 교량]][[분류:2017년 건설]][[분류:77번 국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