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張猛 (163?~210)[* 몰년은 전략 기준에 따른다.] [[삼국시대(중국)|삼국시대]]의 인물이며 자는 숙위(叔威)로 [[장환]]의 삼남이자 막내 아들, [[장지#s-2]], [[장창(후한)|장창]]의 동생. == 생애 == 옹주 [[돈황]]군 출신으로 그의 아버지 장환이 무위태수로 임명되었을 때[* 장환은 163년에 무위태수로 임명되므로 163년 전후 출생.] 장맹은 뱃속에 있었는데, 그 때 장환의 인수를 가지고 누각에 올라서 노래를 부르는 꿈을 꾼다. 이 일을 기이하게 생각한 장환이 점술가에 묻자 >부인은 사내아이를 출산하게 될 것입니다. 이 아이는 다시금 이곳으로 돌아와 필시 관직에 있는 채로 죽게 될 것입니다. 라는 예언을 남긴다. 건안 연간[* 196 ~ 220년이다.]의 초엽 장맹은 군에서 천거되어 공조가 되었는데, 이 때 그는 황하 서안의 네 개 군은 양주의 역소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음을 이유로 삼아 별도의 주를 설치하도록 상서한다. 그리하여 [[한단상]]이 이 네 개 군을 통치하는 옹주자사가 되는데, 그 때 공석이었던 무위태수의 보직에는 황하 서안에서 이름을 떨친 장환의 이름을 생각해서 장맹을 조칙으로 보임해 같이 이동하게 된다. 그런데 이 장맹과 한단상은 같은 나이로 어릴 때는 서로 깔보던 사이였는데, 함께 관직에 올라 같이 임지로 떠나게 되자 가는 도중에 점점 더 서로를 미워하게 된다. 임지에 도착하자 한단상은 곧바로 장맹을 죽이려는 계획을 세우지만 장맹은 반대로 그 계획을 알아채고 한단상을 공격한다. 장맹의 군사가 도착하자 두 사람의 정청은 서로 붙어있었기에 한단상은 지붕으로 올라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숙위여! 너는 나를 죽이려 하는 것이냐? 허나 내가 죽더라도 귀신이 되어 너를 죽이고 말테다. 화해하자. 아직은 화해할 수 있지 않느냐? 이 말에 장맹은 그에게 내려오라고 한 다음에 그를 질책하고 한단상을 독우에게 넘겨 독우는 일단 한단상을 조사해서 청사에 구류했는데, 이후에 한단상이 도망치려고 하다가 발각되어 죽으니 이 해가 209년이다.[* 후한서 효헌황제기에는 206년 7월로 되어있다.] 그리고 장맹은 한단상을 위해 곡을 하는 자를 죽이겠다고 말하는데, [[방육]]이라는 자가 찾아와 곡소리를 내고 장맹을 죽이려고 든다. 장맹은 그가 의사임을 알고 >장맹은 자사를 죽여 죄악을 행했는데, 이 사람은 충성을 다해 공명을 날리는구나. 혹여 그를 죽인다면 어찌 주 내에 훌륭한 선비들을 포섭하겠는가! 라며 한단상의 상을 치르는 것을 허락한다. 이 때 [[황앙]]은 [[서읍]]을 살해하고 반란을 일으키는데, 장맹은 그런 황앙의 행위에 반대하는 [[양아약]]을 임시 도위로 삼아 격문을 내려 양풍이 서읍을 위해 복수하는 것을 허가한다. 그 후 [[한수(삼국지)|한수]]가 스스로 상주해 장맹을 공격하는데, 장맹은 군세를 동원해 동쪽 방면을 방비한다. 그런데 그 관리와 민중들이 한수를 두려워해 오히려 한수 편에 붙어서 장맹을 공격하니 그는 자신의 태몽에 대해 점쟁이가 한 말을 기억하며 >죽은 자에게 지각이 없다면 그걸로 끝이겠지. 혹여 지각이 있다고 하면 나는 머리를 화음이 있는 동쪽으로 향해 아버님의 묘소에 참배나 할까나? 그리고는 누각에 올라 스스로 불을 놓고 죽는다. [[분류:후한의 인물]][[분류:한나라의 관료]][[분류:중국의 자살한 인물]][[분류:화재로 죽은 인물]][[분류:163년 출생]][[분류:210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