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농림축산식품부장관)] || {{{#fff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박정희 정부의 국무위원(제4공화국))] ---- [include(틀:역대 경제수석비서관)] ---- [include(틀:대한축구협회의 역대 회장)] }}} || ||<-2> '''[[농림축산식품부|{{{#ffffff 대한민국 제30대 농수산부 장관}}}]][br]{{{+1 장덕진}}}[br]張德鎭 | Jang Deok-ji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장덕진 장관.jpg|width=100%]]}}} || ||<|2> '''출생''' ||[[1934년]] [[6월 27일]] || ||[[강원도]] [[춘천시|춘천군]]|| || '''사망''' ||[[2017년]] [[4월 20일]] (향년 82세) || || '''본관''' ||[[인동 장씨]]|| ||<|8> '''재임기간''' ||제3대 재무부 재정차관보 || ||[[1969년]] [[8월 19일]] ~ [[1971년]] [[1월 6일]] || ||제25대 농수산부 차관 || ||[[1973년]] [[8월 8일]] ~ [[1975년]] [[12월 23일]] || ||제8대 경제기획원 차관 || ||[[1975년]] [[12월 24일]] ~ [[1977년]] [[12월 20일]] || ||제30대 농수산부 장관 || ||[[1977년]] [[12월 20일]] ~ [[1978년]] [[12월 21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배우자''' ||홍은표 || || '''자녀''' ||슬하 2남 1녀 || || '''학력''' ||[[춘천고등학교]] {{{-2 ([[졸업]])}}}[br][[고려대학교 법과대학]] {{{-2 ([[법학]] / [[학사]])}}} || || '''의원 선수''' ||'''1''' || || '''의원 대수''' ||'''[[제8대 국회의원|8]]''' || || '''약력''' ||제10회 [[사법시험|고등고시 사법과]] 합격[br]제12회 [[행정고시|고등고시 행정과]] 제2부(재경) 합격[br]제13회 [[외교관후보자 선발시험|고등고시 행정과 제3부(외무)]] 합격[br]재무부 재정차관보[br]대한체육회 부회장[br]제8대 국회의원[br]농수산부 차관[br]제30대 농수산부 장관[br]경제과학심의위원회 상임의원[br]사회발전연구소 회장[br]농업진흥공사 이사장[br]경제정책자문회의 위원[br]대륙종합개발대표이사 회장[br]학교법인 고려중앙학원 이사[br]대한축구협회장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역사상 두 번째 고시 3과 합격자이자[* 그에 앞서 1958~59년 고등고시 사법과와 함께 고등고시 행정과 제1부(일반행정), 행정과 제2부(재무)의 총 3과를 합격한 [[신오철]] 변호사가 있긴 했으나, 당시 고등고시 행정과 내의 일반행정과 재무는 직렬이 비슷했고, 현재의 시점에서 고시 3과 합격은 사법, 행정, 외무로 굳어졌기 때문에 신오철은 흔히 생각하는 이미지의 3과 합격은 아니다.], 최초로 [[트리플 크라운#s-12|고시 사법, 행정, 외무 3과를 합격]]한 공무원 출신 정치인. 제30대 [[농림축산식품부장관|농수산부장관]]과 제31-32대 대한축구협회장을 지냈다. == 생애 == === 초년시절 === 1934년 [[강원도]] [[춘천시|춘천군]]에서 태어났다. [[춘천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56년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에 입학하였다. 1960년부터 1962년에 걸쳐 고시 3과인 [[사법시험|고등고시 사법과]], [[행정고시|고등고시 행정과]] 제2부(일명 재무과), [[외교관후보자 선발시험|고등고시 행정과 제3부(일명 외무과)]]를 대한민국 최초로 모두 패스했다. [* 사법, 행정, 외무 중 하나가 빠지고 3과 합격을 달성한 최초의 인물은 사법과, 행정과 1부(일반행정), 행정과 2부(재무)에 합격한 [[신오철]] 변호사이며, 장덕진과 같은 시기에 사법과, 행정과와 함께 CPA(지금은 의미가 많이 줄어들었으나 당시 CPA 합격자 정원과 경쟁률을 고려하면 고시와 동급의 시험으로 인식되었다.)에 합격함으로써 고시 3과를 달성한 사람이 [[박찬종]] 전 의원이었다.] 1960년대 초반 고등고시 사법과 합격자 정원은 50명 정도로 거의 [[과거시험]]에 준하는 난이도를 자랑했기에 이것은 거의 기적이나 다름 없는 일로 받아들여졌다.[* "만약 대통령도 시험으로 될 수 있다면, 난 대통령도 자신 있다"는 말을 한 것으로 당시에 소문이 자자했으나, 그 소문은 사실이 아니었다고 한다.] [[기획재정부|재무부]]에서 관료생활을 시작했다. === 관료/정치인/축구인 시절 === 1969년 재무부 이재국장으로 재임하면서 [[대한축구협회]] 이사직을 겸했다.[* 당시 그는 재무부 이재국에 팀을 만들어 4년 동안 공격수로 활약하기도 했다. 골프보다도 축구를 더 좋아했다고 한다.] 1969년 당시만 하더라도 축구선수들은 실업팀이 없어 먹고 살기 막막한 상황이었는데,[* 소속팀이 없으니 월급을 받을 곳도 없고 지금처럼 선수들이 좋은 경기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만 집중할 수 없던 때였다. 그저 군 팀에서 뛰거나 대표팀 발탁만을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었다.] 직접 발벗고 나서서 1969년 3월 조흥은행과 산업은행, 신탁은행, 제일은행 축구팀 등을 연이어 창단하였다. 무려 9개의 금융단 축구팀이 생기면서 약 2백여 명의 선수들이 일자리를 얻을 수 있었다.[* 이 팀들은 1983년 프로축구가 출범하기 전까지 한국 축구를 이끄는데 혁혁한 공을 세웠다.] 1969년에는 재무부 재정차관보로 승진하였다. 재무부 사무관으로 들어온 후 7년만에 이재국장을 거쳐 재정차관보까지 승진한 셈이다. 1970년 대한축구협회장이 되어 한 달만에 축구발전기금 1억 원을 모았다.[* 그때까지 생계가 어려울 정도로 궁핍한 생활을 하던 축구인들에게 1억 원은 정말 어마어마한 돈이었다. 그가 정말 1억 원을 모아오자 모두들 놀랐다고 한다.] [[한국 축구 국가대표팀]] 상비군으로 1진 ‘청룡’과 2진 ‘백호’를 구성했다. 한국 축구 역사상 최초로 외국인 코치도 초빙하고, 국가대표 상비군 전용 숙소를 건설해 대표팀 경기력 향상에 집중했다.[* 그때 시작된 국가대표 상비군 제도는 1990년대까지 이어져 대표팀 경기력 향상의 뿌리가 됐다.] 대표 선수들에게 상해[[보험]]을 들게 하여, 대표팀 상비군과 청소년 대표 53명이 동방해상 보험회사와 상해보험계약을 체결했다. 이는 한국 스포츠 사상 처음 있는 일이었다. 축구 원로 중 생계가 어려운 이들을 돕기 위해 ‘축구인원호연금제’를 실시했다. 1년에 12만 원씩 세 명에게 36만 원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점차 그 대상과 지급액을 확대하였다. 그리고 1970년 4월에는 ‘월간축구’를 발행했다.[* 지금의 ‘[[베스트 일레븐]]’이라는 축구 전문 잡지다. 1996년에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1970년 한 해 동안 무려 368개 초등학교 축구팀이 생기고 마을 단위로는 321개 팀이 생겨났다. 주말 축구교실도 28개 학교에서 시행하기 시작했다. 당시 한 일본 축구 기자는 그의 모습을 보고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일본은 크라머 코치의 충고를 보수적인 협회가 받아들이지 않아서 큰 문제다. 하지만 한국은 젊은 협회장이 신진대사 역할을 확실히 하고 있다. 부럽다.” 그 후 [[아시아 축구 연맹]](AFC) 부회장에 선출되면서 아시아 전체가 주목하는 인물이 되었다. 그가 취임하자 마자 축구 국가대표 상비군은 1970년 [[메르데카컵]] 우승, [[킹스컵]] 우승, [[아시안 게임]] 금메달[*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역사상 최초의 금메달이었다.] 등의 성과를 달성했다. 1971년에는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를 처음으로 개최하였다.[* ‘[[박스컵]]’이라고도 불리었다. 1975년까지는 아시아 국가만이 참가하는 대회였지만 1975년부터는 브라질 주리그 대표들도 대회에 나서는 등 규모는 점차 커졌다. 이 대회는 이후 ‘코리아컵’으로 이름을 바꿔 1999년까지 성대하게 열렸다.] 제1회 [[박스컵]]에서 한국은 [[버마]]와 공동 우승을 차지했다. [[파일:external/archive.today/671e47a2867d2094771bcd8e88ad61135a2b01e3.jpg]] 1971년에는 정계로 진출하여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 뛰어들었다. 민주공화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갑 지역구[* [[신민당(1967년)|신민당]] [[총재]] [[유진산]]의 지역구였는데, 유진산이 후보등록 마감 날에 돌연 지역구를 포기하고 전국구 1번으로 등록하면서 [[진산 파동]]이 일어났다. ]에 출마하여 신민당 [[박정훈(정치인)|박정훈]] 후보를 꺾고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당시 서울에서 당선된 유일한 여당 국회의원이었다. 국회의원이 된 후, 1972년 10월 국회에서 국민체육진흥기금법을 입법화시키는 데 성공하고 국민체육진흥재단 설립도 이뤄냈다. 국민체육진흥기금은 선수와 지도자를 발굴하고 키우는데 쓰이기 시작했고 은퇴한 경기인의 생활 보조금으로도 지급됐다. 1973년 8월 농수산부(현 [[농림축산식품부]]) 차관 , 1975년 12월 경제기획원 차관에 임명되었고 1977년 12월부터 1978년 12월까지는 농수산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겨우 44세의 젊은 나이에 장관이 된 것이다. === 고구려/발해 고토 개발사업 === 1979년 [[10.26|박정희 전 대통령이 서거한 이후]] 한동안 야인생활을 하다가, 1984년부터 [[농업진흥공사]] 이사장을 역임했다. 1985년부터 1989년까지는 [[고려대학교 교우회]]장직도 함께 맡았다. 교우회장으로서 워낙 억척이었기 때문에, [[김준엽]] 고대 총장에게서 '미스터 고려대학교'라는 별명을 얻었다. 1988년 중국 [[등소평]]의 아들 등업방과 만나 만주 삼강평원 일대[* 헤이룽장성 동부에 위치한 우수리강, [[송화강]], [[흑룡강]]이 만나는 지역을 말한다. 원래 이곳은 척박한 습지로 이루어져 농경에 부적합한 황무지였기에 중국에서 거대한 북쪽 황무지라는 뜻에서 ‘북대황(北大荒)’이라고도 불렸으며 1950년대말 마오쩌둥이 수십만 명의 인민해방군을 동원하여 개간에 성공, 중국에서 손꼽히는 곡창지대가 되었다.]에 대규모 농장을 만들기로 하고, 옛 [[고구려]], [[발해]]의 고토를 재개발하기 위한 작업에 착수하였다. 그리하여 1988년 12월에는 중국 헤이룽장성 정부와 삼강평원 개발 관련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당시 중국은 미수교국이었으므로, 한국의 공기업이 중국의 토지를 개발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결국 장덕진은 [[농업진흥공사]] 이사장 자리에서 물러나 1990년 1월 대륙종합개발을 설립하였고, 오로지 삼강평원의 개발에 자기 모든 것을 걸기 시작했다. 개인 자격으로 헤이룽장성 정부와 각각 31억 1647만 원씩을 출자해 현지법인을 설립하고, 중국 [[하얼빈]]시 삼강평원 일대 3만8000㏊를 임대하여 개발하기 시작한 것이다.[* 계약기간은 40년에, 연간 1140만 원(당시 환율 기준)의 토지임대료를 내는 파격적인 조건이었다.] 1991년 중국 국가계획위원회와 [[한국은행]]은 대륙개발의 삼강평원 개발 투자를 승인했다. 그러나 토지에서 물이 잘 빠지지 않아 추가로 대수로를 만들어야 하게 되는 등 개발사업은 매년 어려움을 겪었다. 거기에다 1996년 [[우루과이]] 라운드 협상의 결과로 대한민국의 쌀시장이 개방되고 미국 등지의 값싼 쌀이 우리나라에 밀려들어올 것으로 예상되자, 삼강평원개발의 경제성이 의문시되었다. 당시 대학교수들은 삼강평원 땅이 동토(凍土)라면서 한여름에도 30cm만 파면 얼음이 나온다고 일본 고문서까지 동원하여 삼강평원개발에 반대하였다. 결국 당시 대통령이던 [[김영삼]]은 삼강평원 개발을 위한 [[한국수출입은행]]의 2200만 달러 대출을 중단시켰다. 거기에 [[1997년 외환 위기]]까지 닥침으로써 삼강평원 개발을 위해 자신의 전 재산과 열정과 노력을 투입하고 있던 장덕진의 꿈은 좌절되었고, 장덕진은 무려 210억 원의 부채를 짊어진 채 폐인이 되고 말았다. --소년등과(少年登科)의 저주란 말인가?--[* 송나라 때 학자 정이(程頤)는 누구나 행복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오히려 불행일 수 있다며 인간의 세 가지 불행을 지적하고 있다. 첫 번째 불행은 소년등과(少年登科)인데, 어린 시절 너무 빨리 과거에 급제하여 일찍 출세를 하면 교만해지고, 나머지 평생이 내리막길이 되기 쉬워 불행할 수밖에 없음을 의미한다. 두 번째 불행은 석부형제지세(席父兄弟之勢), 즉 위세가 대단한 부모 형제를 만나서 그 권세를 끼고 사는 것인데, 이것도 자기가 아무리 노력해봤자 남들에게서 낙하산이라고 손가락질을 받기 쉬운 데다, 평생 부모 형제와 비교 당할 수밖에 없어 불행할 수밖에 없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세 번째 불행은 유고재능문장(有高才能文章)인데, 뛰어난 재주와 문장력을 가지면, 그 재주와 능력을 믿고 글을 잘못 써서 만인의 지탄을 받고 패가망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말년 === 2005년 [[대한축구협회]]는 ‘명예의 전당’을 만들면서 장덕진을 가장 먼저 그 후보로 올려 놓았다. 하지만 선정위원회의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음에도 장덕진은 이를 고사했다. 결국 장덕진을 제외하고 [[김용식(축구인)|김용식]], 홍덕영, 김화집, [[이회택]], [[차범근]], [[거스 히딩크]], [[정몽준]] 등 7명만이 ‘명예의 전당’에 이름을 올렸다. == 가족관계 == [[육영수]] 여사의 언니인 육인순의 첫째 사위, 즉 박정희의 처조카사위이다. [[홍종욱]] 전 국회의원의 조카사위(그러니까 홍종욱이 장덕진에게 처삼촌)이기도 하다. 그의 손아랫동서는 [[한승수]] 전 국무총리, [[윤석민(1938)|윤석민]] 전 대한선주 회장[* 윤석민은 장덕진의 [[고려대학교/학부/법과대학|고대법대]] 4년 후배이다.]이고, 처남은 홍세표 [[외환은행]]장이다.[* 육인순의 맏사위 장덕진과 둘째 사위 한승수, 그리고 장남 홍세표 셋 다 [[춘천고등학교]]를 나왔다. 홍세표는 장덕진의 춘천고-고려대 1년 후배이며, 나중에 한미은행장과 외환은행장을 역임했다. 한승수는 장덕진의 춘천고 2년 후배이다.] [[TV조선]] 경제산업부장(부국장)인 장원준(1967년생)이 그의 아들이다. 장원준은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조선일보]] 기자로 입사하였으며, 그의 아내는 [[SBS]] 선임[[기자]] [[한수진(기자)|한수진]]이다. 또한 전 3선 의원이자 20대 국회 후반기 보건복지위원장을 맡은 [[김세연(정치인)|김세연]] 전 의원은 그의 처조카사위이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1971 || [[제8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16선거구) || [include(틀:민주공화당)] || '''74,617 (57%)''' || '''당선 (1위)''' || '''초선''' [* 영등포구 갑] || == 둘러보기 == [include(틀:제8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장덕진, version=9)] [[분류:1934년 출생]][[분류:2017년 사망]][[분류:춘천시 출신 인물]][[분류:제8대 국회의원]][[분류:민주공화당(1963년) 국회의원]][[분류:춘천고등학교 출신]][[분류:고려대학교 출신]][[분류:박정희 정부/인사]][[분류:위기관리정부/인사]][[분류:농수산부 장관]][[분류:축구행정가]][[분류:대한민국의 법조인]][[분류:5급 공개경쟁채용시험 출신/전신]][[분류:외교관후보자 선발시험 출신]][[분류:박정희 가문]][[분류:경제수석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