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youtube(FXMsSm3OuFw)] わんぱく王子の大蛇退治 [[토에이 애니메이션]]에서 1963년 3월 24일 개봉한 극장판 영화 애니메이션. 감독 [[세리카와 유고]]. 연출 보조 [[타카하타 이사오]], 야부키 키미오(矢吹公郎). 작화감독 [[모리 야스지]]. [[스사노오]]가 [[야마타노오로치]]를 퇴치하러 가는 일본 신화를 동화처럼 각색해서 만들었다. 제작비 7000만 엔. 총 스태프 180 명. 작화 매수 25만 장 [* 감이 안 오는 사람들에게 설명하자면, 그 유명한 [[AKIRA(1988)]]의 작화 매수가 이것의 '''60%''' 정도인 15만 장이다! 그리고 [[미야자키 하야오]]의 [[모노노케 히메]]조차도 14만 장을 썼는데 이것도 엄청나게 많이 쓴 것이다.] [* 25만 장의 그림이 들어간 애니메이션을 지금 돈으로 만든다면 70억 엔 이상의 제작비가 필요할 것이다.], 그림물감 1 톤이 사용된 희대의 애니메이션. 거의 24 풀프레임으로 움직이는 애니메이션으로 당시 일본의 인건비가 싸서 이 정도의 작품이 나올 수 있었다. 지금이라면 나올 수 없는 작품. 토에이 애니메이션의 정점에 달한 작품으로 꼽힌다. 지금 봐도 우수한 작품이다. 당시 토에이 애니메이션은 애니메이션은 대충 애니메이터가 그린 걸 모아서 짜맞추면 된다는 주먹구구 식으로 작품을 만들었는데 세리카와 유고는 그러면 안 된다면서 자신이 직접 작품 전체의 컨셉과 질을 관리하는 감독 일을 했고 사실상 일본 애니메이션의 감독 시스템이 이 작품부터 자리잡게 된다. [* 아주 최초는 아니고 그 전에도 총괄하는 사람이 있기는 했는데 방식이 확립되기 전이라 그때그때 하는 일이 달랐다.] 또한 작화 분량이 많아 전부 관리할 순 없었으므로 세리카와가 [[콘티]]를 그리고 타카하타 이사오와 야부키 키미오가 현장을 지휘하며 [[연출]] 보조를 하는 시스템도 여기서 정립되었다. 그리고 [[원화]]를 [[작화감독]]이 수정해서 그림체와 분위기를 통일시킨다는 작화감독 제도가 최초로 도입된 작품으로 [* 이 작품에선 원화감독이라고 하였다.] '''일본 애니메이션의 신''' [[모리 야스지]]가 작화감독을 맡았다. [[오오츠카 야스오]]가 원화를 그리고 [[츠키오카 사다오]]가 동화를 그려넣은 클라이막스 전투신은 원화 300컷, 동화 1만장이 사용되어 세계적으로 유명한 장면이다. 오오츠카 야스오는 자신의 인생 최고의 작화로 이 장면을 꼽으며 다시는 그릴 수 없다고 회고하였다. 세리카와 유고는 당시 본인이 콘티를 잘 그리지 못해서 대부분의 영상은 자신이나 스태프, 토에이의 배우를 불러서 한 번 리허설 연기를 해서 그걸 애니메이터에게 보여주고 이렇게 하라고 지시해서 만드는 연출을 했다고 한다. 불 지르는 장면을 연출할 때는 진짜 불장난을 벌여서 소방서에서 항의가 오고 난리가 났었다고. 그리고 작품을 만들던 중간에 세리카와 감독의 아이가 태어나자마자 죽었다고 한다. 중간에 정신이 이상해진 걸 [[모리 야스지]]가 격려해서 살려주었다고 한다. 이 작품은 마치 죽은 그 아이가 살아서 움직이는 것 같았고 그래서 더 집착하며 작품을 만들었다고 한다. 츠키오카 사다오 말로는 [[세리카와 유고]] 감독은 이 작품을 만들면서 너무 만들기 어려운 작화를 시킨다고 애니메이터들에게 엄청난 욕을 먹었다고 한다. 반성해서 이 작품 이후로는 그렇게 뛰어난 작화는 추구하지 않게 되었으며 연출에 집중하는 감독이 되었다고 한다. '''현대 일본 애니메이션의 제작 방식을 확립한 애니메이션'''이다. 이 작품 이후로 토에이 애니메이션의 애니메이션 제작 방식이 획기적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이 작품이 나온 1963년은 [[철완 아톰]], [[철인 28호]]도 제작되어 일본 애니메이션 사의 기념비적인 해로 기록되었다. 여성 애니메이터 [[오쿠야마 레이코]]가 원화로 참여했으며 오쿠야마 레이코를 모델로 한 드라마 [[나츠조라]]에 언급되기도 한다. 저작권 문제로 이름은 살짝 변경. [[카타부치 스나오]]는 이 작품을 보고 애니메이션 감독이 되겠다고 결심했다고 한다. 왜색이 짙어서 한국엔 한 번도 수입 및 방영되지 않아 인지도가 낮다. 2020년 2월 4K 화질로 복원되어 블루레이 박스가 발매되었다. [[세리카와 유고]] 감독은 이 작품의 OST를 종종 다른 작품에도 사용했다. [[젤다의 전설 시리즈]] 중 [[젤다의 전설 바람의 택트]]를 시작으로 하는 소위 “[[툰링크]]” 시리즈의 캐릭터 디자인이 이 작품의 캐릭터 디자인과 매우 비슷해, 이 애니메이션 제작에 참여했던 [[코타베 요이치]]가 닌텐도에 와서 툰링크를 디자인했다는 헛소문이 정설인 것처럼 여러 매체에 실리기도 했다. 실제로는 코타베 요이치는 바람의 택트 캐릭터 디자인에 참여한 적이 없다. [[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일본 신화/창작물]][[분류:1963년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