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장군의 영광)] [목차] == 개요 == [[장군의 영광]], 장군의 영광:태평양 전쟁에 나오는 주요 국가들의 군사 특징들과 시나리오나 군단모델에서의 비중들을 설명한다. == 연합국 == 해당 게임에서는 동맹국으로 나와있는데 당연히 번역오류(...)이다. 해당 주요 국가[* 기준은 시나리오에서 플레이어가 직접 플레이하는 국가]는 미국, 소련, 영국, 프랑스, 중화민국이고 기타 국가로는 그리스, 노르웨이, 네덜란드, 멕시코, 벨기에, 유고슬라비아, 캐나다, 폴란드, 호주가 있다. === 미국 === ==== 군 전력 ==== 천조국답게 전체적으로 공격력이 [[디폴트]][* 보병:1-6 돌격보병:1-7 장갑보병:1-7 대포:1-9 야포:1-10 로켓포:1-10 장갑차:2-7 경탱크:2-8 미디엄 탱크:3-8 헤비 탱크:3-9 구축함:2-9 잠수함: 순양함:3-6 전투함:2-11 경항모:2-8 항모:2-9] 보다 높은 편이다. 육군은 골고루 좋은 편이고 해군은 그냥 최강이다... ===== 보병 ===== 보병:1-'''7''' 돌격보병:'''2'''-'''8''' 장갑보병:'''2'''-'''8''' ===== 포병 ===== 대포:'''2'''-10 야포:'''2'''-'''12''' 로켓포:'''3'''-10 ===== 기갑병 ===== 장갑차:2-'''9''' 경탱크:'''3'''-8 [[스튜어트 전차]] 미디엄 탱크:3-'''9''' [[셔먼 전차]] 헤비 탱크:'''4'''-'''10''' [[M103 전차|M103]] --2차세계대전에?-- ===== 해군 ===== 구축함:'''3'''-'''10''' 잠수함:3-'''7''' 순양함:'''3'''-'''11''' 전투함:'''3'''-'''13''' 경함모:'''3'''-'''10''' 항모:'''3'''-'''11''' ==== 장군 ==== 자세한 내용은 [[장군의 영광/장군들]] 참고 육군, 해군, 공군 각각 유능한 장군들이 많다. 육군에선 능력치는 어중간하지만 ~~그리고 살 일도 없겠지만~~ 계급이 5성[* 계급이 [[원수(계급)|5성]]인 장군은 미국의 아이젠하워, 소련의 주코프, 독일의 괴링, 일본의 오사미 밖에 없다.]인 [[드와이트 아이젠하워|아이젠하워]], 보병과 공군 능력치가 좋은 [[더글러스 맥아더]], 탱크 4성[* 패튼, 롬멜, 구데리안, 바투틴밖에 없는!]에 빛나는 [[조지 패튼|패튼]], 보병과 기갑에 유능한 [[오마 브래들리|브래들리]], 보병에 유능한 [[마크 클라크|클라크]],탱크, 포병에 유능한 [[월튼 워커|워커]], 탱크와 공군 능력치가 좋은 [[매튜 리지웨이|리지웨이]][* 후속작 -태평양 전쟁- 한정]가 있다. ~~[[조지프 스틸웰|X맨]],[[제임스 밴 플리트|저평가 당한 분]]도 있다.~~ 해군에선 해군 4성에 빛나는 [[체스터 니미츠|니미츠]]와 [[프랭크 플레처|플레처]]. 이외에도 [[윌리엄 홀시|홀시]], [[레이먼드 스프루언스|스프루언스]], [[더글러스 맥아더|맥아더]](!!!)가 있다. 작 중 최강의 해군 라인업이다. 공군에선 공군 4성이자 미국 공군의 아버지인 [[헨리 아놀드|아놀드]]를 중심으로 [[체스터 니미츠|니미츠]], [[프랭크 플레처|플레처]], [[더글러스 맥아더|맥아더]], [[레이먼드 스프루언스|스프루언스]], 에이커 등등이 있다. ==== 시나리오, 군단모델 ==== === 소련 === ==== 군 전력 ==== 육군: 군사강국답게 강력하다. 보병이나 기갑병도 강력한 편인데 포병은 그냥 '''미쳤다.'''--화력덕후--[* 정말 화력덕후였다. [[화력덕후#s-5.1]] 참조] 해군: 해군은 나치 독일, 프랑스같은 육군 강국들보다도 약하다. 암울한 전력이지만 다행히도 게임상에서 해군을 쓸 일은 ('태평양 전쟁' 포함) 시나리오 '동부 전선' '중동 전쟁' 몇몇 군단모델 말고는 나올 일이 없기 때문에 별 상관없다. 다만 태평양 전쟁의 중동 전쟁 시나리오에서 해군을 써야 하는 몇몇 미션의 난이도는 극악이다. ===== 보병 ===== 보병:'''2'''-6 돌격보병:1-'''8''' 장갑보병:1-'''9'' ===== 포병 ===== 대포:1-'''12''' 야포:'''2'''-'''13''' 로켓포:'''3'''-'''11''' ===== 기갑병 ===== 장갑차:'''4'''-7 경탱크:2-'''9''' [[T-26]] 미디엄 탱크:'''4'''-'''9''' [[KV-1|KV-1 L-11]] 헤비 탱크:'''5'''-'''10''' [[T-34-85]] ===== 해군 ===== 구축함:'''3'''-9 잠수함:디폴트 순양함:'''3'''-10 전투함:디폴트 경항모:디폴트 항모:디폴트 ==== 장군 ==== 자세한 내용은 [[장군의 영광/장군들]] 참고 육군에 유능한 장군이 많고 해군, 공군 장군은 1명밖에 없다. 육군에서는 육군만능인 [[게오르기 주코프|주코프]] '''원수'''를 중심으로 강력한 소련포에다 배치하면 [[레일건]]이 되는 유일한 포병 4성 [[레오니트 고보로프|고보로프]],비교적 낮은 계급이라 체력보너스는 적지만 강력한 탱크 4성[* 패튼, 롬멜, 구데리안, 바투틴밖에 없는!]~~무과금러들의 희망~~ [[니콜라이 바투틴|바투틴]], 해당 작에선 2% 부족하지만 기동력이 상당히 좋은 보병 4성[* 또다른 보병 4성 장군은 쿠리바야시,리앙싱추][[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바실렙스키]], 계급 4성+탱크 3성 [[콘스탄틴 로코솝스키|로코솝스키]], 보병과 포병에 유능한 [[이반 코네프|코네프]], 계급이 높고(4성) 포병에 유능한 [[바실리 추이코프|추이코프]]가 있다. 대부분 기갑,포병에 유능한 장군들이다. ~~게다가 소련의 강력한 화력의 기갑,포병과 합치면....~~ 해군에서는 나올 일도 그다지 없고 약하기 때문에 3성 [[이반 이사코프|이사코프]]가 유일하다. 공군에서는 [[알렉산드르 노비코프|노비코프]]가 유일. ==== 시나리오, 군단모델 ==== === 영국 === ==== 군 전력 ==== 그저 그렇다. 육군: 공격력이 디폴트인건 없지만 특출나게 강력하진 않아 어중간하다. 해군: 미국과 일본 다음의 강력한 전력을 자랑한다. 순양함은 전함급의 공격력을 보여준다. ===== 보병 ===== 보병:1-'''7''' 돌격보병:'''2'''-7 장갑보병:1-'''8''' ===== 포병 ===== 대포:'''2'''-10 야포:'''2'''-11 로켓포:'''2'''-10 ===== 기갑병 ===== 장갑차:2-'''8''' 경탱크:'''3'''-8 미디엄 탱크:'''4'''-8 헤비 탱크:3-'''10''' ===== 해군 ===== 구축함:'''3'''-'''10''' 잠수함:'''4'''-6 순양함:'''3'''-'''12''' 전투함:'''3'''-'''12''' 경항모:'''3'''-'''9''' 항모:'''3'''-'''10''' ==== 장군 ==== 자세한 내용은 [[장군의 영광/장군들]] 참고. 어중간한 군전력에 비해 나름 괜찮은 장군들이 있다. 육군에서는 '''영국군의 에이스'''~~현질하면서 살 일은 영빠 말곤 없겠지만~~ [[버나드 몽고메리|몽고메리]]를 중심으로 포병에 유능한 [[해롤드 알렉산더|알렉산더]], 보병에 유능한 [[클로드 오킨렉|오킨렉]], 육군(보병,포병,탱크)계열 모두 2성인[* 좋게 말하면 올라운더 나쁘게 말하면 어중간] [[아치볼드 웨이블|웨이블]]이 있고 해군에서는 3성인 [[루이 마운트배튼|마운트배튼]] 공군에서는 3성인 [[찰스 포탈|포탈]],[[휴 다우딩|다우딩]] 2명이 있다. 장군을 살 입장에선 딱히 살 장군은 없지만 시나리오나 군단모델에서 아군으로 만나면 나름 괜찮은 지원군이 되고 적군으로 만나면 만만치 않은 상대가 된다. ~~결론은 어중간~~ ==== 시나리오, 군단모델 ==== === 중화민국[* 국민당+공산당 [[국공합작#s-3]] 참고] === ==== 군 전력 ==== 대부분이 알다시피 '''약하다'''(...) 그나마 상대가 육군이 비교적 약한 일제라 영향은 덜하지만 그래도 밀린다(...). 그나마 나은 점은 아래에서 후술하겠지만 장군들이 대부분 보병에 유능하다. 해군은 뭐... ===== 보병 ===== 보병:디폴트 돌격보병:디폴트 장갑보병:'''2'''-7 ===== 포병 ===== 대포:'''2'''-10 야포:'''2'''-11 로켓포:디폴트 ===== 기갑병 ===== 장갑차:2-'''8''' 경탱크:2-'''9''' 미디엄 탱크:디폴트 헤비 탱크:디폴트 ===== 해군 ===== 구축함:2-'''10''' 잠수함:디폴트 순양함:2-'''11''' 전투함:디폴트 경항모: 항모: ~~만들 기술은 있으려나...~~ ==== 장군 ==== 자세한 내용은 [[장군의 영광/장군들]] 참고. 해군이나 공군에 능력있는 장군은 ~~쓸일이 없어~~ 거의 없지만 육군에서는 특히 보병면에서는 유능한 장군이 많기 때문에 중화민국이 많이 등장할 '극동 전선'에선 나름 쓸만하다. ''참고로 국공합작의 중화민국이기 때문에 국민당,공산당 모두 포함된다.'' 계급만 높고 능력치는 애매한 [[리쭝런]], 보병 '''4성'''의 [[리앙상추]], 보병과 포병에 유능한 [[펑더화이]], 그밖에도 [[바이충시]], [[쉐웨]], [[쑨리런]], [[주더]], [[린뱌오]]라는 보병에 유능하면서(3성) 그밖에도 포병이나 탱크 능력치에도 2성 정도 있는 장군들이 있다. 그리고 중국 장군들 중 유일하게 공군 능력치가 있는(2성) 'Xu'가 있다. ==== 시나리오, 군단모델 ==== === 프랑스 === ==== 군 전력 ==== [[프랑스 침공|허무하게 털린]] 역사와는 달리 나름 강하다. 특히 야포, 탱크는 영국보다 강하다. ===== 보병 ===== 보병:'''2'''-6 돌격보병:'''2'''-7 장갑보병:1-'''8''' ===== 포병 ===== 대포:'''2'''-10 야포:1-'''12''' 로켓포:디폴트 ===== 기갑병 ===== 장갑차:2-'''8''' 경탱크:2-'''9''' 미디엄 탱크:'''4'''-'''9''' 헤비 탱크:'''4'''-'''10''' ===== 해군 ===== 구축함:디폴트 잠수함:'''4'''-6 순양함:'''3'''-10 전투함:디폴트 경항모: 항모:'''3'''-9 ==== 장군 ==== 나름 괜찮은 군전력에 비해 장군들 능력치는 영 좋지 못한다. ~~하지만 살 일도, 쓸 일도 없어 그다지 상관없다~~ 그나마 괜찮은 장군이라면 포병에 유능한 [[장 라트르 드 타시니|타시니]], 탱크에 유능한 [[막심 베이강|베이강]], 해군에 유능한 [[프랑수아 다를랑|다를랑]] 정도... [[샤를 드 골|드골]]도 있지만 탱크능력치만 좀 있을 뿐(2성)...... ==== 시나리오, 군단모델 ==== === 기타 국가들 === == 추축국 == 해당 게임에서는 축심국으로 나와있는데 당연히 번역오류(...)이다. 해당 주요 국가는 독일, 이탈리아, 일제이고 기타 국가로는 루마니아, 만주국, 불가리아, 스페인[* 실제에서는 중립국이었지만 해당 게임에서의 비중은 추축국이다.],태국, 핀란드가 있다. === 독일 === ==== 군 전력 ==== 2차 세계대전 당시 가장 강력했던 군답게 해당 게임에서도 가장 강력한 국가이다.~~해군은 제외하자~~ 육군은 '''최강'''. 보병, 포병, 기갑병 모두 최소, 최대 공격력이 디폴트보다 높다. 포병과 기갑병은 [[소련]]과 함께 2 TOP. 약점은 해군으로 소련과는 다르게 미국, 영국 같은 해군 강국과 싸워야 하기 때문에 가볍게 볼 약점은 아니다. 그나마 괜찮은 점이라면 본 게임[* 해군 공격력이 상향된 '태평양 전쟁'은 예외. 하지만 주요 전선이 아시아라서 나올일이 없다.]에서의 그다지 높지 않은 해군 공격력과 강력한 잠수함이다. ===== 보병 ===== 보병:'''2'''-'''7''' 돌격보병:'''2'''-'''8''' 장갑보병:'''2'''-'''8''' ===== 포병 ===== 대포:'''2'''-'''11''' 야포:'''2'''-'''12''' 로켓포:'''2'''-'''11''' ===== 기갑병 ===== 장갑차:'''4'''-'''8''' 경탱크:'''3'''-'''9''' [[3호 전차]]. 미디엄 탱크:'''4'''-'''10''' [[5호 전차 판터]]. 헤비 탱크:'''4'''-'''11''' [[6호 전차 티거]]. ===== 해군 ===== 구축함:'''3'''-9 잠수함:'''4'''-'''8''' ~~잠수함은 원래 독일에서 개발해서 그나마 다른 나라 대비 상태가 괜찮으니 다른거 하나 뽑을바에 이거 두세개 뽑는게 낫다. 구축함은 육군으로 때려잡고 전함 항모는 잠수함으로 때려잡고~~ 순양함:2-'''11''' 전투함:2-'''12''' 경항모:'''나올 일이 없음'''[* 경항모는 '태평양 전쟁'에만 나오는데 해당 게임의 주요 무대는 아시아라서 나올 일이 없다.] 항모:디폴트~~과연 뽑을 일은 있을까~~ ==== 장군 ==== 자세한 내용은 [[장군의 영광/장군들]] 참고. 최강의 군 전력에 어울리게 장군진도 화려하다. 특히 기갑 장군은 소련과 함께 2 '''TOP''' 굳이 아쉬운 점이 있다면 해군 장군이 1명밖에 없다는 요소 정도?[* 하지만 본작에서는 해군의 비중이 그지 큰 편은 아니라서 영향은 크지 않은 편.] 육군:제일 눈에 띄는 요소는 기갑 장군진인데 '''기갑 4성'''인 [[에르빈 롬멜|롬멜]], [[하인츠 구데리안|구데리안]]을 중심으로 (계급 순으로) [[에리히 폰 만슈타인|만슈타인]][* 실제 전역의 활약들을 보면 기갑 4성도 아깝지 않겠지만 해당 작품에선 미묘한 능력치를 받았다. [[장군의 영광/장군들]] 참고], [[발터 모델|모델]], [[헤르만 호트|호트]] 이렇게 3성 장군들이 있다. 포병에서는 [[게르트 폰 룬트슈테트|룬트슈테트]], [[빌헬름 리터 폰 레프|레프]],[[요제프 디트리히|디트리히]] 이렇게 계급순으로 3성 장군들이 있다. 보병에서는 3성 [[페도르 폰 보크|보크]]가 있다. 해군:[[카를 되니츠|되니츠]]가 유일하다. 3성으로 ~~굳이 사겠다면~~ 성능이 좋은 독일 잠수함에 배치하면 유보트의 강력함을 느낄 수 있다. 공군:4성에 계급도 별5개 원수인 [[헤르만 괴링|괴링]]~~고증오류~~, 3성 [[로베르트 리터 폰 그라임|그라임]]이 있다. 이렇게 강력한 장군진을 가진 독일에도 아쉬운 부분이 있는데 [[에발트 폰 클라이스트|클라이스트]]와 [[귄터 폰 클루게|클루게]]의 실제의 활약과는 많이 다른 떨어지는 능력치. 아마 밸런스 유지를 위해 일부러 저렇게 준 것 같다. ==== 시나리오, 군단모델 ==== === 이탈리아 === ==== 군 전력 ==== 역시 [[이탈리아군의 졸전 기록#s-2.7|명성답게]] 약하다(...) 보병은 모두 디폴트이고 포병도 대포말고는 나머지는 디폴트이다(...). 그나마 나은 점이라면 디폴트 보단 나은 기갑병과 해군 정도(...). ===== 보병 ===== 보병:디폴트 돌격보병:디폴트 장갑보병:디폴트 (...) ===== 포병 ===== 대포:1-'''11''' 야포:디폴트 로켓포:디폴트 ===== 기갑병 ===== 장갑차:'''3'''-7 경탱크:'''3'''-8 미디엄 탱크:3-'''9''' 헤비 탱크:디폴트 ===== 해군 ===== 구축함:2-'''10''' 잠수함:3-'''7''' 순양함:'''3'''-10 전투함:'''3'''-11 경항모:'''나올 일이 없음'''[* 독일과 동일한 이유] 항모:~~나올 일이 있어야 말이지~~ ==== 장군 ==== 자세한 내용은 [[장군의 영광/장군들]] 참고. 허접한 군 전력에 비해 썩 나쁜 편은 아니다. 물론 [[로돌포 그라치아니|그리차아니]]같은 계급만 높고 사실상 잉여인 장군이 있지만 기갑에 유능한 [[조반니 메세|메세]]와 포병에 유능한 [[피에트로 바돌리오|바돌리오]], 해군에 유능한 [[아르투로 리카르디|리카르디]]가 있다. ~~공군에 [[이탈로 발보|이분]] 있었으면 좋았을텐데... 최소 3성~~ ==== 시나리오, 군단모델 ==== === 일본 제국 === ==== 군 전력 ==== 육군: 보병은 ~~고증에 맞지 않게~~ 강한 편이지만 포병은 [[미국|주요 상대국]]에게는 밀리고 기갑 유닛은 고증을 따라 암울하다. 해군: 해군만큼은 [[미국|주요 상대국]]과 더불어 투탑이다. 게다가 일제가 본격적으로 등장하는 '태평양 전쟁'은 전작(장군의 영광)과는 다르게 해군 공격력이 대폭 상향돼서 해군이 많이 등장하는 시나리오에서는 육군의 단점을 커버하며 쉽게 플레이할 수 있다. ~~하지만 육군이 주력인 시나리오에서는...~~ ===== 보병 ===== 보병:'''3'''-6 돌격보병:'''3'''-7 장갑보병:'''3'''-7 ===== 포병 ===== 대포:1-'''11''' 야포:1-'''12''' 로켓포:디폴트 ===== 기갑병 ===== 장갑차:'''3'''-7 경탱크:'''3'''-8 미디엄 탱크:'''4'''-8 ~~치하따위를 모델로 한 미디움 탱크 능력치가 영국과 동일하다니 심각한 고증오류다!~~ 헤비 탱크:디폴트 ===== 해군 ===== 구축함:2-'''10''' 잠수함:'''4'''-'''7''' 순양함:'''3'''-'''11''' 전투함:'''4'''-'''12''' 경항모:'''4'''-'''9''' 항모:'''4'''-'''10''' ==== 장군 ==== 자세한 내용은 [[장군의 영광/장군들]] 참고. 후속작 태평양 전쟁의 주요국가 답게 장군진이 많은 편이다. 주로 육군은 보병에 유능한 장군이 많으며 해군은 [[미국|주요 상대국]]에게 밀리지 않을 정도의 공격력과 더불어 유능한 장군이 많이 있다. 육군:대부분이 보병에 유능하다. '''보병 4성'''의 [[쿠리바야시 타다미치]]를 중심으로 맹장 [[야마시타 도모유키|야마시타]], [[오카무라 야스지|오카무라]], [[요코야마 이사무|요코야마]], [[아라키 사다오|아라키]]가 있다. 괜찮은 보병 대신 다른 육군 병종이 부실한데 포병진엔 3성이면서 계급 4성인 [[하타 슌로쿠|슌로쿠]]라는 유능한 장군이 있지만 이외의 최소 포병 3성 장군은 없다. 또 이 게임의 핵심 병종인 기갑은 더 안좋다. 그나마 3성인 [[이타가키 세이시로|세이시로]]가 있지만 영 좋지 않는 일제 탱크의 공격력과 비교적 낮은 계급[* 계급에 따라 장군 체력이 결정되는데 세이시로는 고작 대좌인지라 내구도가 약하다.]에 인해 탱커로 쓰기에는 애매하다. 해군:해군의 좋은 질과 함께 유능한 장군이 많다. '''해군 4성'''의 [[야마모토 이소로쿠|야마모토]]를 중심으로 3성 [[나가노 오사미|오사미]], [[나구모 주이치|나구모]], [[오자와 지사부로|지사부로]], [[이노우에 시게요시|시게요시]]가 있다. 공군:'''공군 4성'''이자 계급 5성(원수!)인 [[나가노 오사미|오사미]]를 중심으로 3성인 [[야마모토 이소로쿠|야마모토]], [[나구모 주이치|나구모]], [[오자와 지사부로|지사부로]]가 있다. 일제의 강력한 경항모, 항모에 장착하면 상당한 효과를 누릴 수 있다. ==== 시나리오,군단모델 ==== === 기타 국가들 === [[분류:장군의 영광 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