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장 그레미용}}}[br]Jean Grémillon'''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jeanGremillon.jpg|width=100%]]}}}|| ||<|2> '''출생''' ||[[1901년]] [[10월 3일]]|| ||[[프랑스]] 바스노르망디 바이외|| || '''사망''' ||[[1959년]] [[11월 25일]] (향년 58세)||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목차] [clearfix] == 개요 == [[프랑스]]의 [[영화 감독]]. 1920년대 [[프랑스]]의 시네클럽 운동에서 시작해 전위예술과 형식주의, 그리고 1930년대 시적 리얼리즘 운동의 기수이자 [[시네마테크]] 프랑세즈의 관장을 역임하였다.[*인용 [[http://www.cinematheque.seoul.kr/rgboard/addon.php?file=programdb.php&md=read&no=871&PHPSESSID=ac58bb0b6fbe571eb4de13451e7ecd12|서울아트시네마 "여름의 빛" 프로그램 설명]]] 시적 리얼리즘을 이끈 감독답게, 기계적인 자연주의를 거부하고 "인간의 눈이 직접적으로 인지하지 못하지만 사물과 존재 사이의 조화, 미지의 관계를 확립함으로써 보여져야 하는 그 미묘한 점의 발견. 이것이야말로 우리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우리의 마음을 매혹시키는 생생하고 무한한 이미지의 원천이다."라는 의견을 남기며, 사실주의에 기반하면서도 이미지와 심리 묘사 간의 결합을 추구했다. [[https://web.archive.org/web/20070927035317/http://www.facets.org/asticat?function=web&catname=facets&web=cinematheque&path=%2Farchive%2Foct2002%2Ffilmsofjeangremillon|출처]] 당시 시적 리얼리즘으로 활동했던 프랑스 감독 중에서는 대중적인 성공을 누렸고 [* '창공은 당신의 것'은 [[비시 정부]] 시절 히트작이었다고 한다. 다만 히트와 별개로 그레미용 본인은 반파시스트에 가까워서 전쟁 이후 프랑스 파리 코뮌, 스페인 전쟁에 대한 영화를 기획했다고 한다.], 누벨바그 세대에게 호의적인 평가를 받았지만 반대로 해외 인지도는 상당히 미묘한 축에 속한다. 당시 기준으로도 이른 나이에 타계한데다 대부분의 장편 영화들이 한동안 유실되었다는 점 때문으로 보인다. [* 다른 영화들은 1970년대 중반 복원되었으나 '등대지기' 은 영화는 프랑스에도 필름이 남아있지 않아 일본에서 필름을 공수해서 상영해야 할 정도였다.] 그나마 최근에서야 디지털 복원 등으로 보기 쉬워지면서 재발굴 되는 추세. [[스트로브-위예]] 중 스트로브가 그레미용 팬으로 알려져 있으며 [[하마구치 류스케]]가 [[아사코(영화)|아사코]]에 대해서 [[장 그레미용]]의 [[폭풍우]]와 닮은 점이 있다고 [[카예 뒤 시네마]] 인터뷰에서 밝힌 적이 있다. [[https://overlookhotel2016.blogspot.com/2019/02/traduction-2019-1_23.html|출처]] == 필모그래피 == || '''{{{#white 연도}}}''' ||'''{{{#white 제목}}}''' ||'''{{{#white 비고}}}''' || || [[1928년|1928]] ||'''Maldone''' ||장편, 무성영화 || || [[1929년|1929]] ||'''등대지기(Gardiens de phare)''' ||장편, 무성영화 || || [[1930년|1930]] ||'''La Petite Lise''' ||장편 || || [[1931년|1931]] ||'''다이나(Daïnah la métisse)''' ||장편, 무성영화 || || [[1937년|1937]] ||'''애욕(Gueule d'amour)''' ||장편 || || [[1941년|1941]] ||'''폭풍우(Remorques)''' ||장편 || || [[1943년|1943]] ||'''여름의 빛(Lumière d)''' ||장편 || || [[1944년|1944]] ||'''창공은 당신의 것(Le ciel est à vous)''' ||장편 || || [[1949년|1949]] ||'''하얀 발톱(Pattes blanches)''' ||장편 || || [[1953년|1953]] ||'''여인의 사랑(L'Amour d'une femme)''' ||장편 || [[분류:프랑스 영화 감독]][[분류:칼바도스 출신 인물]][[분류:1901년 출생]][[분류:1959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