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대전 액션 게임]], 특히 2D 대전액션게임에서 상대방을 붙잡아서 공격하는 필살기인 [[커맨드 잡기]][* KOF 한정으로 근접 시에만 사용 가능한 가드 불능 타격기, 즉 [[타격 잡기]]로 불리는 기술을 주력으로 삼기도 한다. 최근 나오는 시리즈들은 이러한 기술을 전부 [[커맨드 잡기]]로 바꾸는 추세.]]를 중심으로 게임을 이끌어나가는 캐릭터를 통칭하는 용어. 영어로는 [[그래플러|grappler]]라고 한다. '근접 시 ←나 → + C 나 D' 커맨드 같은 [[기본잡기]]는 전 캐릭터 공용이므로 해당 사항이 없으나, 일부 잡기 캐릭터는 특정 기본 잡기가 강한 케이스가 간혹 있긴 있으며, 심지어 커맨드 잡기도 없는 주제에 공격 패턴상 기본 잡기를 자주 쓰는 캐릭터가 농담삼아 잡기 캐릭터로 불리기도 한다. 전제 조건은 [[커맨드 잡기]]형 필살기, 특히 [[1프레임 잡기]]를 보유하고 있어야 하며 그에 반해 [[파동승룡]]이나 적극적인 타격 러시같은 여타 전법이 불가능한 경우, 즉 주력 커맨드 잡기 기술을 제거하면 별 특징 없는 견제형 기술 위주만 남거나 심하면 기본기만 남아서 운영에 심각한 차질이 생기는 경우를 의미한다. 그래서 3D 격투게임은 2D 격투게임과 잡기 캐릭터의 의미가 약간 다르다. 이런 캐릭터는 커맨드 잡기를 이용한 패턴, 잡기를 전제로 한 심리전이 절대적으로 주력이 된다. 예를 들면 KOF의 [[랄프 존스]]는 [[KOF XI]]까지는 기본기 성능도 상급이고 공격력도 우수하지만 타격 견제형 잡기 캐릭터로 분류되는데, 단 하나 뿐인 커맨드 잡기 [[슈퍼 아르헨틴 백 브레이커]]가 없으면 그 우수한 기본기와 콤보를 반도 못 살리기 때문. 커맨드 잡기가 사라진 XII부터는 온전히 타격계 러시 캐릭터로 분류되기 시작했다. 다만 게임이 발전하면서 대전 양상이 복잡해지며 한 가지 전법만으로는 운영하기 힘들어졌기에, 그에 따라 상당한 성능을 가진 돌격기나 견제기를 주는 대신 커맨드 잡기의 성능은 약화시키면서 어느 정도 선택지를 주게 되는 한편, 잡기 캐릭터가 아닌 캐릭터에게도 양념 격으로 커맨드 잡기 기술을 주면서 점점 경계가 옅어지고 있다. 반면 아래 [[볼프강 크라우저]]처럼 [[장풍]]이 추가되면 사실상 잡기 캐릭터를 넘어선 무언가로 치급되기 때문에 장풍기만큼은 잡기 캐릭터에게 거의 금기시되고 있다. 일반적인 스크롤식 액션 게임이나 액션 어드벤처류에도 기술이 잡기 위주인 경우 잡기 캐릭터로 칭한다. 이런 경우는 속도와 통상기가 느리지만 공격력과 잡기의 성능이 강한 경우가 일반적이다. [[파이널 파이트]] 계열의 [[마이크 해거]]라던지 [[닌자 베이스볼 배트맨]]의 로저, [[배틀 서킷]]의 [[에일리언 그린]] 등이 이러한 경우. 최근에는 대전 장르가 아닌 곳에서도, 격투 계열 캐릭터의 상위직업으로서 잡기 캐릭터가 존재한다. 상술한 [[유도]]나 [[레슬링]]의 컨셉에서 영감을 얻어 주로 상대를 바닥에 내리치는 모션이 많고, 이에 더해 충격파를 일으키거나 땅을 가르는 등 [[지진]]의 이미지를 차용하는 경우도 있다. 땅에 내리칠 때 화면이 흔들린다든지 하는 식으로 효과가 들어가기도 한다. 여러모로 일반 타격계 격투 직업과는 다른 특유의 또 다른 손맛을 제공하는 편. == 특징 == >The worst type playrs out there in fighting games are grappler players. Do not trust grapplers. You're gonna get grey hairs by playing grapplers. >'''격투게임 게이머 중 최악을 꼽자면 잡기 캐릭터 플레이어입니다.''' 잡기캐 하는 놈들을 믿지 마세요. 잡기 때문에 머리가 하얗게 샐 겁니다. > [[저스틴 웡]][* 정작 저스틴 웡은 잡기캐 플레이어의 머리를 하얗게 새게 만드는 니가와의 달인이라는 것이 함정(...). ~~하긴 이긴다고 무조건 좋아하라는 법도 없으니...~~ 게다가 [[길티기어 STRIVE]]에서는 자신도 잡기캐인 [[포템킨(길티기어)|포템킨]]을 쓰고 있다.] 캐릭터 설정상으로 [[레슬링]] 혹은 [[유도]] 유단자라는 설정이 있으며 대체로 근육이 우락부락한 인남캐들이 많다. 다만, 대공 잡기같은 부류는 스피드형 캐릭터가 은근히 많이 가지고있는 희귀한 케이스다. 고전 대전액션게임에서는 여캐가 하나둘 정도에 불과한 경우가 대부분이기도 하며 위의 이미지 때문에 여성 잡기 캐릭터는 거의 없었다. 격투 스타일이 레슬링이나 유도가 아니더라도 [[필살기]]에 [[프로레슬링]]이나 유도, [[주짓수]]의 기술을 모티브로 한 기술들이 엄청나게 들어가 있다. == 2D 격투게임의 경우 == 대부분 게임에서 커맨드 잡기형 기술, 특히 잡기 캐릭터의 커맨드 잡기는 대미지가 강하고 가드 불능에 딜레이가 짧은 데다가 상대를 한 번 눕혀놓으면 끝없는 심리전이 가능해 지므로 일단 근접하게 되면 일발 역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렇지만 잡기 커맨드가 말도 안되게 어렵다든가(대표적인 예로 레버 한 바퀴, 아니면 →←↓↑ + P 같은 것) 잡기 실패 후에는 반드시 실패 동작이 있어서 무방비 상태가 되기 때문에 중~고수들이 주로 쓰는 캐릭터가 되었다. 거기다가 대부분 움직임이 굼뜨고 반드시 '''근접해야만''' 대미지를 줄 수 있으므로 [[니가와]]에 약하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여기에 추가로 잡기 캐릭터 가운데에는 '''[[가드 대미지]]'''를 줄 수 없는 캐릭이 존재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캐릭터가 오리지널 장기에프 및 다이몬 고로. 이런 캐릭터들은 상대의 체력이 0도트가 남아도 가댐사가 불가능하기에 불안불안하기 그지없다. 그쯤 되면 상대방의 집중력이 엄청나게 올라가버리니까. 그렇기 때문에 잡기 캐릭터는 잡기 그 자체도 중요하지만 상대에 근접하기 위한 수단의 존재 여부가 중요하다. 빠른 이동기나 상대의 장풍을 뚫고 거리를 줄일 수 있는 기술이 있다면 수월해진다. SNK의 몇몇 잡기 캐릭터들은 움직임이 빠른 경우도 있는데, [[클락 스틸]], [[셸미]], [[바이스(KOF)|바이스]] 등등은 잡기 캐릭터 가운데서도 기동성이 가장 좋은 캐릭터. [[사무라이 스피리츠 제로 스페셜]]의 [[쿠사레게도]]는 잡기 캐릭터에게 강력한 [[이동기(대전액션게임)|이동기]]가 주어졌을 때, 어디까지 강해질 수 있는가 보여준 사례이다. 또 상대방의 견제를 뭉개기 위해 기본기 성능이 중요해지며 특히 잡기 캐릭터 대부분이 제대로 된 [[대공기]]까지 탑재한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지대공 기본기가 절실하다. 또한 굼뜨고, 덩치가 큰 전통적인 잡기 캐릭터의 경우 상대방의 견제나 혹은 역으로 들이대 올 때 대처할 방어능력이 절실하다. 대체로 잡기 캐릭터의 대가들은 가드가 굉장히 탄탄한 편. 그러나 [[KOF 98UM]]의 [[볼프강 크라우저]]는 커맨드 잡기가 초필살기까지 합쳐서 3개인 데다가, 제대로 된 대공기만 없을 뿐이지 장풍도 있고 왕장풍도 있고 타격기에 기습기에 반격기까지 갖춘 만능 캐릭터. 잘 부각은 안 되지만 동작의 EX 기스 또한 장풍기와 커맨드 잡기, 초필 커맨드 잡기를 모두 보유하고 있다. 잡기 캐릭터에게 왜 죽어도 장풍기만큼은 주려 하지 않는 이유를 보여주는 반면교사다. 잡기 캐릭터에 익숙하지 못한 경우와 다르게 익숙해져서 능숙하게 상대방에게 접근해서 잡을 수 있게 되면, 여기서 터져나오는 갖가지 심리전과 [[이지선다]]로 상대방을 제대로 [[관광]]보내줄 수 있게 된다. 덕분에 중~고수가 잡기 캐릭터 잡았을 때 운 나쁘면 커맨드 잡기에 이리저리 휘둘리다가 지옥으로 버터플라이하게 된다. 또한 잡기 위주 플레이 대신에 잡기를 의식시키면서 커맨드 잡기에 잡히지 않으려고 용을 쓰는 상대를 '''타격으로 때려잡는 플레이'''도 있다.[* 물론 기본기로는 가드 대미지를 줄 수 없어 마지막 1도트를 깎기가 힘들지만, 그럴 때 쓰라고 있는 게 잡기다.] 타 격투게임에 비해 잡기 캐릭터도 어느 정도의 기동성과 러시를 보장하는 [[더 킹 오브 파이터즈 시리즈]]의 잡기 캐릭터들은 의외로 명확한 구분법이 있는데, 잡기 초필살기를 2종류 이상 보유했거나, 모든 초필살기가 잡기 초필살기[* 초기작은 초필살기 갯수가 적어서 잡기캐들은 1종류만 있는 경우가 많았다.]인 캐릭터를 잡기 캐릭터라고 할 수 있는데, 해당 특징을 만족시키는 캐릭터들은 통념상의 잡기 캐릭터와 굉장히 일치한다. 예외라면 2003의 다이몬 고로 정도. 이러한 공식이 성립되는 이유는, 종류 수가 적고 임팩트가 강한 초필살기의 특성상, 자연스럽게 캐릭터성을 살리는 기술들이 초필살기로 설정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잡기 캐릭터의 초필살기는 잡기 기술 위주로 구성되는 것. [[KOF 02UM]]의 다이몬 고로와 같은 특이한 케이스가 아닌 이상 콤보 시스템이 발달한 게임일수록 잡기 캐릭터의 위상은 점점 나락으로 떨어진다. 특히 잡기 실패 모션이 있는 게임은 더 심해지는데 잡기 한 번 성공했을 때보다 실패했을 때 얻어터지는 대미지가 훨씬 커지기 때문. 물론 이걸 감안해 잡기 뒤에 간단한 콤보가 들어가는 경우도 있고, 아니면 잡기 다음에 지옥의 이지선다가 기다리고 있을 정도로 우선권을 크게 설정하던가, 아니면 데미지를 엄청나게 크게 설정하는 경우가 있다. 잡기 캐릭터의 공통된 약점은 긴 리치를 가진 캐릭터나 장풍 탑재 캐릭터다. KOF 시리즈는 의도적으로 [[파동승룡]]계를 약화시켜 놓아 공격적인 플레이가 되게 해놔서 해당 되는 캐릭터가 그리 많지는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사미야 아테나]]나 [[시이 켄수]] 같은 파동승룡 캐릭터는 잡기 캐릭터를 상대로 강하다. KOF 시리즈의 경우 장거한이 대표적인 잡기 캐릭터의 저승사자로 유명해 그 흉악하다는 98, 03의 [[다이몬 고로]]도 장거한 앞에서는 찌그러져야 한다. 자세한 내용은 [[장거한]] 참고. [[캡콤]]에서 만든 게임에는 '''잡기 캐릭터 = 약캐'''라는 공식이 불문율이다. 당장 [[스트리트 파이터 2]]에서도 전체 최약캐가 [[장기에프]]이다. 캡콤 격겜은 잡기 캐릭터의 천적인 니가와에 관대한 시스템으로 주어지기 때문. 그나마 [[장기에프]]가 4 시리즈에선 중위권 정도까진 올라갔었으나, 5에서 [[배니싱 플랫]]이 삭제되는 몰락을 겪으며 다시 약캐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반대로 러시 위주의 게임을 만드는 걸로 유명한 [[아크 시스템 웍스]]도 잡기 캐릭터에 그다지 친화적이지 않은 걸로 유명하다. 이쪽은 캡콤과는 반대로 다들 뛰고 날아다니는 와중에 대시, 공중대시 불가 등 기동력이 처참해서 공세를 쉽사리 가져오기가 어려워서 약캐를 전전하는 경우가 많다. 다만 캡콤과는 다르게 이쪽은 가끔 가다 잡기캐들이 강캐를 먹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으로 [[파스티바(그랑블루 판타지 Versus)|파스티바]]나 [[인조인간 16호(드래곤볼 파이터즈)|인조인간 16호]]가 상위 티어를 먹은 적이 있으며 너프된 현재도 약캐 소리는 안듣는 수준. 2D 격투게임계에서 꼽히는 전설적인 잡기 캐릭터 유저로 잡기 캐릭의 신 오오고쇼(KOF), 스트리트 파이터 3에서 '하야오'라는 휴고 유저가 신으로 불린다. 오오고쇼는 투극에서 잡기 캐릭터가 약체화된 KOF 02에서 쉘미, 클락을 엔트리에 넣어 우승한 적 있고, 하야오는 제자리 레버 두 바퀴 기가스를 자유자재로 사용한다.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4]]에 들어서는 [[스네이크 아이즈]]라는 장기에프 유저가 잡기 캐릭터 유저로 새로 떠올랐다. 이 사람은 '''[[조이패드]] 플레이어'''다. == 3D 격투게임의 경우 == 횡 시스템이 존재하는 3D 격투게임에선 장풍의 역할이 달라지거나 아예 없는 것처럼, 잡기 캐릭터의 구분도 상당히 다르다. [[커맨드 잡기]]는 오히려 대부분의 캐릭터가 하나 쯤은 다 들고 있기 때문에 그냥 커맨드 잡기 포함 모든 형태의 특수잡기 종류가 더 많으면서 캐릭터 운용 방식에 영향을 직접 끼치는 경우에 잡기 캐릭터로 분류된다. 다만 대표적인 3D 격투게임의 잡기 캐릭터인 [[철권 시리즈]]의 [[킹(철권)|킹]]을 보면, 분명 킹은 강력하고 우수한 타격기들을 많이 가지고 있다. 하지만 커맨드는 복잡하지만 발동이 빠르고 벽댐을 낼 경우 가공할 한방을 낼 수 있는 자이언트 스윙이나 샤이닝 위자드 등 강력한 커맨드 잡기를 다수 갖추고 있으며, 강력한 타격기들로 압박한 후 가드를 굳히게 만든 후 나오는 잡기 한방의 리턴이 강력한 캐릭임을 감안하면 생각보다는 2D 격투게임에서 말하는 잡기 캐릭터의 운용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걸 깨달을 수 있다. 대부분의 2D 격투게임과는 달리 잡기 기술 자체가 더 많음에도 쓰이는 빈도가 적고, 일반 타격기와 크게 다르게 쓰이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기준이 다르다. 또한 가드 데미지가 없거나 제한적이고, 잡기 풀기가 상대적으로 쉬워서 타격 기술과 잡기 기술을 교차 사용으로 활용하기 어렵다는 것도 작용한다. 그게 되거나 그걸 타 캐릭터들보다 훨씬 적극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캐릭터들만 해당된다.[* [[철권 시리즈]]의 [[백두산(철권)]]는 본인만의 특수 잡기가 2개 있지만 그 중 하나는 발동 조건의 제약이 너무 커서 못 쓰고, 나머지 하나는 매우 많이 쓰지만 이는 중단 타격기를 가드하지 못하게 하는 오히려 타격 기술을 강화하는 목적에 가깝다. [[밥(철권)]]은 한 술 더 떠서 공중콤보 시동기인 특수잡기 및 벽콤보시동기 스펙이 있는 기본잡기를 보유했지만 이는 우수한 기본기 사이에 기습적으로 쓰는 게 중요하며, 백두산과 마찬가지로 타격 기술을 강화시키는 목적이 더 크다. 둘 다 철권 내에서 잡기 캐릭터로 분류되지 않는다.] == 역사 == 초대 잡기 캐릭터는 스트리트 파이터 2의 [[장기에프]]. 일단 커맨드 잡기인 [[스크류 파일 드라이버]] 시전에 성공하면 절륜한 공격력을 자랑했으나, 대신 [[장풍]] 공격에 약하다는 약점도 이때부터 시작되었다. 잡기 캐릭터의 베이스를 제공한 캐릭터. 상대적으로 SNK 초창기는 캡콤보다 스피드와 압박을 중시하는 게임을 만들자는 풍조였기 때문에 잡기 캐릭터가 장기에프와 다르게 만들어졌다. 아랑전설 2의 [[야마다 쥬베이]] 같은 경우는 모으기형+장풍달린 잡기 캐릭터라는 특이한 분류. 이후 KOF에는 [[다이몬 고로]], [[클락 스틸]] 같은, 기본기로 압박하고 잡기로 끝내는 강캐도 나오곤 했다. 특히 SNK는 [[용호의 권]] 당시부터 [[잠열권]]과 [[환영각]]으로 대표되는 [[타격 잡기]] 개념이 있었기 때문에, 타격 잡기형 캐릭터가 많은 편이다.[* [[KOF 시리즈]]를 통해 생긴 용권창타나 미라지 댄스 같은 [[타격 잡기#s-2.3|근접 가불기]] 기술들은 근거리에서만 발동 가능한데 잡기 판정이 없고 시동기가 가드 불능 속성이 붙은 타격 판정이라 잡기 무적이 아닌 타격 무적으로 회피 가능하며, [[KOF 2000]]에서는 아머 모드의 슈퍼 아머 효과를 무시하고 상대의 행동을 끊어버리는 타격 잡기와는 달리 근접 가불기들은 상대의 슈퍼 아머를 무시하지 못하며 상대의 행동도 끊어내지 못한다. 이쪽 계열의 기술들은 [[KOF XI]]를 기점으로 사라지고, 살아남은 기술들은 [[커맨드 잡기]]로 변경됐다.] 위의 설정 때문에 대체로 [[크고 아름다운]] 떡대를 가진 남캐가 많았지만, [[월드 히어로즈 2]]에서 [[이즈모 료코]]가 나오면서 여자 잡기 캐릭터도 생겨났다. 대체로 관절기로 작고 빠른 타입이지만 한 방은 약한 타입으로 이미지가 잡혀 있다. 게임 자체가 덜 유명해서 그런지 여자 잡기 캐릭터 중 인기 캐릭터는 거의 없다. [[블루 마리]]나 [[바이스(KOF)|바이스]][* 비잡기 캐릭터들을 제치고 [[CVS]] 시리즈에 출연했을 정도이다.], [[쉘미]], [[레인보우 미카]] 정도가 지금도 인기 있는 몇 안 되는 잡기 여캐. == 잡기 캐릭터 일람 == 혹자는 '커맨드잡기', '이동잡기(or 머리 잡기)', '잡기 초필살기' 삼박자를 모두 갖춰야 잡기 캐릭터로 인정하는 경우도 있다. 가나다-ABC 순으로 적을 것. * 등장인물 모두가 잡기 캐릭터인 작품 * [[머슬 보머|머슬 보머 시리즈]] * [[킹 오브 더 몬스터즈]] * [[가면의 아이작]]([[사이퍼즈]]) * [[가이(캡콤)|가이]]([[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가이는 무신 이즈나 오토시나 회전 이즈나 드랍같이 잡기 기술이 존재 한다.] * [[가후인 가이라]]([[사무라이 스피리츠 시리즈]]) * [[격투가 에바]]([[사이퍼즈]]) * [[기스 하워드]]([[리얼 바웃 아랑전설 2]], [[KOF 98 UM]], [[KOF XI|PS2판 KOF XI]], [[KOF 02 UM]])[* 이쪽은 진짜로 잡기 캐릭터가 되어버린 케이스.] * --마봉팔 ([[극한 직업]])-- * [[나오에 시겐]]([[월화의 검사]] 시리즈) * [[그래플러(던전 앤 파이터)/남자|그랜드 마스터]]([[던전 앤 파이터]]) * [[그래플러(던전 앤 파이터)/여자|얼티밋 디바]]([[던전 앤 파이터]]) * [[그레고리 존스]]([[블러디 로어 시리즈]]) * [[그리폰 마스크]]([[아랑 MOW]], [[KOF 시리즈]]) * [[나르시소 안나수이]]([[죠죠의 기묘한 모험 올 스타 배틀 R]]) * [[노노무라 미츠코]]([[블러디 로어 시리즈]]) * [[다란 마이스터]](스트리트 파이터 EX) * [[다이도지 키라]]([[아르카나 하트]] 시리즈) * [[다이몬 고로]]([[KOF 시리즈]]) * [[도요토미 히데요시]]([[전국 바사라]]시리즈) * [[동키콩(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동키콩]]([[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 * [[라이덴(SNK)|라이덴 / 빅 베어]]([[아랑전설 시리즈]], [[KOF 시리즈]]) * [[라몬(KOF)|라몬]]([[KOF 시리즈]])[* 이쪽은 잡기 심리 대신 기본기 압박 플레이가 기본.] * [[레인보우 미카]]([[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 [[레슬러]]([[겟앰프드]]) * [[레온(DOA)|레온]]([[데드 오어 얼라이브 5]]) * [[릴리스(뱅가드 프린세스)|릴리스]]([[뱅가드 프린세스]]) * [[릭 테일러]]([[스플래터 하우스]])[* 3편한정 특수잡기공격에 왠만한 보스는 전부 정리된다 최고난도도 마찬가지.] * [[루이지(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루이지]]([[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for 닌텐도 3DS / Wii U]]부터 해당되는 사항.] * [[리들리(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리들리]]([[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 * [[리 샹페이]]([[아랑전설 시리즈]], [[KOF 시리즈]]) * [[마리안 포터]]([[최강의 군단]]) * 마스토리우스([[파이터즈 히스토리]]) * [[맥시마]]([[KOF 시리즈]])[* KOF XIII부터는 대공 잡기와 이동 잡기만 남았다] * [[맹획(진삼국무쌍)|맹획]]([[진삼국무쌍 시리즈]]) * 머슬파워([[월드 히어로즈]]) * [[메마른 대지의 야시로]]([[KOF 시리즈]]) * [[로베르토 미우라]]([[사립 저스티스 학원]]) * [[바이스(KOF)|바이스]]([[KOF 시리즈]]) * [[버디(캡콤)|버디]]([[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 [[베오울프(스컬걸즈)|베오울프]]([[스컬걸즈]]) * [[베이먼]]([[데드 오어 얼라이브 5]]) * [[볼프강 크라우저]]([[KOF 98UM]]) * [[블루 마리]]([[아랑전설]], [[KOF 시리즈]]) * [[사도 제키엘]](사이퍼즈) * [[사이버돌쇠]]([[겟앰프드]]) * [[소돔(캡콤)|소돔]]([[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시리즈) * [[슈퍼머슬봄버]]의 캐릭터 전원 * [[세레벨라]]([[스컬걸즈]]) * [[센도 츠구미]]([[아랑전설 와일드 앰비션]]) * [[셸미]]([[KOF 시리즈]], [[네오지오 배틀 컬리시엄]]) * [[시조 히나코]]([[KOF 시리즈]]) * [[스티븐 골드버그|스턴]]([[블러디 로어 시리즈]]) * [[썬더 호크]]([[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 [[아스타로스]]([[소울 칼리버|소울 칼리버 4]]) * 아보보([[레이지 오브 더 드래곤]]) * [[아이언 테이거]]([[블레이블루 시리즈|블레이블루]]) * [[알렉스(캡콤)|알렉스]]([[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 [[야마다 쥬베이]]([[아랑전설 2]]) * [[어흥염(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어흥염]]([[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 * [[엔리코 푸치/스타일리시 죠죠 액션 시리즈#s-3.1|엔리코 푸치]]([[죠죠의 기묘한 모험 올 스타 배틀 R]]) * 엘리시어 페트릭([[레이지 오브 더 드래곤]]) * [[엘 포르테]]([[스트리트 파이터 4]] 시리즈)[* 운영상 잡기 캐릭터라기엔 애매한 부분이 많다. 잡기 캐릭터치고는 '''매우''' 변칙적인 타입. 일단 지상에서 발동하는 잡기가 없고 머리잡기 혹은 이동잡기 뿐이다.] * [[울프 호크필드]]([[버추어 파이터]]) * 유리안([[타락천사(게임)|타락천사]]) * [[유미즈카 사츠키]]([[멜티 블러드]]) * [[이스루기 간]]([[사립 저스티스 학원]]) * [[이즈모 료코]]([[월드 히어로즈]] 시리즈) * [[이치죠 아카리]]([[월화의 검사]])[* 원래는 잡기 캐릭터가 아닌데 파동승룡 캐릭터인데 부적을 부치던가 무기를 대면서 상대를 못 움직이게 잡아서 공격을 한다.] * [[인조인간 16호(드래곤볼 파이터즈)|인조인간 16호]]([[드래곤볼 파이터즈]]) * [[자벨 자록]]([[뱀파이어 시리즈]]) * [[잔 가도]]([[블러디 로어 시리즈]]) * [[장기에프]]([[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 [[잭 터너]]([[용호의 권 시리즈]]) * [[잭슨 브릭스]] ([[모탈 컴뱃 시리즈]]) * [[제갈탄(진삼국무쌍)|제갈탄]]([[진삼국무쌍 시리즈]]) * [[카나에(아카츠키 전광전기)|카나에]]([[아카츠키 전광전기]]) * 카노 료코([[파이터즈 히스토리]]) * 콘도르 헤즈([[브레이커즈]]) * [[쿠사레게도]]([[사무라이 스피리츠 시리즈]]) * [[크레이그 머덕]]([[철권 시리즈]]) * [[클락 스틸]]([[KOF 시리즈]]) * [[키시마 코우마/구판]]([[멜티 블러드]]) * [[킹(철권)|킹]]([[철권 시리즈]]) * [[타츠미 칸지]]([[P4U]]) * [[테무진(SNK)|테무진]]([[용호의 권 2]]) * [[트랭크스/미래]]([[드래곤볼]] Z 슈퍼 배틀2) * [[파스티바(그랑블루 판타지 Versus)|파스티바]]([[그랑블루 판타지 Versus]]) * [[포템킨(길티기어)|포템킨]]([[길티기어]]) * [[프로레슬러(로스트사가)|프로레슬러]]([[로스트사가]]) * 하리 네스([[타락천사(게임)|타락천사]]) * [[하칸]]([[스트리트 파이터 4]] 시리즈) * [[핫토리 한조(사무라이 스피리츠)|핫토리 한조]]([[사무라이 스피리츠 시리즈]]) * [[황개(진삼국무쌍)|황개]]([[진삼국무쌍 시리즈]]) * [[휴고(캡콤)|휴고]]([[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 [[히노가미 고우]]([[버추어 파이터]]) == 잡기 캐릭터의 성질을 갖는 캐릭터 == 기본잡기를 포함한 잡기 거리가 기묘하게 길거나 데미지가 엄청나게 강한 경우, 기본잡기가 풀리지 않는 경우 등 잡기 캐릭터가 아닌데도 유사한 플레이방식이 일부 통하거나 응용되는 캐릭터들이다. 잡기 캐릭터로 운용하는 캐릭터가 아닌데도 게임의 버그 등에 의해 [[기본잡기]]가 이상하리만치 강한 캐릭터들(예: [[KOF 2000]]의 [[바네사(KOF)|바네사]], [[쿨라 다이아몬드]], [[장거한]], 그리고 전설의 [[미키 로저스]] 등)도 잡기캐라고 부르는 사람들이 있다. 또한 잡기 기술의 대미지나 임팩트가 너무 강해서 그런 경우도 있다. 물론 비꼬는 의미로. 심지어 잡기 캐릭터들이 다같이 망한 [[KOF 2002]]에서의 최강의 잡기 캐릭터는 '''[[설풍]]'''을 쓰는 [[야가미 이오리]]와 폭탄 박치기를 쓰는 야마자키 류지라는 농담이 있다. * [[UNDER NIGHT IN-BIRTH/등장인물|고르도]] ([[UNDER NIGHT IN-BIRTH]]) 보통 중거리 리치싸움 캐릭터로 분류되지만, 근접난투 중 가드를 깨는데 효과적인 커맨드 잡기 어시밀레이션을 가지고 있다. * [[네스(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네스]]([[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 잡기 거리는 짧으나 아래 던지기의 콤보력이 좋고 뒤 던지기의 위력이 비정상적으로 높아 하프 그래플러로 자주 분류된다. * [[니나 윌리엄스]] ([[철권 시리즈]]) * [[랄프 존스]] ([[더 킹 오브 파이터즈 시리즈]]) 11까지. 12부터는 더 이상 잡기 캐릭터로 분류되지 않는다. * [[마르스(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마르스]]([[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 DX]]) 이쪽은 링크나 사무스 같이 와이어로 잡고 잡기 후딜이 긴 캐릭터도 아닌데 잡기 거리가 길다. * [[마이크 바이슨]]([[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2 X]]) 잡기 데미지를 줄일 수 없는 연타잡기를 가진 캐릭터 가운데 걷기 스피드가 가장 빨라서 이후 이지선다가 손쉬우며, 이 외에도 버팔로 헤드버트, 대시 어퍼 헛치고 잡기 등 바리에이션도 많다. * [[미셸 창]] & [[줄리아 창]] (철권 시리즈) * [[미키 로저스]] ([[용호의 권 2]]) 용호의 권 2에서 유일하게 로저스의 기본잡기만 강제다운이다.[* 템진도 있지만 특수한 기본잡기므로 제외] 그리고 여기서는 다운된 상대도 잡기가 가능하기 때문에 무한 잡기가 가능하다. * [[바네사(KOF)|바네사]]([[KOF 2000]], [[KOF 2001]]) 버그로 인해 기본잡기가 안 풀린다. 2000의 경우 [[슈퍼아머]]가 되는 아머 모드를 까고 빠른 스피드로 상대에 들이대 기본잡기로 잡아대는 전법이 매우 강력하다. * [[세르게이 드라그노프]] (철권 시리즈) * [[아머킹]] ([[철권 시리즈]]) * [[아사미야 아테나]]([[KOF 97]]) 원래는 공중 압박이나 장풍 파동승룡계인데 97에서는 사이킥 스루가 너무 강해서 잡기 캐릭터 취급(...). * [[오우거(철권)|오우거]] (철권 시리즈) * [[유리 사카자키]] (KOF 시리즈) 백열빈타가 있을 때에만. 백열빈타 성능이 좋아서 잡기캐릭터마냥 사용할 수 있다. * [[장거한]]([[KOF 96]], [[KOF 97]], [[KOF 2000]]) 96의 경우 구석에 몰아두고 철구대회전 후 가캔 구르기를 한 상대를(당시에는 가캔 구르기에 잡기 무적이 없었다) 대파괴던지기로 잡는 악랄한 버그성 패턴이 악명 높았다. 연타 잡기에 미친 대미지를 넣는 D잡기도 유명. * [[잭(철권)|잭]] (철권 시리즈) * [[케이노]], [[제이슨 부히스/모탈컴뱃X|제이슨]] ([[모탈 컴뱃 X]]) 바리에이션 중 하나인 코만도는 커맨드 잡기와 반격기를 가지고 있다. 다만 사이버네틱은 레이저 공격과 컴뱃 나이프 투척, 컷스로트는 보위 나이프를 사용한다. 게스트로 참전한 제이슨의 경우 릴렌틀리스와 언스토퍼블 바리에이션은 잡기 기술이 주력이나 마체테를 사용하는 슬래셔는 타격기 위주이다. * [[켄 마스터즈]]([[스트리트 파이터 4]]) 슬라이드 잡기를 사용하면 잡기거리가 비약적으로 늘어난다. * [[쿠파(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쿠파]]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4]]) 설계는 잡기 중심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뒤돌아 잡기의 리치가 어마무시하게 길었기 때문에 대난투 4에서 이것만으로 악명을 떨쳤다. * [[쿨라 다이아몬드]]([[KOF 2000]]) 풀리지 않으며 데미지가 매우 높은 연타잡기 '아이스 코핀'을 노리는 패턴이 매우 악명높다. [[슈퍼아머]]가 되는 아머 모드를 까고 들이대 아이스 코핀 한 번이라도 맞추면 대미지도 초필살기급이다. * [[킹(SNK)|킹]] (KOF99~01, NW, 02UM) 미라지 댄스라는 근거리에서만 발동 가능한 가드 불능 판정의 타격기([[타격 잡기#S-2.3|근접 가불기]])가 있는데, 무적으로 떡칠되어 있는 등 성능이 매우 강력해 잡기 캐릭터처럼 운영할 수도 있다. 하지만 잡기 판정이 아닌 타격 판정이기 때문에 구르기로 회피 가능하며[* 단, 앞구르기로 킹을 통과할 수 없어 뒷구르기로 굴러야 한다.], [[KOF 2000]]에서는 슈퍼 아머를 뚫지 못한다. 슈퍼 아머를 무시하고 잡아내려면 타격 잡기인 트랩 샷을 써야 한다.[* [[KOF 2000]]에서 아머 모드 상태의 상대에게 트랩 샷과 미라지 댄스를 쓰면, 트랩 샷은 상대의 행동을 끊어버리고 후속 타격을 먹이지만, 미라지 댄스는 상대의 행동을 끊지 못해 때리는 도중에 상대의 공격에 맞게 된다. 단, 서로 아머 모드인 상태에서는 버그로 인해 트랩 샷이 상대의 행동을 끊어내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 [[타바사(워저드)|타바사]]([[SNK VS CAPCOM SVC CHAOS]]) 커맨드잡기 어샌드 프루프가 실제 잡기거리에 비해 SVC 특유의 가캔 대쉬 시스템 때문에 체감상의 잡기거리는 훨씬 길고, '''점프해도 잡히는데다'''[* [[https://www.youtube.com/watch?v=yqzxsu5kiU0|영상의 1:00 주목]]] 이후 재밍 고스트가 가불로 들어가는 버그 때문에 매우 흉악해 사실상 잡기캐릭터 취급이다. * [[토도 카스미]]([[KOF 시리즈]]) 카스미에게는 용권창타라고 하는 기술이 있는데, 원래 이 기술은 잡기 판정이 없고 가드 불능 속성이 붙은 근거리 전용 타격기([[타격 잡기#S-2.3|근접 가불기]])라 상대의 가드를 부술 수 있어 잡기 캐릭터처럼 운용할 수 있었다. 다만 이 시기의 용권창타는 가드 불능 타격기였기 때문에 KOF 2000에서는 상대의 슈퍼 아머를 뚫지 못했으며, 뒤로 굴러도 전진 거리가 길어 후속타를 피할 수 없었다. 그러다가 [[KOF XI]]에서 [[커맨드 잡기]]로 바뀌어 진짜 잡기 기술이 되어 구르기로 회피할 수 없게 됐다. * [[트웰브(캡콤)|트웰브]]([[스트리트 파이터 3 서드 스트라이크]]) 기본잡기의 데미지와 스턴치가 크고 우선권이 좋은데, 트웰브의 성능상 '''기본잡기가 생명줄'''이다. * [[홀 호스]] ([[죠죠의 기묘한 모험 All Star Battle]]) 이 게임 내에서 잡기거리가 가장 긴데, 정말 비 정상적으로 길다. 리치가 짧은걸로 악명높은 키라의 중손과 홀 호스의 잡기를 맞붙이면 홀 호스의 잡기가 먼저 나간다. 거기다가 이 캐릭터는 ASB 내에서도 행드맨과 도발콤보, 다양한 패턴의 콤보로 디아볼로급의 사기캐인데 잡기 거리는 2위인 디아볼로보다도 길다. * [[하이데른]]([[KOF 시리즈]]) - [[스톰브링거(KOF)|스톰브링거]] 참고. * [[헤비 D!]] ([[KOF 시리즈]]) [[KOF 98]], [[KOF 98 UM]]의 2개의 기본잡기가 모두 연타 잡기라 풀리지 않는다. [[KOF 98]], [[KOF 98 UM]]의 경우 댄싱 비트는 근거리에서만 발동 가능한 기술이 있는데, 이건 엄밀히 따지면 [[타격 잡기#S-2.3|근접 가불기]]로 잡기 판정이 아니라 가드 불능 타격 판정이라 구르기 같은 타격 무적으로 회피 가능하다. * ZZ건담([[건담vs건담(게임)|기동전사 건담 vs 건담]]) 대전액션게임의 예는 아니지만, [[던전앤파이터]]의 [[그래플러(던전 앤 파이터)|그래플러]][* 특히 [[그래플러(던전 앤 파이터)/여자|여성 그래플러]]가 이에 더 가깝다.]는 대부분의 스킬이 잡기다. [[분류:대전 격투 게임 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