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DCDC> [[파프너]] 잘바톨 모델 || || [[마크 자인]] || [[마크 니히트]] || [[마크 레종]] |||| [[마크 알레스]] || Salvator Model. [[창궁의 파프너 시리즈]]에 등장하는 신국제연합제 [[파프너]]로 '''작중 최강의 기체'''. [[창궁의 파프너]]에서 [[히노 요우지]]와 [[미츠히로 바트랜드]]의 주도에 의해 만들어진 [[결전병기]]. 히노 요우지가 중심이 되어 개발한 [[마크 자인]]과 미츠히로 바트랜드가 중심이 되어 개발한 [[마크 니히트]]가 이 모델이다. [[창궁의 파프너 EXODUS]]에선 후반에 [[인류군|신국제연합]]이 새로운 잘바톨 모델인 [[마크 레종]]을 만들었다. 각본가 [[우부카타 토우]]가 뉴타입에서 개재한 단편소설 Preface of 蒼穹のファフナ―HEAVEN AND EARTH[* [[창궁의 파프너 HEAVEN AND EARTH]] 시점으로부터 1달 전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에 따르면 [[구세주]]라는 의미로 이름을 붙였다고 하는데, 독일어인 Salvator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다른 [[파프너]]들과 달리 [[페스툼]]에 얼마나 가까워질 수 있는지를 목표로 해서 만들어졌다고 한다. 이 때문에 다른 파프너 모델들은 이 모델의 파워를 따라잡지 못하는데, 대신 [[동화 현상]]이 다른 파프너보다 빠른 속도로 진행된다. 1기의 드라마 CD 'NOW HERE'와 설정 등에 의하면, [[마크 자인]]이 있는 그 자체로 주변에 대하여 [[동화 현상]]을 너무나도 강하게 일으켰기 때문에, 이로 인해 생길 수 있는 위험을 사전에 막기 위해 불가피하게 리미트를 걸어 기체 능력을 하향조정했다고 한다. 심지어 [[펜리르]]는 통상의 세 배나 되는 양이 탑재되었다고 한다. 2기 9화에서 모든 리미터가 해체되어 있는 마크 자인과 마크 니히트가 스리나가르에서 수많은 페스툼들을 상대로 무쌍을 펼쳐 단 두기만으로 전황을 뒤집었는데, 이 둘이 싸우는 모습은 [[슈퍼로봇]]이라 할 정도. 이 모습을 본 [[조나단 미츠히로 바트랜드]]가 [[인류]]를 구할 힘이라고 평할 정도로 다른 파프너와는 차원이 다른 강함을 자랑한다. 셋 다 만들어진지 얼마 되지 않아 변화했기 때문에 어디까지가 원래의 잘바톨 모델의 능력인지 알기 어렵다. 이 기체들의 공통된 능력은 하위종 페스툼을 자신에게 동화시키는 등 동화 공격을 할 수 있으며, 기계류를 기체와 동화시켜서 사용할 수 있기에 주무장이 큰 의미가 없다[* 마크 니히트는 2기에서 동화시킨 페스툼도 조종했는데, 이게 마크 니히트만의 능력인지 마크 자인도 할 수 있는지 불명.]는 것. 각 항목과 아래에 간략히 적어놓은 내용을 참고하면 차이는 있으나 셋 다 [[인류]]가 개발한 잘바톨 모델이 [[페스툼]]과 섞이며 [[진화]]했다고 볼 수 있다. [[마크 자인]]은 [[타츠미야 섬]]을 탈출한 [[마카베 카즈키]]가 탈취당한 [[마크 엘프]]의 코어를 이식하여 완성되었다. 이후 일어난 전투에서 코어가 새로 태어나 모습이 변화했으며, 카즈키가 섬으로 돌아갈 때 이 기체를 타고 갔다. [[마크 니히트]]는 [[인류군|신국제연합]]이 [[마크 자인]]을 잃은 후 바다 속에 있던 [[마크 피어]]를 찾아내 그 코어를 이식해서 완성되었다. 테스트를 하던 중 [[이둔]]에 의해 강탈당했다. 그 후 1기의 북극 미르전 때 마크 자인에 동화되어 봉인되었다. 그러나 [[창궁의 파프너 HEAVEN AND EARTH]]에서 [[쿠루스 미사오]]의 [[미르(창궁의 파프너)|미르]]가 마크 자인에게서 마크 니히트를 분리했는데, 봉인될 때 이둔이 마크 니히트에게 동화당했는지 디자인이 변했다. 나중에 마크 자인에 의해 쿠루스가 미르의 구속에서 벗어난 후, 마크 니히트는 [[미나시로 소우시]]와 함께 타츠미야 섬으로 돌아가게 되었다. [[마크 레종]]은 아르고스 소대가 손에 넣은 [[마크 퓬프]]를 베이스로 해 만들어졌다. 기체의 코어도 마크 퓬프의 것을 그대로 사용했을 가능성이 높다. 이후 [[페스툼]]화된 [[조나단 미츠히로 바트랜드]]에게 강탈당했다. 또 다른 특징은 모두 [[이름]]대로 [[운명]]이 결정되었고, 잘바톨 모델을 제대로 다룰 수 있는 파일럿은 드물다는 것이다. 마크 자인은 다른 파프너의 자기부정과는 완벽히 상반되는, '존재 그 자체를 상징하는 기체'가 되었고, 마크 니히트는 만들어진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 [[페스툼]]의 손에 들어가면서 무(無)를 상징하는 기체가 되었다. 마크 자인은 카즈키와 [[히노 미와]]만 다룰 수 있으며, 2기 시점에서 마크 니히트는 타츠미야 섬에선 [[미나시로 소우시]]만 제대로 다룰 수 있다고 여기는 듯한데 소우시는 동화되었다가 돌아오는 과정에서 [[코어#s-10|코어형]]에 가까운 존재가 되었다. 그러니까 마크 니히트는 페스툼이거나 페스툼에 가까운 인간이나 다룰 수 있는 기체인 셈. [[창궁의 파프너 THE BEYOND]]에서는 와다츠미 섬의 코어 루비의 지시로 카즈키를 위한 4번째 잘바톨 모델의 건조가 시작되었는데 7화에서 완성되었다. 이름은 [[마크 알레스]]. [[분류:창궁의 파프너 시리즈/등장 기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