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殘留思念, ([[일본어]])残留思念(ざんりゅうしねん)|| == [[유령]]과 비슷하지만 유령은 아닌 영적 존재 == 초상현상(超常現象), 심령세계, 오컬트 등의 분야에서 다루는 용어. 사람이 무언가를 강하게 생각할 때, 그 장소에 남는다고(잔류(殘留)한다고) 여겨지는 감정, 사고 등의 여러 가지 생각[사념(思念)]을 가리킨다. 사람이 죽어서 생기는 유령과 달리, 이것은 사람의 원한이나 집착, 혹은 풀지 못한 숙원, 혹은 단순히 그곳에 오래 살았을 뿐인 생활감 등이 쌓여 별개로 생성된다고 하며, 이 때문에 그것을 발생시킨 장본인이 죽지 않고 멀쩡히 살아있는데도 존재하는 때도 많이 그려진다. 생겨난 원인을 해소하면 자동으로 사라지는 듯하다. 유령 형태로 존재하는 것 이외에 [[유령]]이 너무 오래되어서 붕괴해 혼의 흔적이라고 할 수밖에 없는 것으로 전락한 것이나 오래된 물건, 혹은 장소 등에 사용자의 기억이나 혼의 자취 등이 남아있는 것도 이것으로 지칭된다. --[[바람의 나라|죽은 자의 온기가 남아 있습니다]]-- 사실 '잔류사념'이라는 단어는 60년대경 일본에서 [[오컬트]]가 유행하기 시작하면서 생긴, 비교적 새로운 신조어다. 다만 개념 자체는 이미 불교 전승에 오래전부터 전해져 내려왔는데, 그게 바로 '[[아귀(귀신)|아귀]][餓鬼, ([[산스크리트어|범어]]) प्रेत ; Preta]'이다. 나중에 아귀라는 개념에 '고문당하는 죄수'의 이미지가 덧씌워지기는 했지만, 사실 아귀라는 개념이 처음 생겼을 때 그 세부적 내용은 이 '잔류사념'과 기본적으로 일치했다. 다만 불교의 영향이 강한 일본에서도 아귀라는 단어는 아무래도 불교적 탱화 등에서의 이미지 소모가 많이 돼 온 편인데 '잔류사념'이란 단어는 어딘가 참신하게(?) 들리기 때문인지 오컬트계에서는 후자가 훨씬 더 많이 사용되는 편이다. === 대중매체에서 === 한국에서는 흔한 미신이 아니지만, [[호텔 델루나]]에서 한 번 다룬 적이 있다. 한국에서는 생소하다 보니 그 에피소드를 통해 처음으로 알게 된 사람들이 많다. == [[게임]] [[킬러 7]]에 등장하는 개념 == 쉽게 말하자면 유령이다. [[허먼 스미스]]는 '신을 죽이는 자' 능력에 의해 이러한 잔류사념과 대화하는 것이 가능. 일반적으로 눈동자가 없으며, 척 봐도 죽은 사람이라고 생각할 정도로 흉악하게 생겼다. 죽은 다음엔 생전의 목소리가 어찌 되었든 간에 변조된 듯한 쇳소리로 변하고, 억양 또한 높낮이가 없는 지극히 단조로운 억양으로 변한다. [[분류:동음이의어]][[분류:오컬트]][[분류:킬러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