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록맨 에그제 시리즈의 넷 내비 자이로맨, rd1=자이로맨.EXE)] [include(틀:록맨 5/보스)] ||<-18> [[파일:external/images.wikia.com/Gyroman_2.png|width=30%]] || ||<-18> '''{{{+3 {{{#5db119 [ruby(자이로맨, ruby=DWN.036)]}}}}}}[br]{{{#5db119 ジャイロマン / GYRO MAN}}}''' || ||<-3> {{{#5db119 성우}}} ||<-15>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2]]]] [[토베 코우지]][br][[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짐 번즈 || ||<-3> {{{#5db119 사용 무기}}} ||<-6> '''자이로 어택''' ||<-3> {{{#5db119 약점 무기}}} ||<-6> '''[[그래비티맨|그래비티 홀드]]''' || ||<-18> '''{{{#a4cb76 그런 건 문제될 것 없어.}}}''' || [목차] == 개요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R20GyroMan.png|width=700]] [[파일:CDData-36-GyroMan.png]] ||<-2> 프로필[* 록맨 & 포르테의 데이터베이스.] || ||<-2>{{{#373a3c,#ddd 금전적 문제로 [[프로펠러]]로만 이동하는 비운의 로봇.[br]하지만 본인은 신경쓰지 않는다.}}} || ||'''장점''' || 긍지가 높다 || ||'''단점''' || 타인을 깔본다[* 영문판에서는 무시다.] || ||'''좋아하는 것''' || 바람개비[* 영문판에서는 [[그리스]]식 [[샌드위치]]로 아마 '자이로 샌드위치'를 뜻할 가능성이 높다.] || ||'''싫어하는 것''' || 제트엔진 || [[록맨 5]]의 등장 보스. 공중 정원을 점거한 로봇. 점거 후에 입장료를 받았으나, 방문객이 줄면서 불평이 많은 듯. [[Dr. 와일리]]가 제트 엔진을 달려고 했지만, 예산부족으로 프로펠러로 대체됐다고 한다.[* 록맨 5에서는 와일리가 자금 부족에 시달린다는 묘사가 꽤 나온다. 구식인 [[차지맨]]을 개조한다거나, [[크리스털맨]]보고 수정을 팔아 돈을 벌어달라고 한다거나…][* 다행히 크리스털맨은 와일리의 부탁을 받아들여 수정을 팔아서 어마어마한 돈을 벌어온다. 이것이 와일리의 재원이 되어 후속작 [[록맨 6]]에서 그가 미스터 X의 행세를 할 수 있었던 것.] 그래도 본인은 프로펠러를 굉장히 마음에 들어 하니 어떻게 보면 잘된 일이다. 하지만 [[주피터(록맨 클래식 시리즈)|구태여 프로펠러를 걸고 넘어지는 꼬장꼬장한 사람]]은 싫어한다. 태생의 한계로 인한 자신의 단점을 장점으로 삼는 긍지높은 성격 덕분인지 네이팜맨과 더불어 록맨 5에서 인기있는 보스. == 스테이지 == 공중을 소재로 스테이지를 진행하며, 낙사 구간이 꽤 어려운 편이다. 특히 천장에 가시가 있는 구간은 승강기가 올라가면서 록맨을 조여오고, 낙사를 유도하는 공중 부대와 함께 나오는 뚝 떨어지는 발판도 있기 때문에 정신을 바짝 차려야 한다. 하필이면 비트 파츠가 여기 있어서 이것을 얻을 때에도 조금이라도 늦으면 추락사하는 경우가 잦다. == 공략 == === [[록맨 5]] === [[파일:external/images.wikia.com/MM5-GyroMan.jpg|width=380]] [[파일:Gyromugshot.png]] [[파일:Gyrosprite.png]] 보스의 난이도는 스테이지보다 훨씬 쉬운 편이니 단숨에 해치울 수 있다. 공격패턴으로 프로펠러 발사와 위로 비행한 뒤 구름 속으로 숨어 들어가 프로펠러를 발사하는 패턴이 있지만 대체로 패턴이 일정해서 피하기는 쉬운 편이다. 눈치만 잘 채면 될 듯. 단, 데미지는 몸빵도 프로펠러도 6칸으로 꽤 아프다. 바람 속성 보스들 가운데서도 난이도가 [[윈드맨]]과 함께 최하위에 속하는 보스다. 바람 속성하면 떠오르는 빨아들이기 또는 밀어내기 공격이 없기도 하다.[* 자이로맨 이외에도 록맨 5의 보스들의 난이도가 다른 시리즈보다 낮고 쉬운 편에 속한다.] 약점은 [[그래비티맨]]을 깨면 얻는 그래비티 홀드. 아무래도 본 베이스가 [[헬리콥터]]다 보니 중력의 급격한 변화에 민감하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그래비티 홀드가 꽉 차 있는 상태에서 다 써야 자이로맨을 깰 수 있으며, 자이로맨이 대미지를 받았을 때 [[무적시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시간차를 두고 발사해야 약점만으로 클리어할 수 있다. === [[록맨: 더 파워 배틀]] === [[파일:Gyroman_pb.png]] 난이도는 원작에 비하면 꽤나 올라갔다. 일단 스테이지가 우측으로 강제 스크롤되며, 원작에 없는 패턴[* 돌진 공격, 순간이동 등이다.]이 여러개 추가되었는데, 그 중 순간이동 후 자이로 어택 여러개를 날리는 패턴이 꽤나 성가시다. 다만 차지 샷으로 맞춰서 히트 모션이 나오면 바닥으로 떨어진 뒤 자이로 어택을 날리고 다시 비행을 시작하는 패턴을 사용한다. 때문에 적당 거리를 유지하고 차지 샷으로 싸우면 은근히 쉬운 보스다. 다만 그래도 공중전을 하는 보스란 특징은 후반일수록 거슬리는 특징이기 때문에 '''웬만하면 첫 순서로 깨자.''' [[그래비티맨]]의 미등장으로 엉뚱하게 [[네이팜맨]]의 네이팜 봄이 약점이 되었다.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자이로맨은 항상 공중에 떠 있으므로 '''땅에서 통통 튀기는 네이팜 봄을 맞추기란 무지막지하게 어렵다.''' 근접해서 쏘면 맞출 수는 있겠지만 상당히 괴롭다. 아무래도 '''땅'''에 깔린다는 점이 자이로맨의 약점으로 선정되는데 큰 작용을 한 듯. '''그냥 버스터, 마그넷 미사일, 더스트 크러셔를 쓰자.''' 클리어 시 주어지는 무기는 자이로 어택으로 [[플랜트맨]]의 약점으로 쓰인다. === [[록맨 2: 더 파워 파이터즈]] === 스테이지 강제 스크롤과 순간 이동 패턴이 사라지고, 자이로 어택과 돌진의 속도가 느려졌다. 다만 돌진의 경우는 고정 궤도였던 전작과 달리 플레이어의 위치에 맞게 이동하며 돌진해오는지라 히트백 시키지 않는 이상 피하기 힘드므로 빠르게 차지샷 or 약점, 커맨드기로 대응해서 끊어야만 피할 수 있다. 여기서도 [[플랜트맨]]의 플랜트 배리어가 약점이 되었다. 라이트 박사는 다양한 각도로 날릴 수 있는 무기가 좋다고 해서 그렇다는데 이 무슨... 심지어 상기했 듯 '''전작에서는 상성이 정 반대였다!''' ~~하긴 원래 록맨 시리즈 내 약점과 연계성이 높은 케이스가 별로 없긴 했지만~~ 플랜트 배리어는 4방 밖에 사용할 수 없는 무기라 효율성이 매우 떨어질 것 같지만 실은 '''정 반대.''' 플랜트 배리어를 발사하지 말고, 차지 샷이나 특수 공격으로 자이로맨을 쓰러뜨린 뒤, 그 자리에 가서 배리어를 쳐놓고 서 있자. 그러면 '''배리어가 돌아가면서 다단히트를 시켜 자이로맨에게 계속 히트 모션이 나와서 다시 쓰러진다.''' 안 그래도 쉬운 편인데 더 쉬워진 셈, 다만 자이로맨이 도중에 가드를 해서 무기 에너지를 날릴수 있으므로 가드를 자주 안쓰길 빌거나 다운 시킨 후는 잠시 거리를 벌리는 게 좋다. 또한 위력 자체는 직접 발사가 더 강하므로 6대정도 때렸다싶으면 막타로 날려주는 게 좋다. 히트백만 자주 시킨다면야 막 어렵지 않은 상대이지만 자이로 어택을 참 교묘하게 깔아둔다. 가끔가다 슬라이딩이나 벽차기를 제대로하지않은 이상 피할수 없는 높은 난이도의 공격도 해오니 후반부에 만나면 플랜트맨이나 켄타우로스맨 급은 아니더라도 나름 번거로운 상대. 그나마 플랜트맨 -> 자이로맨 -> 켄타로우스맨 루트로 약점이 이어지게 되므로 미리 어려운 보스 처리겸 플랜트맨부터 시작해서 초반부로 상대하기 무난한 상대이다. 클리어 시 얻는 자이로 어택은 '점프를 할 수 없는' [[켄타우로스맨]]의 약점으로 사용된다. 뭐, 상기했듯 점프를 할 수 없는 켄타우로스맨의 특성상 맞추기는 매우 쉽다. 그러나 가드를 은근히 자주하니 이 점은 주의하자. 여담으로 보스들 중에선 목소리를 별로 안내긴 해도 네이팜맨 마냥 아예 없진 않다. 돌격할 때 '자이로 어택!'이라 외치고 처치시 뜨옷! 소리를 내는 정도. == 획득 무기: 자이로 어택 == [[파일:external/images.wikia.com/MM5-GyroAttack-Art1.jpg|width=450]] 발사 후 위나 아래 버튼을 누르면 방향 조절이 가능한 무기다. 록맨 5에선 대각선으로 발사 가능한 무기가 없다 보니 사실상 자이로 어택이 이를 대체하는 셈이다. 이 무기로 [[크리스털맨]]과 [[서클링 Q9]]의 약점을 공략할 수 있다. 밸런스를 위해 전편에 등장한 [[다이브맨]]의 다이브 미사일보다 유도 기능을 약화시킨 듯 하다. 그래도 버스터만으로 처치가 난감한 곳에 있는 적을 처리하거나, 이 무기에 약한 적을 공략할 때[* 록맨 시리즈의 전통 중 하나는 졸개에게도 약점이 있다는 것이다.] 간간히 사용된다. 덤으로 서포트 아이템인 러시 제트도 획득할 수 있다. == OST == [youtube(FZWDWJNYEhk)] [[윈드맨]], [[스프링맨(록맨 클래식 시리즈)|스프링맨]]과 더불어 손꼽히는 밝은 테마이며 자주 회자되기도 하는 곡이다. [youtube(ubt8qmzgeVE)] [youtube(n9UE5bSyC4E)] [[록맨 : 더 파워 배틀]]과 [[록맨2 : 더 파워 파이터즈]][* 이 버전의 BGM은 록맨 컴플리트 웍스에서도 그대로 사용되었다.]에서는 시작 부분이 좀 더 산뜻하게 리믹스되어 있는데 오히려 이게 더욱 스테이지 분위기를 살리고 있다. == [[록맨 8]] == 오프닝의 후반부에서 잠깐 등장한다. [[분류:록맨 클래식 시리즈/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