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자유한국당)] [include(틀:자유한국당 관련 문서)] [include(틀:자유한국당 역대 전당대회)] [목차] == 개요 == [[자유한국당]]의 역대 전당대회에 대한 문서. == [[자유한국당 제19대 대통령 후보 경선|제1차 전당대회]] == || 기호 || 순위 || 성명 || 국민 여론조사 || 책임당원 투표 || 총 득표율(%) || 선거결과 || || 1 || 3 || [[이인제]] || 24.6% || 5.1% || 14.85% || || || 2 || 4 || [[김관용]] || 11.2% || 12.2% || 11.70% || || || 3 || 2 || [[김진태(정치인)|김진태]] || 17.5% || 21.1% || 19.30% || || || 4 || 1 || [[홍준표]] || '''46.7%''' || '''61.6%''' || '''54.15%''' || '''대통령 후보''' || || 총 투표수 || || || 100% || 100% || 100% || || * 2017년 3월 31일 서울 장충체육관에서 열린 자유한국당 대선후보 전당대회에서 이인제, 김진태, 홍준표, 김관용 네 명의 후보 중에서 [[홍준표]] 후보가 총 54.2%의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당 대선 후보로 확정되었다.[* [[https://m.khan.co.kr/view.html?art_id=201703311530011| 자유한국당 19대 대선 후보, 홍준표 확정]]] * 이것은 전국동시 책임당원 투표와 일반국민 여론조사를 50대 50 비율로 합산한 결과였는데 [[김진태(정치인)|김진태]] 후보는 19.3%, [[이인제]] 후보는 14.9%, [[김관용]] 후보는 11.7%에 그쳤다. == 제2차 전당대회 == ||<-4>
{{{#ffffff 선거인단 투표 및 여론조사를 합산한 결과}}}[* 6월 30일 모바일 투표 실시. 7월 2일(오전9시~오후9시) 전국 252개 시군구에서 현장 투표 실시.] || || {{{#ffffff 후보}}} || {{{#ffffff 선거인단 투표 }}} || {{{#ffffff 여론조사}}} || {{{#ffffff 합산 결과}}} || || '''[[홍준표]]''' || '''40,194표''' || '''49.4%''' || '''51,891표''' || || [[원유철]] || 11,021표 || 30.0% || 18,125표 || || [[신상진]] || 4,036표 || 20.6% || 8,914표 || * 2017년 7월 3일 2차 전당대회를 개최했다. 전당대회는 남양주의 시우리 마을에서 농민들의 감자 수확 및 포장을 돕고, 자유한국당에 바라는 모습을 경청하는 행사로 진행됐다. 당 대표로 [[홍준표]] 전 경남지사가, 최고위원은 [[이철우(1955)|이철우]], [[류여해]], [[김태흠]], [[이재만(1959)|이재만]], [[이재영(1975)|이재영]](청년최고위원)이 선출됐다. 최고위원 중 [[이철우(1955)|이철우]], [[류여해]], 이재영은 [[친홍]], [[김태흠]], [[이재만(1959)|이재만]]은 [[친박]]이다. [[김태흠]]은 [[김진태(정치인)|김진태]], [[조원진]]에 비견될만한 골수[[친박]]이고, [[이재만(1959)|이재만]]은 [[옥새런]] 파동으로 [[유승민]]의 지역구를 가져갔다가 다시 지역구를 빼앗긴(...) 경력이 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자유한국당/2017년, version=1813)] == [[자유한국당/3차 전당대회|제3차 전당대회]] == 2019년 2월 27일 제3차 전당대회에서 황교안 대표가 선출되었다. [[분류:자유한국당]][[분류:새누리당]][[분류:한나라당]][[분류:전당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