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自]][[由]][[民]][[権]][[運]][[動]] / Freedom and People's Rights Movement'''}}} == 개요 == [[일본 제국]] 시절의 [[자유주의]], [[민주주의]] 운동이다. 당시 [[이타가키 다이스케]] 등이 자유민권운동의 상징적인 인물로 거론되었다. == 역사 == 1870년대 [[메이지 시대]]부터 시작된 운동으로, [[후쿠자와 유키치]]의 [[계몽주의]] 사상에 영향을 받았으며 20세기 초 [[다이쇼 데모크라시]]로 절정을 이룬다. 이 세력들이 이후 1920년대 중도좌파 정당인 [[입헌민정당]]을 창당하기도 했다. 그러나 일본 내 자유민권운동은, 주류 자유주의(좌파) 세력들이 우파들과 정쟁을 피하고자 1920년대 [[치안유지법]] 제정을 합의하면서 사실상 끝나다시피 했고 이후 1930년대 [[천황제 파시즘]]이 대두되면서 탄압받고 사그라든다. 이로 인해 부분적인 성과는 이룩했음에도 장기적, 결과적으론 실패한 운동이 되었는데, 전후 [[마루야마 마사오(1914)|마루야마 마사오]] 같은 자유주의 학자들이 이 운동의 실패를 아쉬워했다. 성공해서 완전한 서구식 자유민주주의 국가가 되었다면 [[천황제 파시즘]]과 [[군국주의]] 세력의 발호를 막았을수도 있었다는 점에서 아쉬움을 표현한 것이다. == 주장 == 자유민권운동의 주요한 의제들은 다음과 같았다. * [[헌법]] 제정과 [[의회]] 개설 (초기) * 중앙집권 정부에 대한 비판과 [[세금]] 축소 * 모든 [[남성]]에게로 [[선거권]]과 [[피선거권]] 확대 * [[표현의 자유]], 집회의 자유 보장 * [[부라쿠민]] 등 [[사회적 약자|소수자]] 차별 반대 * 조선에서도 비슷한 시기 [[형평운동]]이라고 [[백정]] 차별 반대운동이 벌어졌었다. * [[조선]], [[대만]] 등 식민지인들에 대한 [[차별]] 정책 시정 * 식민지 독립을 지지한다는 의미가 아니다. 그들에 대한 제도적 차별을 반대하거나 개선하자는 것이다. 식민지인들도 [[일본제국]]의 [[신민]]이니 [[인종차별]]하지 말자는 논지에 가깝다. 실제로 이 시기에 재산 여부 할 거 없이 모든 식민지인 남성들에게 [[투표권]] 주고 자치의회 구성하게 해주고 [[독립운동]]만 막자는 급진적인 주장들이 많았다. 그러나 식민지 통치에서는 보수주의자들과 군부의 영향력도 만만찮았기 때문에 전면적인 차별 시정은 이뤄지지 못했다. 이런 자유민권운동가를 비롯한 자유주의자들의 의견 중 받아들여진 것이 조선의 [[문화통치]], 대만의 내지연장주의이다.[* 이 당시 조선과 대만에서는 지방선거가 실시되어 투표권도 형식적으로 주어지긴 했는데, 다이쇼 데모크라시 이후 모든 성인남성에게 투표권이 주어진 본토 일본과 달리 재산에 따른 투표권 제한 규정으로 인해 조선인과 대만인 대다수는 참정권 자체가 없었다.] == 같이 보기 == * [[민권 운동]] * [[일본의 자유주의]] [[분류:일본 제국의 역사]][[분류:자유주의]][[분류:일본의 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