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자위대)] [include(틀:자위관의 양성 과정)]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Officer_candidate_school.jpg|width=100%]]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Japanesenavalacademy001.jpg|width=100%]] || [[파일:external/www.mod.go.jp/img_kanko_3.jpg|width=100%]] || || 육상자위대간부후보생학교 || 해상자위대간부후보생학교[* 해상자위대간부후보생학교는 [[일본해군병학교]] 건물을 쓴다. ] || 항공자위대간부후보생학교 || [목차] == 개요 == [[자위대]]에서 [[장교]]를 가리키는 말은 [[간부]]이다. [[간부후보생]]을 교육하는 곳은 간부후보생학교로 이곳에서 교육을 마치면 [[소위|삼등위]]로 임관하게 된다. 단 [[항공학생]]의 경우엔 간부후보생학교를 거치지 않고 부사관에서 자동 승진하여 소위가 된다. 기본적으로 간부후보생들은 원사 계급을 부여받고 간부 교육을 받는다. 일반간부후보생하면 보통 아래의 과정을 가리키나 [[간부후보생학교]]란 이름 때문에 여기서 교육 받는 모든 이들은 간부후보생이라 불린다. 대한민국의 [[학사장교]]에 해당된다. == 명칭 == * [[한자]]: [[自]][[衛]][[隊]]/[[幹]][[部]][[候]][[補]][[生]][[學]][[校]] * [[일본어]]: 自衛隊/幹部候補生学校 (じえいたい/かんぶこうほせいがっこう) * [[영어]]: [[OCS/OTS|Officer Cadet School / Officer Training School]] == 종류 == [[방위대학교]]나 [[방위의과대학교]]는 [[사관학교]]로 움직이지만, [[통합사관학교]]인지라 각 군마다 자군화(自軍化) 교육이 필요하다. 그 때문에 자위대마다 설치된 간부후보생학교에서 방위대학교 졸업자나 방위의과대학교의 졸업자를 [[원사(계급)|조장]] 계급으로 교육생으로 둔 뒤에 소정의 교육을 거쳐 삼등위로 [[임관]]시킨다. 다만 간호학과를 제외한 방위의대는 이등위로 임관한다. 교육기간이 6년으로 길기 때문이다. 간부후보생학교의 교육과정도 사관학교처럼 빽빽하기 때문에 방위대 학생들은 사실상 5년을 [[사관생도]]로 보내는 셈이다. 그것도 5년을 이어서 사관생도로 보내는 게 아니라 4년을 사관생도로 보낸 후 방위대학교를 졸업하고 다시 1년짜리 학사장교로 입대하는 셈이다. === 일반간부후보생 === [[한국]]의 [[학사장교|학사사관]]에 해당하는 과정으로 학사 이상의 학력을 입학시켜 [[OCS/OTS]] 교육을 거쳐 삼등위로 임관시키는 제도이다. 꼭 민간에서만 나오지는 않는다. [[병(군인)|사]]나 [[부사관|조사]]가 학사 이상의 학력을 취득하면 지원할 수도 있다. === 육조항공조종학생 === [[육조항공조종학생]]을 참고할 것. === 비행간부후보생 === [[항공학생]]과는 다른 조종장교를 교육하는 과정으로 [[해자대]]와 [[공자대]]에 존재한다. === 의과/치과/약과/간호과 === 의대나 치대, 약대, 간호대 출신의 학력자를 간부로 임관시키는 과정이다. 한국의 [[전문사관]]과 미국의 [[전문사관|직접임관]](direct commission)과 비슷하다. 석사 이상의 경우엔 [[중위|이등위]]로 임관한다. 일반간부후보생이나 의과/치과/약과/간호과 간부의 경우에 대비학생(貸費學生)이라 들어온 경우도 있다. [[방위성]]에서 학비를 내줬기 때문에 지원기간의 1.5배만큼을 복무하려고 들어온다. 치의관의 경우 [[자위대병원|자위대중앙병원]]의 제1차과부장의 계급이 장보로 [[소장(계급)|소장]]급이다. === 내부자 선발 === [[부사관|조사]]들을 위한 제도이다. 4회까지 치를 수 있다. *[[하사|삼등조]]의 경우 25-36세로 삼등조 3년차 이상 *[[중사|이등조]] 1년차 이상 *[[상사(계급)|일등조]]나 [[원사(계급)|조장]] 이 제도 덕분에 자위대의 장교는 유독 [[고졸]] 이하가 많다. [[2018년]] 기준으로 고졸 이하의 학력인 장교가 51%에 달했다. [[https://president.jp/articles/-/26144?page=1|관련기사]] [[항공학생]]이나 [[육조항공조종학생]] 또한 학사 학위 없이 장교를 배출할 수 있는 과정임도 영향력이 크다. 자위대의 장교들은 석사 학위 보유율도 5%에 그친다. 한국의 장성들이 야간 [[대학원]]이든 [[위탁교육]]이건 [[석사]]나 [[박사]] 학위를 따는 시늉이라도 하는 데 비해서, 일본의 최고위 장성들은 석박사 학위에 대한 소개가 있는 경우가 드물다. === 삼등위 후보자 과정 === 내부자 선발에서 합격하지 못 한 36세에서 50세 사이의 [[준위]]나 [[원사(계급)|조장]]을 대상으로 하는 시스템이다. 3회까지 치를 수 있으며 교육일 기준으로 50세 생일 전까지 지원할 수 있다. 12주간 교육을 받고 [[소위|삼등위]]로 임관한다. == 군종별 교육 == [youtube(Xy_h7mvDRCY)] 육상자위대 간부후보생학교의 하루. [youtube(Tixa7K2X1JA)] 해상자위대 간부후보생학교의 하루. [youtube(tvghLymppMA)] 항공자위대 간부후보생학교의 하루. == 출신 인물 == 자위대의 [[간부후보생학교]]에 입교하는 일반간부후보생 일반 과정이 한국의 학사사관에 해당한다. 자위대에 [[ROTC|학군단]]이 없기 때문에 [[방위대학교]] 다음으로 많은 인원을 배출하는 과정이다. [[일본군]] 출신 [[특별임관]]자들에 이어 1980년대에 몇 번 [[대장(계급)|막료장]]을 배출하기도 했지만 1990년대 들어서 [[방위대학교]]가 대장을 독점함에 따라 그 뒤의 [[진급 상한선]]은 [[중장|장]]이다. === [[육자대]] === * 고세 미키오(小瀬幹雄) - [[도쿄대학]] * 기도 겐지(鬼頭健司) - 도쿄대학 * 기쿠치 데쓰야(菊池哲也) - [[주오대학]] * 다구치 요시노리(田口義則) - [[도쿄학예대학]] * [[데라시마 다이조]]: 1956년 입대자. [[도호쿠대학]]을 졸업했고 이시이 마사오에 이어 통막의장을 지냈다. 통막의장 가운데 [[방위대학교]] 출신이 아닌 마지막 인물이다. * 마사키 유키오(正木幸夫) - 도쿄대학 * [[마쓰무라 고로]](松村五郎) - 도쿄대학 * 사사키 신지(佐々木伸司) - [[홋카이도대학]] * 스즈키 미치히코(鈴木通彦) - 규슈치과대학 * 야마시타 히로타카(山下裕貴) - 일본문리대학 * 와타베 히로유키(渡部博幸) - [[고쿠가쿠인대학]] * [[요시다 요시히데]](吉田圭秀) - 도쿄대학 * 이마우라 유우키(今浦勇紀) - [[에히메대학]] * [[이시이 마사오]]: 1956년 입대자. [[릿쿄대학]]을 졸업했고 [[통합막료회의의장]]까지 올랐다. * 호리이 다이로(堀井泰蔵) - 니쇼가쿠샤대학 === [[해자대]] === * 가마가타 요시노리(鎌形義憲) - [[센슈대학]] * 구라사코 겐지(蔵迫兼志) - [[가고시마대학]] * 니시야마 다다쓰네(西山中庸) - [[니가타대학]] * 다카시마 다쓰히코(高嶋辰彦) - [[교토대학]] * 데구치 가쓰토(出口佳努) - [[오카야마대학]] * 사에키 세이지(佐伯精司) - [[도쿄대학]] * 후나키 히로시(舩木洋) - [[요코하마대학]] * 후나타 에이이치(鮒田英一) - 도쿄대학 * [[히가시야마 슈이치로]]: [[도쿄수산대학]] 출신의 [[자위관]]. [[해군 항공대]]에서 근무했다. [[해상막료장]] 가운데 [[일본군]] 출신 [[특별임관]]이나 방대 출신이 아닌 유일한 인물이다. === [[공자대]] === * 마쓰야 준이치(松谷淳一) - [[도시샤대학]] * 미야카와 다다시(宮川正) - [[니혼대학]] * [[오무라 히토시]]: [[도쿄공업대학]]을 졸업한 뒤 항공엔지니어로 근무하다 [[항공막료장]]까지 올랐다. * [[요네카와 다다요시]]: 1956년 입대자. [[아오야마학원대학]] 출신이며 항공막료장을 지냈다. 요네카와 뒤로는 모두 방대 출신이다. * 이노우에 히로히데]](井上浩秀) - [[가쿠슈인대학]] * 히라쓰카 고지(平塚弘司) - [[와세다대학]] [[분류:일본의 자위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