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스타크래프트]]의 [[더미 데이터]] 중 하나로, [[광물(스타크래프트 시리즈)|미네랄]]이나 [[베스핀 가스]]를 채취한 덩어리를 말한다. 엄밀히 말하면 더미 데이터는 아니나 독립된 자원 청크는 더미 데이터에 속한다. == 특징 == 본래 일꾼 유닛이 자원을 채취하면 그 덩어리를 기지 건물로 가져오고 채취하던 일꾼 유닛이 파괴되면 그 자원 덩어리도 같이 없어지게 되어 있다.[* 특히 드론이 죽을 때 가끔 폭발하면서 죽는 것 같이 보이는 이유가 자원 덩이을 든 채로 죽으면서 같이 폭발하도록 되어있기 때문이다. SCV는 원래 노란 폭발을 하며 죽어서 눈에 잘 안 띄지만, 프로브는 폭발 이펙트가 파란데, 가끔 노란 이펙트가 보이는 이유도 이것.] 하지만 베타 시절에는 일꾼 유닛이 파괴되면 그 자원 덩어리를 땅에 떨구도록 되어 있었다. [[스타포지]] 같은 고급 맵 에디터로 맵을 만들다 보면 그 자원 덩어리들을 배치할 수 있다. 즉, [[스타크래프트/베타|베타 시절]]의 잔재. 지금은 일부 유즈맵에서 장식 등의 용도로 쓰이고 있다. 종류는 아래와 같다. 모두 큰 것과 작은 것의 두 가지 형태가 있다. || || 일반 || 고갈 이후 || 초상화 || || 공용 광물 [br][br] 미네랄 청크 [br] Mineral Chunk [br] 광물 덩어리 || [[파일:SCR_397_mineral_chunk.png]] [[파일:SCR_397_mineral_chunk.gif]] || || [[파일:nore.gif]] || || 테란 가스 [br][br] 베스핀 탱크 [br] Vespene Tank || [[파일:SCR_403_gas_orb_t_l.png]] || [[파일:SCR_403_gas_orb_t_s.png]] || [[파일:ngastank.gif]] || || 저그 가스 [br][br] 베스핀 색 [br] Vespene Sac [br] 베스핀 주머니 || [[파일:SCR_401_gos_orb_z_l.png]] [[파일:SCR_401_gos_orb_z_l.gif]] || [[파일:SCR_401_gos_orb_z_s.png]] [[파일:SCR_401_gos_orb_z_s.gif]] || [[파일:ngassac.gif]] || || 프로토스 가스 [br][br] 베스핀 오브 [br] Vespene Orb [br] 베스핀 보주 || [[파일:SCR_399_gas_orb_p_l.png]] [[파일:SCR_399_gas_orb_p_l.gif]] || [[파일:SCR_399_gas_orb_p_s.png]] [[파일:SCR_399_gas_orb_p_s.gif]] || [[파일:ngorb.gif]] || * 미네랄 청크/광물 덩어리(Mineral Chunk) * 베스핀 탱크(Vespene Tank) - [[테란]] 가스[* [[정제소]]에 대응] * 베스핀 색/베스핀 주머니(Vespene Sac) - [[저그]] 가스[* [[추출장]]에 대응] * 베스핀 오브/베스핀 보주(Vespene Orb) - [[프로토스]] 가스[* [[융화소]]에 대응] 한 가지 특징이라면, 절대무적 속성이 붙어서 파괴가 불가능한 미네랄 광산이나 베스핀 간헐천[* [[EUD]]로 절대 무적속성을 강제로 해제하면 이쪽도 파괴가 가능하긴하다. 자원 지대도 자원 덩이처럼 독립적 크기 타입이라 0.5의 피해만 입는다. 파괴 애니메이션은 간헐천(폭발 이펙트)만 존재하며 미네랄 광산은 그런거없이 그냥 사라진다.]과는 다르게 이쪽은 파괴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파괴시 미네랄이 깨지거나 가스가 새어나가는 그런거 없이 그냥 터지기만 한다.] 하지만 유닛 속성이 독립적 크기로 설정되어있기 때문에 대미지가 0.5씩밖에 안 들어간다. 핵을 날려도 마찬가지고 스톰으로 지져도 역시 마찬가지다. 오직 플레이그의 데미지만 정상적으로 들어간다. 때문에 이 자원 청크를 가장 빨리 파괴하는 방법은 [[해병(스타크래프트 시리즈)|마린]]으로 겹겹이 에워싼 다음에 [[전투 자극제|스팀팩]] 쓰고 [[일점사]]하면서 중간중간 플레이그를 뿌려주는 것이다. 공격 속도가 더 빠른 [[저글링(스타크래프트 시리즈)|저글링]]은 근접 유닛인데 자원 덩이의 크기가 워낙에 작아 많은 수의 저글링을 공격시키기 어렵다. 그리고, 분명히 자원 덩어리인데 일꾼 유닛으로 들고 가도 본진 건물에 못 집어 넣는다. 그리고 그 일꾼 유닛을 파괴하면 같이 터지는 게 아니라 그냥 떨군다. 들고 있는 일꾼 유닛이 수송선에 탄 채로 파괴되어도 그 자원 청크는 어딘가에 떨어져 있다.[* 이는 [[사이오닉 방출기]], [[사라 케리건|번데기]], [[케이다린 수정]] 등 [[스타크래프트/기타 오브젝트|"Powerups"]] 분류에 들어가는 것들도 적용된다.] [[스타크래프트 2]]에서는 이 문제를 염두에 두었는지 임의의 유닛[* 꼭 일꾼 유닛이 아니어도 된다.]이 닿는 즉시 자원을 회수하도록 바뀌었다. 특히 [[협동전 임무]]에서 자기 혹은 동맹이 [[사라 케리건/협동전 임무|케리건]]일 때 지겹도록 볼 수 있다. == 여담 == *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에서는 초상화는 리마스터가 되었으나 와이어 프레임은 따로 리마스터를 하지 않았고, 이 중 미네랄 덩이와 저그 가스는 색상이 오히려 단색으로 바뀌었다. * [[해처리버그]]처럼 스타를 튕기게 하는 버그가 존재한다. 1. 자원 청크를 하이템플러의 허상으로 복사한다. 1. 일꾼 유닛으로 그 허상 청크를 잡는다. 1. 허상 시간이 경과했을 때(즉, 다른 한 허상 청크가 저절로 사라졌을 때) 그 일꾼 유닛을 죽인다. 1. 그러면 스타가 튕겨버린다. 화면에 보이지 않더라도 마찬가지. * [[스타크래프트 2|2편]]에 나오는 '풍부한 베스핀 간헐천'에서 가스를 채취할 경우 가스덩이가 보라색으로 바뀐다. [[테라진 가스]]를 염두에 둔 것. * 의미는 없지만 [[스파이더 마인]]이 반응(...)한다. [[분류:스타크래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