資本主義の豚 >괜찮습니다. 저는 M보이니까요.[* 원문은 "괜찮습니다. 전 M남이니까요."] > >-트랙 13:MASOCHIST의 마지막 컷에서 [[디트로이트 메탈 시티]]의 등장 캐릭터. 본명은 나시모토 케이스케(梨元圭介)이다. 성우는 배우 겸 성우 [[마츠야마 타카시]]. [* [[암살교실]]에서 이리나의 사부인 로브로 브로프스키로 출연했던 성우이기도 하다.] 머리가 다 벗겨진 중년의 남성으로 작중에서는 DMC의 라이브 무대에서 [[마조히즘|마조히스트]] 남성으로 등장하는 퍼포머이다. 물론 나시모토 본인도 진성 [[마조히스트|M]]이다. 이혼한 아내가 있으며 아들은 아내가 양육하고 있다. 아내도 아들도 재혼 상대와 잘 살고 있다. 늘 [[네기시 소이치]](=[[크라우저 2세]])는 그에게 미안한 마음을 가지고 있지만, 전술했다시피 나시모토 본인이 진성의 M이기 때문에 크게 신경쓰지는 않는 모양이다. 그 증거로 트랙 4:REAL LEGEND(1권 분량)와 트랙 13:MASOCHIST(2권 분량)에선 "괜찮습니다. 저는 마조히스트니까요."라는 대사를 말했으며, 5권에선 "아빠가 더 느끼고 있단다."란 대사를 뱉었다. 또, 7권에 실린 트랙 69:EGG에서 [[로자드]]가 자신을 괴롭히지 않을 땐 불안해하며 몸이 가렵다고 한다(...). 기본적으로는 크라우저에게 '''학대를 당하며 쾌락을 느끼는 M''' 역할이지만 트랙 13에서 딱 한번 네기시의 의견으로 '자본주의의 영웅'이라는 포지션으로 DMC의 라이브 무대에서 직접 노래를 부르기도 하였다. 원래는 DMC의 라이브가 없는 날 [[아르바이트]]를 하는 [[편의점]]에서 함께 일하며 짝사랑하게 된 우에무라라는 젋은 이혼녀에게 어필을 하려 했던 것으로, 팬들은 전혀 DMC스럽지 않은 퍼포먼스를 보고 의아해했다. 처음에는 얌전하게 지켜보던 [[크라우저 2세]]는 결국 머리에 피가 돌자 '''"그딴 노래로 암컷을 차지하겠냐!"'''[* 원작에서는 'やれるか', 따먹을 수 있겠냐(...) 정도의 의미.]면서 나시모토의 입에 마이크를 박아서 쓰러뜨렸다. 이후 나시모토 자신도 뭔가를 깨달았는지 평소의 M연기를 선보이게 되었고 그 모습을 우에무라에게 보이고 말아 결국 편의점을 그만두고 말았다. 이후 트랙 22:FAKE에 보면 네기시가 분장한 크라우저 2세와 로자드가 분장한 크라우저 2세를 구별할 수 있는 모양이다. [[아재|나이가 나이다보니]] 퍼포먼스가 다소 힘든 듯하지만, 3권에서는 모종의 이유로 한계까지 힘을 발휘하여 [[사장(디트로이트 메탈 시티)|사장]]을 감탄시키기도 하였다. 4권 이후론 견습생까지 두고 있으며 그 견습생에게서 진정한 돼지라는 칭찬을 들었다. 또 8권의 트랙 87에선 네기시가 고향에 내려간 이후에도 라이브 하우스에서 계속 서 있었으며 한 DMC 신도에 의해 SM 클럽으로 갔으나 SM 클럽을 뛰쳐나와 다시 그 라이브 하우스로 돌아온 뒤에 쓰러져있었다. 이후 라이브 하우스 관리인이 쓰러진 나시모토를 무대에 올려보냈고, 다음날 네기시가 [[오이타|고향]]에서 돌아와 그 라이브 하우스에 왔을 땐 라이브 하우스 앞에 충돈 돼지공 동상이 세워져 있었다.[* [[하치코|충견 하치공]]의 패러디이다.] 마지막권에선 [[칼스 히데키]](갓)의 공연장의 비디오를 바꿔치기해서 크라우저 2세의 난입을 도와주기도 했다. 마지막 등장은 트랙 111의 마지막 컷이며 이후 그의 행적은 나타나지 않았다. 작품이 보는 사람에 따라선 결말이 없다고 볼 수 있는 [[열린 결말]]로 끝나서 나시모토의 이후 행적은 더더욱 알 수 없게 됐다. 크라우저 2세가 심심할 때마다 게스트 출연하는 동인게임 스즈미야 하루히의 역전 시리즈 3편 에피소드 2에서는 [[컴퓨터부 부장]]이 자본주의의 돼지 역으로 출연한 바 있다. '''크라우저 2세 살인미수 혐의로'''(...). 그런데 그 장면에서 [[쿈]] 왈, "'''왠지 기뻐보이는 듯 한데''', 분명 [[기분 탓]]일 테지." [[지못미]]. [[분류:디트로이트 메탈 시티/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