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자낳대)] [include(틀:자낳대 역대 우승팀)] [목차] [clearfix] == 개요 == [[자낳대]] 역대 우승팀을 소개하는 문서. == 리그 오브 레전드 자낳대 == === [[자낳대 1회 스트리머 이벤트 매치|2019 시즌 1]] - 아카츠키 === ||<-5> [[자낳대 1회 스트리머 이벤트 매치#s-3.1|[[파일:팀아카츠키.png|width=100]]]] || ||<-5> {{{#white {{{+2 ''' [[자낳대 1회 스트리머 이벤트 매치|{{{#white 2019 시즌 1}}}]]'''}}}}}} || ||<-5> [[파일:자낳대 1회 우승팀 아카츠키.jpg|width=100%]] || ||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svg|width=25]][br]'''{{{#000,#ffffff TOP}}}'''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svg|width=25]][br]'''{{{#000,#ffffff JGL}}}'''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svg|width=25]][br]'''{{{#000,#ffffff MID}}}'''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바텀.png|width=25]][br]'''{{{#000,#ffffff BOT}}}'''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svg|width=25]][br]'''{{{#000,#ffffff SUP}}}''' || || [[강소연(인터넷 방송인)|강소연]][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탑 분쇄기}}}}}} || [[스나랑|서나랑]][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서나랑}}}}}} || [[소풍왔니]][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섹시가이 원유리}}}}}} || [[백설양]][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슈리마여동탄하라}}}}}} || [[정예지#s-1|예지]][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예지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JluFfCAqKo)]}}}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자낳대 1회 스트리머 이벤트 매치, 문단=3.1)] 여성으로만 구성된 팀이며 우승까지 성공한 기록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 대회는 이미 구성된 팀들이 참여한 대회이기에 경매제가 아닌 참가자끼리 팀을 꾸려서 우승한 기록은 처음이자 유일하다. 이것 때문에 갈수록 자낳대의 수준이 올라지고 있는 상황에서 급이 낮다고 폄하하는 사람들도 몇 존재한다. === [[AMD 자낳대 시즌2|2019 시즌 2]] - 유찰투스 === ||<-5> [[AMD 자낳대 시즌2#s-3.4|[[파일:juchaltus.png|width=90]]]] || ||<-5> {{{#white {{{+2 '''[[AMD 자낳대 시즌2|{{{#white 2019 시즌 2}}}]]'''}}}}}} || ||<-5> [[파일:자낳대 2회 우승팀 유찰투스.jpg|width=100%]] || ||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svg|width=25]][br]'''{{{#000,#ffffff TOP}}}'''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svg|width=25]][br]'''{{{#000,#ffffff JGL}}}'''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svg|width=25]][br]'''{{{#000,#ffffff MID}}}'''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바텀.png|width=25]][br]'''{{{#000,#ffffff BOT}}}'''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svg|width=25]][br]'''{{{#000,#ffffff SUP}}}''' || || [[한동숙]][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2633 한성욱}}}}}} || [[피유]][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beyouS2}}}}}} || [[서현석(프로게이머)|소우릎]][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우르프rider}}}}}} || [[오킹]][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취리히}}}}}} || [[권이슬]][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권자봉}}}}}}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nXPVaP_A30)]}}}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AMD 자낳대 시즌2, 문단=3.4)] 자낳대 최초로 경매제도가 시행되고 우승한 팀이여서 보유 기록이 많았었다. 자낳대 8회에 깨지기 전까지 최고 포인트가 결승에 진출한다는 징크스를 만들어내기도 했었으며, 마찬가지로 8회에 깨지기 전까지 팀 이름대로 유찰선수를 데리고 우승까지 성공한 첫 팀이다. 자낳대 결승에서만 최초로 전승한 팀이기도 하다. 소우릎은 이 대회 이후로 8회에 깨지기 전까지 비공식 6회로 자낳대 연속 결승진출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 [[AMD 자낳대 시즌3|2019 시즌 3]] - DGG === ||<#fff><-5> [[AMD 자낳대 시즌3#s-3.3|[[파일:팀DGG.png|width=200]]]] || ||<-5> {{{#white {{{+2 '''[[AMD 자낳대 시즌3|{{{#white 2019 시즌 3}}}]]'''}}}}}} || ||<-5> [[파일:자낳대 3회 우승팀 DGG.jpg|width=100%]] || ||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svg|width=25]][br]'''{{{#000,#ffffff TOP}}}'''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svg|width=25]][br]'''{{{#000,#ffffff JGL}}}'''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svg|width=25]][br]'''{{{#000,#ffffff MID}}}'''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바텀.png|width=25]][br]'''{{{#000,#ffffff BOT}}}'''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svg|width=25]][br]'''{{{#000,#ffffff SUP}}}''' || || [[홍차(인터넷 방송인)|홍차]][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DGG 박정현}}}}}} || [[철면수심]][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DGG 김종수}}}}}} || [[정예지#s-1|예지]][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DGG 정예지}}}}}} || [[이초홍]][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DGG 이희주}}}}}} || [[인간젤리]][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DGG 곽석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6mQAKHMdw8E)]}}}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AMD 자낳대 시즌3, 문단=3.3)] 전 프로게이머가 출전한 대회다. 자낳대 유일무이한 바텀게임으로만 승리한 팀이며, 자낳대 최초로 패승승하고 우승한 팀이다. 예지는 자낳대 최초로 2번 출전해서 2번 우승한 선수가 되었으며, 철면수심은 전 시즌 꼴등을 하고 다음 시즌에 우승을 하는 첫 선수가 되었다. === [[AMD 자낳대 2019 파이널|2019 파이널]] - TSM!!!? === ||<-5> [[AMD 자낳대 2019 파이널#s-3.1|[[파일:TeamSonyeMid-LOGO.png|width=100]]]] || ||<-5> {{{#white {{{+2 '''[[AMD 자낳대 2019 파이널|{{{#white 2019 파이널}}}]]'''}}}}}} || ||<-5> [[파일:자낳대 4회 우승팀 TSM!!!?.jpg|width=100%]] || ||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svg|width=25]][br]'''{{{#000,#ffffff TOP}}}'''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svg|width=25]][br]'''{{{#000,#ffffff JGL}}}'''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svg|width=25]][br]'''{{{#000,#ffffff MID}}}'''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바텀.png|width=25]][br]'''{{{#000,#ffffff BOT}}}'''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svg|width=25]][br]'''{{{#000,#ffffff SUP}}}''' || || [[장현재|던]][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TSM 장현재}}}}}} || [[치킨쿤]][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TSM 차보해}}}}}} || [[지수소녀]][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TSM 박지수}}}}}} || [[오킹]][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TSM 오병민}}}}}} || [[노돌리]][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TSM 김현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RUhAPhxPH0)]}}}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AMD 자낳대 2019 파이널, 문단=3.1)] 자낳대 최초로 시청자들이 직접 관전하는 대회이며, 감독제도가 생긴 대회에서 우승한 팀이다. 또한, 자낳대 최초로 미드-정글이 다이아인 팀으로 우승에 성공하여, 자낳대 아니 롤은 역시 미드-정글 게임이라는 것을 2회 우승팀은 유찰투스에 이어 다시 상기시켜주었다. 오킹도 예지에 이어 2회 출전 2회 우승한 선수가 되었다. === [[2020 AMD 자낳대 시즌 1|2020 시즌 1]] - 재넌지원금 === ||<-5> [[2020 AMD 자낳대 시즌 1#s-3.3|[[파일:jn_logo.png|width=100]]]] || ||<-5> {{{#white {{{+2 '''[[2020 AMD 자낳대 시즌 1|{{{#white 2020 시즌 1}}}]]'''}}}}}} || ||<-5> [[파일:support_jaeneon.jpg|width=100%]] || ||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svg|width=25]][br]'''{{{#000,#ffffff TOP}}}'''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svg|width=25]][br]'''{{{#000,#ffffff JGL}}}'''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svg|width=25]][br]'''{{{#000,#ffffff MID}}}'''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바텀.png|width=25]][br]'''{{{#000,#ffffff BOT}}}'''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svg|width=25]][br]'''{{{#000,#ffffff SUP}}}''' || || [[강소연(인터넷 방송인)|강소연]][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화웅|{{{#fff 화웅}}}]] 강소연}}}}}} || [[쌍베]][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초선#s-3|{{{#fff 초선}}}]] 전상빈}}}}}} || [[재넌]][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헌제|{{{#fff 헌제}}}]] 이재원}}}}}} || [[백설양]][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동탁|{{{#fff 동탁}}}]] 진희재}}}}}} || [[침착맨]][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이각|{{{#fff 이각}}}]] 이병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3Is36sYFROM)]}}}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0 AMD 자낳대 시즌 1, 문단=3.3)] 선호산 법이 생긴 이후로 최초로 우승한 팀이며, 자낳대 최초로 블라인드 픽이 있는 대회에서 우승한 팀이다. 4회의 감독제도와 다르게 2회와 3회처럼 팀장체제로 치러진 마지막 대회이기도 하다. 한편, 결승 맞상대인 코치 소우릎은 준우승으로 자낳대 최초로 감독, 코치, 선수로 준우승을 한 참가자가 되었다. === [[2020 AMD 자낳대 시즌 2|2020 시즌 2]] - JDG === ||<-5> [[2020 AMD 자낳대 시즌 2#s-3.2|[[파일:JD Gaming(조리돌림 게이밍) Logo.png|width=100]]]] || ||<-5> {{{#white {{{+2 '''[[2020 AMD 자낳대 시즌 2|{{{#white 2020 시즌 2}}}]]'''}}}}}} || ||<-5> [[파일:자낳대 6회 우승팀 JDG.jpg|width=100%]] || ||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svg|width=25]][br]'''{{{#000,#ffffff TOP}}}'''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svg|width=25]][br]'''{{{#000,#ffffff JGL}}}'''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svg|width=25]][br]'''{{{#000,#ffffff MID}}}'''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바텀.png|width=25]][br]'''{{{#000,#ffffff BOT}}}'''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svg|width=25]][br]'''{{{#000,#ffffff SUP}}}''' || || [[러너(인터넷 방송인)|러너]][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JDG 러너}}}}}} || [[철면수심]][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JDG 철면수심}}}}}} || [[악어(인터넷 방송인)|악어]][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JDG 악어}}}}}} || [[따효니]][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JDG 따효니}}}}}} || [[이춘향]][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JDG 이춘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ZlX29H3_yQ)]}}}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0 AMD 자낳대 시즌 2, 문단=3.2)] 경매가 시작된 이후 자낳대 마지막 4팀 체제에서 우승한 팀이며, 유일하게 전승으로 우승한 팀이다. 인간젤리는 감독으로 우승하면서 자낳대 최초로 감독, 코치, 선수로 모두 우승한 참가자가 되었다. === [[2021 자낳대 시즌 1|2021 시즌 1]]- 핵가족 === ||<-5> [[2021 자낳대 시즌 1/핵가족|[[파일:NF.png|width=100]]]] || ||<-5> {{{#white {{{+2 '''[[2021 자낳대 시즌 1|{{{#white 2021 시즌 1}}}]]'''}}}}}} || ||<-5> [[파일:32af180f3cda3df67087477a46da9733.jpg|width=100%]] || ||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svg|width=25]][br]'''{{{#000,#ffffff TOP}}}'''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svg|width=25]][br]'''{{{#000,#ffffff JGL}}}'''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svg|width=25]][br]'''{{{#000,#ffffff MID}}}'''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바텀.png|width=25]][br]'''{{{#000,#ffffff BOT}}}'''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svg|width=25]][br]'''{{{#000,#ffffff SUP}}}''' || || [[김진효|룩삼]][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NF 빨치삼}}}}}} || [[배돈]][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NF 대포돈}}}}}} || {{{#000,#ffffff 빞케이}}}[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NF 북케이}}}}}} || [[루밍쨩]][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NF 혁명쨩}}}}}} || [[김나성]][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NF 간나성}}}}}}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uWPZE5GEyM)]}}}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1 자낳대 시즌 1/핵가족)] 자낳대가 4팀에서 6팀으로 조별리그가 생기고 우승에 성공한 팀이며, 탑 캐리가 무엇인지 처음으로 보여준 팀이다. 조별리그 첫 4전 전승 통과 팀이며, 5판 3선승제 결승 첫 우승팀이자 첫 3:0 우승팀이기도 하다. === [[2021 자낳대 시즌 2|2021 시즌 2]] - 중력쫀나빞삼 === ||<-5> [[2021 자낳대 시즌 2/중력쫀나빞삼|[[파일:중력쫀나빞삼(수정).png|width=100]]]] || ||<-5> {{{#white {{{+2 '''[[2021 자낳대 시즌 2|{{{#white 2021 시즌 2}}}]]'''}}}}}} || ||<-5> [[파일:98117002e882953a74dd4a1ed899be24.png|width=100%]] || ||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svg|width=25]][br]'''{{{#000,#ffffff TOP}}}'''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svg|width=25]][br]'''{{{#000,#ffffff JGL}}}'''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svg|width=25]][br]'''{{{#000,#ffffff MID}}}'''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바텀.png|width=25]][br]'''{{{#000,#ffffff BOT}}}'''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svg|width=25]][br]'''{{{#000,#ffffff SUP}}}''' || || [[중력(인터넷 방송인)|중력]][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쫀나빛삼 박중력}}}}}} || [[삼식]][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폭풍성장 한삼식}}}}}} || {{{#000,#ffffff 빞케이}}}[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인증마크 빛케이}}}}}} || [[쫀득(인터넷 방송인)|쫀득]][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파격세일 박쫀득}}}}}} || [[김나성]][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위장매물 김나성}}}}}}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X9L4XH-PLI)]}}}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1 자낳대 시즌 2/중력쫀나빞삼)] 자낳대 최초로 본격적으로 통계와 기록이 중계화면에 나오고 실시간 캠 화면과 관전 포인트 결승전 사전 예상 등 뒷골목 대회가 아니라 이제는 트위치에서 어느 정도 인정받는 대회라는 것을 알리기 시작한 회차에 우승한 팀이다. 무엇보다 그걸 증명하는 것이 그동안 있던 수 많은 자낳대 징크스가 깨졌으며, 이 팀도 펜타킬을 하고 유찰 선수도 없고 팀명을 선수이름을 들어가게 했는데도 우승에 성공한 최초의 팀이다. 또한 역대 우승 팀 중 유일하게 참가 인원이 전부 남성으로만 구성되어 있는 팀이기도 하다. === [[2022 자낳대 시즌 1|2022 시즌 1]] - 무관유죄 === ||<-5> [[2022 자낳대 시즌 1/무관유죄|[[파일:무관유죄.png|width=100]]]] || ||<-5> {{{#white {{{+2 '''[[2022 자낳대 시즌 1|{{{#white 2022 시즌 1}}}]]'''}}}}}} || ||<-5> [[|width=100%]] || ||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svg|width=25]][br]'''{{{#000,#ffffff TOP}}}'''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svg|width=25]][br]'''{{{#000,#ffffff JGL}}}'''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svg|width=25]][br]'''{{{#000,#ffffff MID}}}'''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바텀.png|width=25]][br]'''{{{#000,#ffffff BOT}}}'''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svg|width=25]][br]'''{{{#000,#ffffff SUP}}}''' || || [[해기님]][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기사폭행 해기}}}}}} || [[남봉]][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모근살인 남봉}}}}}} || [[도현]][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전과4범 도현}}}}}} || [[조현수(프로게이머)|플러리]][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무관횡단 플러리}}}}}} || [[장현재|던]][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모범시민 던}}}}}}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4gSvQn6RNOk)]}}}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2 자낳대 시즌 1/무관유죄)] 다사다난한 사건이 많던 9회차에 무관 감독과 무관 선수 4명이 모여 무관이라는 설움을 끊고 마침내 승리했다. 조별 리그를 전승으로 이기고 결승은 3:0으로 이긴 2번째 팀이며, 코치를 고용하지 않는다고 늘 문제로 제기 받던 갱맘이 마침내 증명시킨 팀이다. 사회복무요원 신분인 도현이 우승하면서 유일하게 상금을 받지 못 하며 최초의 사회복무요원 신분으로 우승한 기록과 소우릎은 두 번째로 등장한 멘탈 코치이나 멘탈 코치라는 보직으로는 최초로 우승한 기록을 남겼다. 또한, 6팀 체제 이후 스크림 승률 1위는 우승하지 못한다는 징크스를 깨버렸다. === [[2022 자낳대 시즌 2|2022 시즌 2]] - TLG === ||<-5> [[2022 자낳대 시즌 2/TLG|[[파일:tlg_logo.png|width=100]]]] || ||<-5> {{{#white {{{+2 '''[[2022 자낳대 시즌 2|{{{#white 2022 시즌 2}}}]]'''}}}}}} || ||<-5> [[|width=100%]] || ||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svg|width=25]][br]'''{{{#000,#ffffff TOP}}}'''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svg|width=25]][br]'''{{{#000,#ffffff JGL}}}'''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svg|width=25]][br]'''{{{#000,#ffffff MID}}}'''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바텀.png|width=25]][br]'''{{{#000,#ffffff BOT}}}'''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svg|width=25]][br]'''{{{#000,#ffffff SUP}}}''' || || [[메도우이헌터]][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TLG 메도우이헌터}}}}}} || [[청묘]][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TLG 청묘}}}}}} || [[왜냐맨]][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TLG 왜냐맨}}}}}} || [[조현수(프로게이머)|플러리]][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TLG 플러리}}}}}} || [[미미미누]][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TLG 미미미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QnuH-HhdDg)]}}}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2 자낳대 시즌 2/TLG)] 탑 - 미드 - 원딜 3포지션을 1티어 매물로 구성함으로써 경매 직후부터 강력한 우승후보라 평가받았고, 스크림 승률 75.6%로 역대 최고 승률을 기록한 팀이다. 하지만 스크림 때와는 달리 밴픽에 말려 조별 리그에서는 1승 3패로 탈락 위기에 놓였지만, 순위 결정전에서 힘겹게 승리하여 조 2위로 4강에 진출. 4강과 결승전에서는 스크림 때의 압도적인 실력을 보이며 결국 우승에 성공했다. 조별 리그에서 많이 패배하여 7승 5패, 약 58.3%의 승률로 우승하여 역대 최저 승률로 우승한 팀이자, 조별 리그 2위가 우승한 최초의 팀이다. 메도우이헌터와 청묘는 첫 출전에서 바로 우승을 거머쥐었고, 특히 청묘는 유찰 정글 MVP라는 큰 명예를 얻었으며, 왜냐맨은 4회 만에 우승 트로피를 들어올렸다. 플러리의 경우 바로 직전 시즌 우승에 이어 이번에도 우승함으로써 자낳대 최초 2회 연속 우승 원딜 및 파워랭킹 전체 1위, 2022년 자낳대 시즌 통합 우승이라는 쾌거를 얻었으며, 미미미누는 조별탈락 - 준우승 - 우승이라는 성장드라마를 써 내려갔다. 감독인 캡틴잭도 자낳대 최초 2회 우승 감독이라는 타이틀을 얻었으며, 8회 우승팀인 중력쫀나빞삼에 이어 남자로만 구성된 팀이다. 또한 조별 1위 팀 우승 징크스, 우승팀은 1패만 한다는 징크스 등 다양한 징크스를 깨 버렸다. === [[2023 자낳대 시즌 1|2023 시즌 1]] - 칠순집 막내아들 === ||<-5> [[2023 자낳대 시즌 1/칠순집 막내아들|[[파일:자낳대11칠순집막내아들.png|width=100]]]] || ||<-5> {{{#white {{{+2 '''[[2023 자낳대 시즌 1|{{{#white 2023 시즌 1}}}]]'''}}}}}} || ||<-5> [[|width=100%]] || ||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svg|width=25]][br]'''{{{#000,#ffffff TOP}}}'''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svg|width=25]][br]'''{{{#000,#ffffff JGL}}}'''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svg|width=25]][br]'''{{{#000,#ffffff MID}}}'''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바텀.png|width=25]][br]'''{{{#000,#ffffff BOT}}}'''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svg|width=25]][br]'''{{{#000,#ffffff SUP}}}''' || || [[중력(인터넷 방송인)|중력]][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중윤기}}}}}} || [[스나랑]][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스화영}}}}}} || [[도현]][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현도준}}}}}} || [[러너(인터넷 방송인)|러너]][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러동기}}}}}} || [[한동숙]][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6441A4; font-size: 0.75em;" {{{#ffffff 칸영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3 자낳대 시즌 1/칠순집 막내아들)] 경매 당시에만 해도 무난한 강팀으로 평가받았으나 스크림에서의 14연패로 풀리그 꼴찌가 정배라는 소리를 들은 적이 있다. 하지만 풀리그 최종전에서 푸켓몬스터를 꺾고 극적으로 2위를 차지하면서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고, 플레이오프에서는 못말린다니깐과의 풀세트 접전 끝에 2:1로 결승에 진출한다. 그리고 결승전에서 먼저 기다리던 따봉디제도를 상대로도 5세트까지 가면서 끝끝내 우승을 차지하면서 자낳대 역사상 최초로 결승전 5세트에서 우승한 팀의 영광을 누리게 된다. === [[2023 자낳대 시즌 2|2023 시즌 2]] - === == 와일드 리프트 자낳대 == === [[와낳대|2020 시즌]] - 테스형 === ||<-5> [[파일:와낳대테스형.png|height=40]] [[와낳대#s-4.3|'''{{{#ffffff '''{{{#ffffff 테스형(Ten Eggs Sports)}}}'''}}}''']] || ||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width=20]][br]'''{{{#ffffff TOP}}}'''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width=20]][br]'''{{{#ffffff JGL}}}'''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width=20]][br]'''{{{#ffffff MID}}}'''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width=20]][br]'''{{{#ffffff BOT}}}'''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width=20]][br]'''{{{#ffffff SUP}}}''' || || [[얍얍]] || [[인간젤리]] || [[중력(인터넷 방송인)|중력]] || [[도현]] || [[장현재|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와낳대, 문단=3.3)] 당시 롤 자낳대 무관이었던 [[얍얍]]과 [[중력(인터넷 방송인)|중력]], [[도현]]이 우승하게 만들어준 팀. 많은 자낳대 시청자들이 리그 오브 레전드가 아니므로 [[아우디 컵]]이나 [[에미레이트 컵]] 같은 친선전으로 봐야한다는 말이 많았다. 즉, 정식 자낳대 우승이 아닌 이벤트전 우승이므로 세 명은 여전히 무관이라는 논리. 특히 네클릿이 개인방송에서 [[와낳대]]는 [[스낳대]]나 [[발낳대]]와 다르게 우리(인벤/인챈트)가 주최한게 아니라 외주제작을 맡은거라 근본이 좀 없다는 언급을 하면서 정식 자낳대로도 보기 어렵다고 했다.[* 방송 송출도 인벤/인챈트 채널이 아닌 라이엇/발로란트 공식 채널로 중계되었다.] 그러나 이후 자낳대 종목이 더 많아지고, 2023년에 새로 개설된 자낳대 홈페이지에도 와낳대를 정식 자낳대로 기록하고 있다. [[https://www.enchantenter.team/wrjnd|#]] 하지만 그 사이 중력과 도현이 롤낳대를 우승하면서 얍얍만 여전히 무관으로 남게 되었다. == 스타크래프트 자낳대 == === [[스낳대|2021 시즌]] - 테사기 === [include(틀:철면수심 팀 스낳대)] == 서든어택 자낳대 == === [[서낳대|2021 시즌]] - 즐렉사 === [include(틀:류제홍 팀 서낳대)] === [[2022 자낳대: 서든어택 시즌 2|2022 시즌]] - 홍이꺼 === [include(틀:류제홍 팀 서낳대2)] == 발로란트 자낳대 == === [[2022 자낳대: 발로란트|2022 시즌]] - 마왕군 === [include(틀:마왕군 발낳대)]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2 자낳대: 발로란트, 문단=5.4)] === [[2023 자낳대: 발로란트|2023 시즌]] - 앵그리버니 === [include(틀:앵그리버니 발낳대 2회)]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3 자낳대: 발로란트/앵그리버니)] == 파라곤: 디 오버프라임 자낳대 == === [[2022 자낳대: <파라곤: 디 오버프라임>|2022 시즌]] - 부산행 === ||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자낳대파라곤부산행.jpg|width=100%]]}}}|| [include(틀:푸린 팀 파낳대)] == 베일드 엑스퍼트 자낳대 == === [[2023 자낳대: 베일드 엑스퍼트 시즌 1|2023 시즌 1]] - 강강중력약약 === [include(틀:학살 팀 베낳대)] === [[2023 자낳대: 베일드 엑스퍼트 시즌 2|2023 시즌 2]] - 시스터즈 === [include(틀:류제홍 팀 베낳대2)] == 사이퍼즈 자낳대 == === [[2023 자낳대: 사이퍼즈|2023 시즌]] - 복권방 === [include(틀:매드라이프 팀 (사낳대))]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틀:자낳대 역대 우승팀, version=32)] [[분류:자낳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