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慈慶志咸興日記. [[조선]] [[순조]] 10년인 1810년에 [[김원근]](金元根)이 [[함흥시|함흥]] 지역과 [[금강산]]을 유람하며 지은 한글[[일기]]이자 기행문. 현재 [[서울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 내용 == [[김조순]]의 아들인 김원근이 1810년에 자신의 종숙(從叔)인 김명순(金明淳)이 [[함경도]] 관찰사로 부임하게 되자 이를 따라가며 지은 일기로, 1810년 3월 18일부터 시작하여 5월 6일까지 약 2개월간 저술하였다. 일기에 기록된 기행지는 크게 [[흥인지문]]-다락원-[[포천시|포천]]-풍전역-[[김화군|금성]]-신안역-고산역-[[석왕사]]-[[안변군|안변]]-[[원산시|덕원]]-[[고원군|고원]]-[[영흥군|영흥]]-[[정평군|정평]]-[[함흥시|함흥]]-[[통천군|통천]]-장안사-[[고성군(강원도)|고성]]-다락고개-추지령-[[김화군|김화]]-[[포천시|포천]]-[[한양]]으로 약 2,000여 리이며, 그 과정에서 [[금강산]]과 [[관동팔경]]을 유람한 내용 또한 존재한다. 1800년대초 [[함흥시|함흥]]과 [[금강산]] 지역 유람기로 당시 그 지역의 경제, 문화 등을 연구할 때 도움이 되며, 또한 일기 내용 외에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6363&cid=46643&categoryId=46643|이태조구산지설화]](李太祖求山地說話), 쥐당(鼠堂), 석왕사(釋王寺) 나한보살(羅漢菩薩), 상봉정(相逢亭) 등 우리나라에 옛부터 전해져 내려오던 여러 기이한 설화 등이 많이 기록되어 있어 그 가치를 매우 높이 평가받고 있다. == 외부 링크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7740&cid=46641&categoryId=46641|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자경지함흥일기]]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93524&cid=41708&categoryId=41711|국어국문학자료사전 : 자경지함흥일기]]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6795&cid=41708&categoryId=44531|고전문학사전 : 자경지함흥일기]] [[분류:조선의 일기]][[분류:서울대학교 도서관 소장품]][[분류:서울특별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