任熙載 [[1472년]] ~ [[1504년]] [[10월 28일]] (향년 32세) [목차] == 개요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풍천 임씨|풍천]](豊川)[* 14세 재(載) 항렬.], 자는 경여(敬輿), 호는 물암(勿菴), 눌암(訥菴). [[임사홍(조선)|임사홍]]의 차남으로 [[김종직]]의 제자이다. == 생애 == 1472년(성종 3) 아버지 [[임사홍]]과 어머니 [[전주 이씨]]사이의 4남 2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어릴 때부터 엄청난 천재였다. 15세 되던 1486년(성종 17) 9월 15일 식년 [[진사|진사시]]에 1등 1위, 즉 [[장원급제|장원으로]]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SA_6JOa_1486_000933|입격했고]], 2년 뒤에는 [[충청도|충청우도]]에서 열린 문과 향시(鄕試)에서도 [[https://sillok.history.go.kr/id/kia_11909006_002|합격했다]]. 이를 두고 신하들은 임사홍의 권력을 이용한 부정 시험이라고 비난했지만, [[임사홍]]은 임희재가 초시 합격할 때 귀양을 가있다가 직첩도 반년 전(1486년 3월)쯤에 돌려받은 상황이었고 전방위로 까이던 사람이었는데 부정시험을 할 만한 처지가 아니었다. 그 뒤 27세 되던 1498년([[연산군]] 4) 식년 문과에 2등 3위로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N_6JOa_1498_002067|급제해]] 정자(正字, 정9품)에 제수됐으나 같은 해 일어난 [[무오사화]] 때 이목(李穆)에게 쓴 편지로 아버지와 같이 국문을 받았고, [[붕당]]을 조직한 죄로 [[https://sillok.history.go.kr/id/kja_10407027_001|곤장 100대를 맞고]] 3천리 밖의 [[함경도]] [[경성군|경성도호부]](現 [[함경북도]] [[경성군]])에 [[https://sillok.history.go.kr/id/kja_10407026_006|유배되었다]]. 이후 [[한성부]]로 돌아와 거주했으나 1504년(연산군 10) 5월 27일 연산군의 명으로 도성 밖으로 [[https://sillok.history.go.kr/id/kja_11005027_007|쫓겨났고]], 그해 일어난 [[갑자사화]] 때는 무오사화 당시의 일로 인해 [[https://sillok.history.go.kr/id/kja_11010023_010|다시 국문을 받다가]] 대나무를 그려 족자를 만들어 [[연산군]]을 비판하는 시를 쓴 게 들통나서 결국 그해 10월 28일 [[능지처참]]을 [[https://sillok.history.go.kr/id/kja_11010028_004|당했다]]. 향년 32세. 임희재의 부인은 [[영응대군]]의 외손녀인 구순복이었는데 구순복의 올케가 [[연산군]]의 딸 [[휘신공주]]였다.[* [[휘신공주]]는 구순복의 오빠 구문경의 부인이었다.] [[휘신공주]]가 구순복을 방면해달라고 [[연산군]]에게 부탁해서 남편의 죄에 [[https://sillok.history.go.kr/id/kja_11012014_002|연루되지 않았다]]. 사후 1505년 1월 5일 자택이 [[연산군]]의 딸인 [[휘신공주]]에게 [[https://sillok.history.go.kr/id/kja_11101005_008|하사되었고]], 7월 14일 《선원록》에서 그와 자식들의 이름이 [[https://sillok.history.go.kr/id/kja_11107014_004|삭제되었다]]. 임희재가 죽었을 때 중종실록의 사관의 평에 의하면 [[연산군]]이 이 일로 자신에 대하여 원한을 가지는 거 아닌가하여 [[임사홍]]을 감시했더니 되려 잔치를 벌이고 있었기에 마음을 놓았다는 기록이 있다. == 가족 관계 == * 부 : [[임사홍]](任士洪) * 모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보성군[* [[효령대군]]의 3남](寶城君)의 딸 * 부인 : [[능성 구씨|구순복]] - 구수영(具壽永)과 길안현주[* [[임영대군]]의 장녀](吉安縣主)의 딸 * 장녀 : [[풍천 임씨]](豊川 任氏) - 신홍조에 출가 == 대중매체에서 == 만화가 [[고우영]]은 자신의 만화에서는 임희재 사망 사건을 이를 각색해서 임사홍이 죽은 아들을 호적에서 파내 모른 척하고 있더라는 이야기를 덧붙여 그리기도 했다. 로맨스 판타지 <[[폭군의 장녀는 바쁘다]]>에서는 중요한 위치의 인물로 출연한다. [[분류:조선의 문관]][[분류:풍천 임씨]][[분류:사림파]][[분류:1472년 출생]][[분류:1504년 사망]][[분류:능지형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