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임주헌}}}[br]Lim Juhe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임주헌2.jpg|width=100%]]}}} || ||<|2> '''출생''' ||[[2005년]] [[9월 22일]] ([age(2005-09-22)]세) || ||[[서울특별시]]||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include(틀:국기, 국명=캐나다)]|| || '''신체''' ||169cm|| || '''학력''' ||[[미사중학교]] {{{-2 (전학)}}}[br][[도장중학교]] {{{-2 (졸업)}}}[br][[수리고등학교]] {{{-2 (재학)}}}|| || '''종목''' ||[[피겨 스케이팅]]|| || '''코치''' ||[[지현정(피겨 스케이팅)|지현정]], [[김진서(피겨 스케이팅)|김진서]]|| || '''랭킹''' ||58위[* 2023년 9월 15일 기준 [[http://www.isuresults.com/ws/ws/wsjuniormen.htm|ISU World Standings 2023/2024 Junior Men]]]|| || '''링크''' ||[[https://www.instagram.com/_limburger/|[[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남자 싱글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다. == 선수 경력 == === 2019-20 시즌 === [[2019 피겨 스케이팅 캐나다선수권 대회|2019 캐나다 주니어선수권]]에서 6위를 차지했다. === 2020-21 시즌 === [[대한민국]]에서 선수생활을 하기 시작했으나, 부상을 당해 국내대회에 출전하지 못했다. === 2021-22 시즌 === 회장배 랭킹대회에서 4위, [[2022 피겨 스케이팅 종합선수권 대회|2022 종합선수권]]에서 8위를 기록하며 [[국가대표]]에 선발되었다. 그러나 비시즌 발목이 부러지는 [[https://n.news.naver.com/sports/general/article/055/0001090157|부상]]을 당하면서 [[국가대표]] 자리를 내려놓게 되어, 차순위였던 [[차영현]]이 승계받았다. === 2022-23 시즌 === 비시즌 큰 부상을 당하여, 재활 치료로 인해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그랑프리 시리즈|주니어 그랑프리 선발전]]에 출전할 수 없었다. 이후 데니스 텐 메모리얼 챌린지 주니어 부문에 출전한다는 소식이 있었으나, 아직 상태가 완전하지 못하였는지 출전하지 않았다. 회장배 랭킹대회에 출전하여, 쇼트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며 74.37점을 받았으나 프리에서 여러 실수가 이어지며 121.83점을 받았다. 총점 196.20점으로 최종 8위를 기록했다. [[2023 피겨 스케이팅 종합선수권 대회|2023 종합선수권]]에 출전하여, 쇼트에서 준수한 수행으로 72.33점을 받았다. 프리에서는 자잘한 실수들로 인해 123.09점을 받아, 총점 195.42점으로 최종 9위를 기록했다. === 2023-24 시즌 === '''점프 구성''' ||
쇼트 ||3A, 3F+3T / 3Lz[* 올시즌 주니어 단독 점프 과제이다.] || || 프리 ||3A+3T, 3A, 3Lz+2A+2A+SEQ, 3F / 3Lz+2T, 3Lo, 3S|| 주니어 그랑프리 선발전에 출전해 3위를 차지하여 출전권 2장을 획득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 JGP 일본 남자 싱글 포디움.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 JGP 폴란드 남자 싱글 포디움.jpg|width=100%]]}}} || || [[2023 JGP 일본]] || [[2023 JGP 폴란드]] || [[2023 JGP 일본]]에 참가하며 주니어 데뷔[* 임주헌은 2019-20 시즌부터 주니어 데뷔가 가능했지만, [[캐나다]]에서 [[대한민국]]으로 들어온 후 부상이 겹치며 국제대회 데뷔가 조금 늦은 만 17세에 이루어졌다.]를 했다. 쇼트에서는 트리플 악셀을 성공했지만, 트리플 플립에 어텐션 판정을 받았고 후반 트리플 러츠에서 오버턴을 하는 실수가 나왔다. 체인지 풋 카멜 스핀에서는 레벨 4를 받았으나 실수가 나와 약간의 감점이 있었고 스텝 시퀀스에서 레벨 3을 받은 것 이외에는 깔끔한 수행을 펼쳐 기술점수(TES) 39.82점, 구성점수(PCS) 35.56점을 합한 '''75.38점'''을 받아 쇼트 '''1위'''에 올랐다. 프리에서는 '''트리플 악셀+트리플 토룹 컴비네이션 점프를 성공했으며'''[* 약간의 랜딩 불안이 있었지만, 수행점수(GOE) 0.00점으로 마이너스(-)가 아니기 때문에 성공으로 인정된다.], 트리플 플립에 어텐션, 트리플 룹에 쿼터, 트리플 살코에 언더 판정을 받았고 체인지 풋 싯스핀에 레벨 3을 받아 기술점수(TES) 70.40점, 구성점수(PCS) 72.17점을 합한 142.57점을 받았다. 총점 217.95점으로 최종 2위를 차지하며, 첫 국제대회에서 '''은메달'''이라는 성적을 거두었다. [[2023 JGP 폴란드]]에 출전하였다. 쇼트에서는 트리플 악셀에 쿼터 판정을 받았으며, 체인지 풋 컴비네이션 스핀에서는 레벨은 채웠지만 축과 자세가 흔들리는 실수가 나와 약간의 GOE 감점을 받았다. 이외의 요소에서는 깔끔한 수행을 보이며 76.08점으로 쇼트 1위에 올랐다. 프리에서는 트리플 러츠 + 더블 악셀 시퀀스에서 GOE 감점을 받은 것 외에는 클린을 하며 145.47점을 받았으며, 총점 221.55점을 받으며 '''우승'''을 차지하였다.[* 주니어 그랑프리에서 5번째로 우승한 한국 남자 선수가 되었다.] 그리고 이 대회의 결과로 '''[[2023-24 피겨 스케이팅 그랑프리 파이널|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직행을 확정지었다. 첫 시니어 대회로 출전한 [[2023 CS 데니스 텐 메모리얼 챌린지]]에서 쇼트는 플립에서 어텐션 판정, 체인지 풋 카멜 스핀의 실수로 인한 감점, 프리의 스텝 레벨 2를 제외하면 모든 수행을 깔끔하게 수행하였다. 쇼트는 76.52점으로 2위, 프리는 158.34점으로 1위를 기록, 최종 234.86점으로 개인 최고 기록을 모두 경신함과 동시에 우승을 차지하며 [[차준환]] 이후 [[피겨 스케이팅 챌린저 시리즈|ISU 챌린저 시리즈]] 대회에서 우승한 2번째 한국 남자 선수가 되었다. 회장배 랭킹대회에서 쇼트는 무난히 수행했으나, 프리에서 트리플 악셀을 REP 판정과 함께 넘어지는 뼈아픈 실수가 나왔다. 쇼트 79.41점, 프리 148.38점, 총점 227.79점으로 최종 5위를 기록했다. 시니어 선수들 중에서는 3순위를 기록하며 생애 첫 사대륙선수권 출전권을 획득하였다. [[2023-24 피겨 스케이팅 그랑프리 파이널|JGP 파이널]]에 처음으로 출전하였다. 쇼트에서는 트리플 악셀에서 언더 판정을 받았고, 트리플 플립+트리플 토룹에서 어텐션 판정을 받아 73.72점을 받았다. 프리에서는 첫번째 트리플 악셀에서 스텝 아웃을 했고, 이어진 또 한번의 트리플 악셀에서도 스텝 아웃과 컴비네이션을 연결하지 못하여 REP 판정을 받아 점수가 많이 깎였으며 트리플 플립+트리플 토룹에서 각각 롱엣지와 쿼터 판정을 받아 프리 점수 136.27점을 받았다. 총점 209.99점으로 4위를 기록했다. == 평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임주헌트악.gif|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임주헌트플트토.gif|width=100%]]}}} || || '''3A'''[* [[2023 JGP 일본]] 당시 가산점(GOE) 1.83][* 당시 기술점(TES) 9.83] || '''3F+3T'''[* [[2023 JGP 폴란드]] 당시 가산점(GOE) 1.36][* 당시 기술점(TES) 10.86] || 주무기는 '''[[악셀 점프|트리플 악셀]]'''이며, 3+3 컴비네이션 점프로 [[악셀 점프|트리플 악셀]]+[[토룹 점프|트리플 토룹]], [[플립 점프|트리플 플립]]+[[토룹 점프|트리플 토룹]]을 구사한다. 비거리가 뛰어나면서도 회전 수 이슈가 적은, 깔끔하고 퀄리티가 우수한 점프를 뛰는 것이 특징이다. [[캐나다]]에서 [[피겨 스케이팅]]을 시작했고, 그 덕분에 기본기와 스케이팅 스킬이 탄탄하다. 비점프 요소에서도 강점을 보이며, 특히 스텝과 코레오에서의 안무 수행과 강약 조절이 뛰어나 높은 가산점과 구성점을 가져간다. 다만 [[플립 점프]]를 아웃 엣지로 도약하는 '''립퍼'''로, 어텐션 판정을 자주 받는다. 또한 오랜 기간의 부상으로 인한 체력 문제를 극복하는 것이 과제로 남아 있다. 하지만 이는 선수가 성장함에 따라 점차 개선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첫 국제대회에서 트리플 악셀 성공과 동시에 은메달을 획득하는 성과를 보여 주며 대한민국 남자 싱글의 미래를 이끌 유망주임을 증명하였다. == 기록 == * [[대한민국|한국]] 남자 싱글 주니어 데뷔 경기 쇼트, 프리, 총점 최고점수 보유자('''75.38점, 142.57점, 217.95점''') * [[차준환]]에 이어 주니어 그랑프리 데뷔전에서 메달을 획득한 두번째 한국 남자 선수 * [[차준환]]에 이어 [[피겨 스케이팅 챌린저 시리즈|챌린저 시리즈]] 금메달을 획득한 두번째 한국 남자 선수 * [[이시형(피겨 스케이팅)|이시형]]에 이어 트리플 악셀+트리플 토룹 컴비네이션 점프를 성공한 두번째 [[대한민국|한국]] 남자 선수 *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한 3번째 한국 남자 선수[* [[이준우(1996)|이준형]] - [[차준환]] - 본인 순([[김현겸]]과 동시 진출).] *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그랑프리 시리즈|주니어 그랑프리]] 금메달을 획득한 5번째 한국 남자 선수[* [[이준우|이준형]] - [[차준환]] - [[서민규(피겨 스케이팅)|서민규]] - [[김현겸]] - 본인 순.] * [[피겨 스케이팅 주니어 그랑프리 시리즈|주니어 그랑프리]] 메달을 획득한 8번째 한국 남자 선수[* [[이준우(1996)|이준형]] - [[김진서(피겨 스케이팅)|김진서]] - [[차준환]] - [[이시형(피겨 스케이팅)|이시형]] - [[차영현]] - [[서민규(피겨 스케이팅)|서민규]] - [[김현겸]] - 본인 순.] * 총점 210점을 넘은 7번째 한국 남자 선수[* [[차준환]] - [[이준우|이준형]] - [[이시형(피겨 스케이팅)|이시형]] - [[경재석]] - [[김현겸]] - [[서민규(피겨 스케이팅)|서민규]] - 본인 순.] * 총점 220점을 넘은 6번째 한국 남자 선수[* [[차준환]] - [[이준우|이준형]] - [[이시형(피겨 스케이팅)|이시형]] - [[서민규(피겨 스케이팅)|서민규]] - [[김현겸]] - 본인 순.] * 총점 230점, 프리 150점을 넘은 5번째 한국 남자 선수[* [[차준환]] - [[이시형(피겨 스케이팅)|이시형]] - [[서민규(피겨 스케이팅)|서민규]] - [[김현겸]] - 본인 순.] * [[악셀 점프|트리플 악셀]]을 국제대회에서 성공한 13번째 [[대한민국|한국]] 남자 선수[* [[정성일(피겨 스케이팅)|정성일]] - [[김민석(피겨 스케이팅)|김민석]] - [[김진서(피겨 스케이팅)|김진서]] - [[이준우(1996)|이준형]] - [[이동원(피겨 스케이팅)|이동원]] - [[차준환]] - [[이시형(피겨 스케이팅)|이시형]] - 변세종 - [[김한길(피겨 스케이팅)|김한길]] - [[경재석]] - [[김현겸]] - [[서민규(피겨 스케이팅)|서민규]] - 본인 순.] == ISU 공인 최고점수 == ||<-2>
'''ISU 공인 최고점수''' || || '''쇼트''' ||76.52([[2023 CS 데니스 텐 메모리얼 챌린지]])|| || '''프리''' ||158.34([[2023 CS 데니스 텐 메모리얼 챌린지]])|| || '''총점''' ||234.86([[2023 CS 데니스 텐 메모리얼 챌린지]])|| == 프로그램 == ||
'''시즌''' || '''쇼트(SP)''' || '''프리(FS)''' || || '''2023-2024''' ||<|2>Your Song([[물랑 루즈(영화)|물랑 루즈]] OST)[br]by [[이완 맥그리거]], 알렉산드로 사피나 ||[[왕좌의 게임(드라마)|왕좌의 게임]] OST[br]• Arrival at Winterfell[br]• Jenny of Oldstones[br]by [[라민 자와디]]|| || '''2022-2023''' ||[[쇼생크 탈출]] OST[br]• Shawshank Prison(Stoic Theme)[br]• So Was Red[br]by [[토머스 뉴먼]]|| == 커리어 == ||<-6>
'''{{{#white 국제대회:시니어}}}''' || || '''대회''' || '''19–20''' || '''20–21''' || '''21–22''' || '''22–23''' || '''23–24''' || ||사대륙선수권|| || || || || || ||CS 데니스 텐 메모리얼|| || || || || 1st || ||<-6> '''{{{#white 국제대회:주니어}}}''' || ||JGP 파이널|| || || || || 4th || ||JGP 폴란드|| || || || || 1st || ||JGP 일본|| || || || || 2nd || ||<-6> '''{{{#white 국내대회}}}''' || ||종합선수권|| || || 8th || 9th || || ||회장배 랭킹대회|| || || 4th || 8th || 5th || ||동계체전|| || || 1st || 2nd || || ||종별선수권|| || || || 2nd || || ||JGP 선발전|| || || || || 3rd || ||캐나다선수권|| 6th J || || || || || ||<-6> CS=챌린저 시리즈, JGP=주니어 그랑프리, J=주니어 || == 기타 == * 캐나다 교포 출신이다.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분류:도장중학교 출신]][[분류:수리고등학교 출신]][[분류:2005년 출생]][[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