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1964년]] [[4월 17일]] ~ [[2010년]] [[5월 23일]] (향년 46세) [[대한민국]]의 가수. == 활동 == [[1964년]] [[4월 17일]]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경희대학교]] [[토목공학과]]를 졸업했다. 1991년 [[휘버스]] 멤버인 이명훈의 프로듀싱으로 90년대 평범한 발라드풍의 노래가 수록된 1집 앨범인 난 널 믿어로 데뷔했으나 1집은 딱히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지만, 1994년에 낸 2집의 레게풍의 타이틀곡인 [[https://www.youtube.com/watch?v=qdLHwDKVPMw|그냥 걸었어]]가 대히트를 쳤다. 여담으로 1993년 가을에는 [[김건모]]의 [[핑계(김건모)|핑계]]가 대히트를 친 후, 1994년 여름까지 [[마로니에(보컬 그룹)|마로니에]]의 [[칵테일 사랑]], [[투투(가수)|투투]]의 [[일과 이분의 일]] 등, 이러한 레게풍의 음악들이 계속 히트를 치는 분위기였다.[* 이 당시에 [[부활(밴드)|부활]]이 재기할 수 있었던 인기곡 [[사랑할수록]]도 가요차트 1위를 놓고 경합했다.] ||[youtube(7EmMhOUKWYY)]|| || 임종환 - 그냥 걸었어 (Live)[br]MBC 한국가요제전(1994. 12. 31.) || ||
[youtube(buSHZlB5dxA)]|| || 임종환 - 그냥 걸었어 & Delilah (Live)[br]G1 강원민방 '임지훈의 예전처럼' (2003. 12. 05.) || 이후 4집까지 발매한 이후[* 그냥 걸었어 만큼의 인기는 없었다.], 1990년대 말에 갑자기 [[뉴질랜드]]로 이민을 가 그곳에서 한인 라디오 방송국을 운영했다. 2008년에 귀국하여 '사랑이 간다'라는 트로트 앨범을 냈다. 그러나 2009년부터 건강에 이상을 느껴서 활동을 중지했고, 2010년 1월에 [[직장암]] 말기 판정을 받았다. 그리고 2010년 5월 23일, 투병 중에 결국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백석동(고양)|백석동]]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에서 향년 46세로 사망했다. 뉴질랜드에 거주 중이던 아내[* 그냥 걸었어에 나온 여성의 목소리의 주인공이다.]와 자녀들은 비행기표 문제로 참석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져 주위를 안타깝게 했다. == 여담 == * 슬하에 1남 1녀가 있다. * 그의 사망 후, [[윤종신]]은 트위터에 "당시 나이 차가 좀 있는데 꼬박꼬박 '종신씨'라고 높여주셨던 형님으로 기억한다"며 "임종환 형님이 돌아가셨다. 고인의 명복을 빈다"고 밝혔다. [[https://star.mt.co.kr/stview.php?no=2010052414125640560&outlink=2&SVEC=|관련 기사]] * 그의 노래인 그냥 걸었어는 [[나는 가수다/시즌1/13라운드|나는 가수다]]에서 [[이현우(가수)|이현우]]가 불러서 3위를 차지했다.[* [[양동근]]이 피처링 했다.] [[https://youtu.be/lXEjT88WHV8|영상]] * 은근히 저평가 받지만 레게 음악의 유행을 선도한 가수다. [[분류:한국 남가수]][[분류:1964년 출생]][[분류:2010년 사망]][[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직장암으로 죽은 인물]][[분류:경희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