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고고학자]][[분류:서울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인문과학 교수]] || '''{{{#FFFFFF 이름}}}''' ||<(> '''임영진''' [* https://illyu.jnu.ac.kr/illyu/12684/subview.do?enc=Zm5jdDF8QEB8JTJGcHJvZiUyRmlsbHl1JTJGMzM5JTJGNjU3JTJGdmlldy5kbyUzRg%3D%3D]|| || '''{{{#FFFFFF 출생일}}}''' ||<(> || || '''{{{#FFFFFF 학력}}}''' ||<(> [[서울대학교]] {{{-1 (고고미술사학과 / [[학사]])}}}[br][[서울대학교]] {{{-1 (고고미술사학과 고고학 전공 / [[석사]])}}}[br][[서울대학교]] {{{-1 (고고미술사학과 고고학 전공 / [[박사]])}}} || || '''{{{#FFFFFF 현직}}}''' ||<(> [[호남문화재연구원]] 이사장(2009~) 마한연구원 원장(2014~) [[전남대학교]] 문화인류고고학과 명예교수 || || '''{{{#FFFFFF 약력}}}''' ||<(> 서울대학교 박물관 연구원(1985~1987) 전남대학교 전임강사, 조교수, 부교수(1998~?)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1999~2006), 중국사회과학원 고대문명연구중심 객좌연구원(2000~현재) 호남고고학회장(2001~2003) 전남대학교박물관장(2005~2007) 백제학회 회장(2011~2013)|| || '''{{{#FFFFFF 세부전공}}}''' ||<(> 마한, 백제, 동북아시아 고고학|| ''임영진'''는 현 [[전남대학교]] 문화인류고고학과 명예교수이자 마한연구원과 호남문화재연구원 이사장이다. == 보고서와 저서 == * 『석촌동 3호분 동쪽고분군 정리조사보고』, 서울대학교 고고인류학총간 12, 1986(공저). * 『석촌동 1·2호분』, 서울대학교 고고인류학총간 14, 1989(공저). * 『무진고성Ⅰ』, 전남대학교박물관, 1989. * 『함평 월계리 석계고분군 Ⅰ』, 전남대학교박물관, 1993. * 『보성 금평 유적』, 전남대박물관, 1998(공저). * 『복암리고분군』, 전남대박물관, 1999(공저). * 『전남지역 고분측량 보고서』, 전남대박물관, 2000(공저). * 『백제의 곰말 몽촌토성』, 송파문화원(서울), 2001. * 『나주 덕산리 고분군』 전남대학교박물관, 2002(공저). * 『함평 소명 주거지』 전남대학교박물관, 2003(공저). * 『광주 월계동 장고분』 전남대학교박물관, 2003(공저). * 『함평 예덕리 만가촌 고분군』 전남대학교박물관, 2004(공저). * 백제의 영역 변천, 주류성, 2006.『석촌동 3호분 동쪽고분군 정리조사보고』, 서울대학교 고고인류학총간 12, 1986(공저). * 『석촌동 1·2호분』, 서울대학교 고고인류학총간 14, 1989(공저). * 『무진고성Ⅰ』, 전남대학교박물관, 1989. * 『함평 월계리 석계고분군 Ⅰ』, 전남대학교박물관, 1993. * 『보성 금평 유적』, 전남대박물관, 1998(공저). * 『복암리고분군』, 전남대박물관, 1999(공저). * 『전남지역 고분측량 보고서』, 전남대박물관, 2000(공저). * 『백제의 곰말 몽촌토성』, 송파문화원(서울), 2001. * 『나주 덕산리 고분군』 전남대학교박물관, 2002(공저). * 『함평 소명 주거지』 전남대학교박물관, 2003(공저). * 『광주 월계동 장고분』 전남대학교박물관, 2003(공저). * 『함평 예덕리 만가촌 고분군』 전남대학교박물관, 2004(공저). * 『백제의 영역 변천, 주류성, 2006.『석촌동 3호분 동쪽고분군 정리조사보고』, 서울대학교 고고인류학총간 12, 1986(공저). *『석촌동 1·2호분』, 서울대학교 고고인류학총간 14, 1989(공저). * 『무진고성Ⅰ』, 전남대학교박물관, 1989. * 『함평 월계리 석계고분군 Ⅰ』, 전남대학교박물관, 1993. * 『보성 금평 유적』, 전남대박물관, 1998(공저). * 『복암리고분군』, 전남대박물관, 1999(공저). * 『전남지역 고분측량 보고서』, 전남대박물관, 2000(공저). * 『백제의 곰말 몽촌토성』, 송파문화원(서울), 2001. * 『나주 덕산리 고분군』 전남대학교박물관, 2002(공저). * 『함평 소명 주거지』 전남대학교박물관, 2003(공저). * 『광주 월계동 장고분』 전남대학교박물관, 2003(공저). * 『함평 예덕리 만가촌 고분군』 전남대학교박물관, 2004(공저). * 『 백제의 영역 변천, 주류성, 2006. 『석촌동 3호분 동쪽고분군 정리조사보고』, 서울대학교 고고인류학총간 12, 1986(공저). * 『석촌동 1·2호분』, 서울대학교 고고인류학총간 14, 1989(공저). * 『무진고성Ⅰ』, 전남대학교박물관, 1989. * 『함평 월계리 석계고분군 Ⅰ』, 전남대학교박물관, 1993. * 『보성 금평 유적』, 전남대박물관, 1998(공저). * 『복암리고분군』, 전남대박물관, 1999(공저). * 『전남지역 고분측량 보고서』, 전남대박물관, 2000(공저). * 『백제의 곰말 몽촌토성』, 송파문화원(서울), 2001. * 『나주 덕산리 고분군』 전남대학교박물관, 2002(공저). * 『함평 소명 주거지』 전남대학교박물관, 2003(공저). * 『광주 월계동 장고분』 전남대학교박물관, 2003(공저). * 『함평 예덕리 만가촌 고분군』 전남대학교박물관, 2004(공저). * 백제의 영역 변천, 주류성, 2006. == 논문 == * 인도네시아의 선사문화 『서울대학교 인도네시아 학술조사단 보고서』, 1981. * 움집의 분류와 변천 『한국고고학보』 17, 1985. * 석촌동일대 적석총계와 토광묘계 묘제의 성격 『삼불김원용교수정년퇴임기념논총Ⅰ』, 일지사, 1987. * 고구려·백제 『한국고고학보』 21, 1988. *서울 석촌동출토 백제칠기와 중국칠기와의 관계 『진단학보』 66, 1988. * 고구려고고학 『국사관논총』 33, 국사편찬위원회, 1992. * 백제초기 한성시대 고분에 관한 연구 『한국고고학보』30, 1993. * 한성시대 백제의 건국과 한강류역 백제 고분 『백제논총』 4, 백제문화개발연구원, 1994. * 마한의 형성과 변천에 대한 고고학적 고찰 『삼한의 사회와 문화』한국고대사연구 10집, 1995. * 전남 고대묘제의 변천 『전남의 고대묘제』, 목포대박물관,전라남도, 1996. * 백제초기 한성시대 토기연구 『호남고고학보』 4, 1996. * 전남지역 석실분의 백제계통론 재고 『호남고고학보』 6, 1997, * 유럽 거석문화 연구현황 『한국선사고고학보』6, 한국선사고고학회, 1999. * 국토개발과 문화유산의 보존 『호남의 문화유산, 그 보존과 활용』, 호남문화재연구원편, 1999. * 영산강유역 석실봉토분의 성격 『지방사와 지방문화』3-1, 역사문화학회, 2000. The Archaeological Evidences of the Political Transformation of Mahan Complex Societies in Southwest Korea(마한의 소멸과정에 대한 고고학적 고찰) 『호남고고학보』 12. 2000. * 韓中日石室墓之比較硏究 『江陽文博』, 中國 江陽市博物館, 2001. * 馬韓形成期 中國北方的關係 『北方民族文化新論』, 中國 哈 濱出版社, 2001. * 영산강유역권의 분구묘와 그 전개 『호남고고학보』 16. 2002. * 月桂洞古墳群の墳周土器 『季刊考古學』79, 日本 雄山閣, 2002. * 百濟の成長と馬韓勢力, そして倭 『古代日本と百濟』, 日本 大巧社, 2002. * 韓國の墳周土器 『東ASIAと日本の考古學Ⅱ』, 日本 同成社, 2002. * 한국 장고분의 피장자와 축조배경, 고고학잡지(일본) 89-1, 2005. * 백제식적석총의 발생 배경과 의미, 한국상고사학보, 2007. * 마한분구묘와 오월토돈묘의 비교 검토, 중국사연구, 2007. == 학술대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