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林淑 (? ~ ?) == 개요 == [[고려]]의 인물. == 생애 == [[탐라만호부|제주만호]]를 역임했다. 음력 1323년 1월 12일 멋대로 임지를 이탈했다가 [[정동행성]]에 수감됐는데 얼마 뒤 죄를 용서받고 임지인 제주로 돌아갔다. 제주 백성들은 >"임숙은 탐욕이 심하고 침탈한 것이 여러가지이니 백성은 어려움을 감당하지 못하는데, 이제 그가 임지로 복귀하니 우리는 무슨 죄인가."[* 林淑甚貪婪, 侵漁萬端, 民不堪苦, 今復之任, 吾輩奚罪.] 라며 불만을 표했고, 행성의 문에는 >좌우사 낭중 우치(烏赤)가 뇌물을 받고 법을 왜곡해 풀어줬으니, 성부(省府)가 추핵하지 않는다면 우리들 1천명은 마땅히 상성(上省, [[원나라|원]] 중서성)에 참소할 것이다.[* 左右司郞中烏赤受淑賄賂, 枉法免放, 省府若不推劾, 吾等千人當訴于上省.] 라는 임숙을 비방하는 벽서가 붙었다. 임숙은 파직됐고 박순인(朴純仁)이 대신 제주만호로 임명됐다. 1339년 조적의 난이 일어났을 때 [[충숙왕]]의 제3비 [[경화공주]]가 임숙의 집으로 피신한 일이 있었다. [[공민왕]] 시기인 1354년 삼사좌사에 임명됐다. == 가족 관계 == * 부: 임경세 * 모: 김포 정씨 * '''본인: 임숙''' * 처: 유씨 * 아들: 임지허 * 아들: 임희재 * 아들: 임대광 * 아들: 임난수 * 딸 * 사위: 강의 * 딸 * 사위: 오광신 * 딸 * 사위: 실두태자(實逗太子) 『고려사』에 따르면 임숙의 딸은 고려에 방문했던 실두태자와 결혼해 함께 원나라로 갔다. 그 외 가족관계는 『부안임씨대동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임숙은 문좌상(文左相) [[찬성사|첨의찬성사]] 상호군 판민부사 임경세와, 판서 정승오의 딸 정씨의 아들이다. 진한국 정헌공 유복화의 딸과 결혼해 아들 넷과 딸 셋을 뒀다. [[분류:고려의 인물]][[분류:부안 임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