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임봉래}}}'''[br]'''林鳳來'''}}}}}} || || '''본관''' ||[[평택 임씨]] || ||<|2> '''출생''' ||[[1890년]] [[4월 22일]] || ||[[경상도]] [[양산시|양산군]] 좌이면 와석리[br](현 [[부산광역시]] [[북구(부산)|북구]] [[화명동]] 와석마을)[* [[평택 임씨]] 집성촌이다. 독립유공자 [[윤장수]]도 이 마을 출신이다.] || || '''사망''' ||[[1968년]] [[2월 15일]] || ||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임봉래는 1890년 4월 22일 경상도 양산군 좌이면 와석리(현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 와석마을)에서 태어났다. 그는 구포면사무소 서기로 있던 중 1919년 3월 중순, [[경성의학전문학교]] 학생인 양봉근(楊奉根)으로부터 [[경성부]]와 [[평양시|평양부]]에서 전개된 독립만세운동에 대하여 상세히 전해듣고 이곳에서도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기로 결심하였다. 그는 3월 27·28일에 박영초(朴永初)·이수련(李守蓮)등의 집에서 [[http://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mngNo=514|김옥겸]](金玉兼)·[[http://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mngNo=34610|김윤길]](金潤吉)·유기호(柳基護)·윤경(尹涇)·[[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7496|허정]](許楨)·김용이(金用伊)·최종호(崔鍾浩)·유진영(兪鎭榮)·윤대근(尹大根) 등과 만나 회의를 거듭한 끝에, 구포면 장날인 3월 29일을 이용하여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기로 결의하고, 교대로 밤을 새워가면서 독립선언서와 소형 태극기 수백매씩을 제작하였고, 대형 태극기와 '대한독립만세'라고 쓴 플래카드를 만들었다. 3월 29일 정오, 그는 구포면 장터에서 1천여명의 시위군중에게 미리 제작한 독립선언서와 태극기를 나누어주고, 그들과 함께 독립만세를 외치며 화명학교 앞에서 출발하여 [[양산시|양산군]]까지 행진하며 시위를 전개하였다. 그러나 출동한 일본군 수비대에 현장에서 체포되었으며, 같은 해 8월 7일 부산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1년형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에는 조용히 지내다가 [[8.15 광복]]을 맞았으며, 1968년 2월 15일 별세하였다. 1968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으며, 이어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북구(부산) 출신 인물]][[분류:평택 임씨]][[분류:1890년 출생]][[분류:1968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족장]]